
■ 선운산 (도솔산) / 禪雲山 / Seonunsan(Mt) (2003년 4월, 2007년 9월) △ 선운산으로 ▲ 선운산(禪雲山, 336m)은 전북 고창군(高敞郡) 아산면(雅山面)에 있는 산으로 심원면(心元面)과 해리면(海里面)에도 일부 걸쳐 있다. 본래 도솔산(兜率山)이었으나 도솔산 선운사(禪雲寺)가 유명해지면서 그 이름이 선운산으로 바뀌었다고 한다. 릉선을 따라 경수산(鏡水山:444m), 개이빨산(=국사봉, 345m), 청룡산(靑龍山:314m), 구황봉(九皇峰:298m)등이 솟아 있다. 선운산에는 선운산 입구의 송악, 선운사 동백나무숲, 도솔암 가는 길의 진흥굴(眞興窟, 일명 좌변굴左邊窟), 진흥굴 바로 앞의 장사송(長沙松), 내원궁(內院宮)아래 절벽의 미륵장륙마애불(彌勒丈六磨崖佛), 용문굴(龍門窟..

■ 두륜산 / 頭崙山 / Duryunsan(Mt) (2000년 5월, 2005년 4월, 2011년 10월) △ 두륜산으로 ▲ 두륜산 가는 길 ¶ 해남읍 -> 군내버스 타고 대흥사(하루 18회 운행) ¶ 해남읍 -> 군내버스 타고 삼거리-(오소재)-삼성리 하차 ¶ 서해안고속국도 목포T/G -> 해남 -> 대흥사 (해남군 삼산면 구림리) ▲ 두륜산(頭崙山, 703m)은 전남 해남군 삼산면(三山面)·북일면(北日面)·북평면(北平面)에 걸쳐 있는 산으로, 호남정맥 바람재에서 남서쪽으로 갈라져 나온 산줄기가 월출산으로 솟구친 뒤 남쪽으로 더 내려가 바닷가에 우뚝 솟은 산이다. 이 산줄기는 달마산으로 이어져 땅끝에서 바다속으로 가라앉는다. 이 산은 고계봉(高髻峰, 638m)·노승봉(688m)·가련봉(迦蓮峰, 703m..

■ 칠갑산 / 七甲山 / Chilgapsan(Mt) (2009년 10월) △ 칠갑산으로 ▲ 칠갑산은 충남 청양군(靑陽郡) 대치면(大峙面)·정산면(定山面)·장평면(長坪面)에 걸쳐 있는 산으로 산 높이는 해발 561미터다. 수많은 골짜기와 울창한 숲, 고찰 장곡사 등으로 유명하다. 1973년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칠갑산에 떨어진 빗방울은 남쪽 금강으로 흘러들어 부여땅 지나 군산 앞바다로 흘러간다. ▲ 칠갑산 가는 길 [대중교통] ¶ 청양시외버스/공주시외버스/대전서부시외버스터미널->청양-대전 간 버스 이용 대치리 하차 ¶ 청양시내버스터미널->칠갑산 순환버스 타고 칠갑주차장/천장호/장곡주차장/휴양림 (하루3회) [자가운전] ¶ 서천공주고속도로 청양IC->39번 도로 장평면사무소->645번 도로 장곡사입구 교..
■ 주흘산 / 主屹山 / Juheulan(Mt) (2003년 4월, 2005년 5월) △ 주흘산으로 ▲ 주흘산(主屹山, 1106m)은 경북 문경읍(聞慶邑)에 있는 산으로, 새들도 쉬어 넘는다는 새재길 동쪽에 솟아 있다. 주흘산의 서쪽과 북쪽을 지나는 이화령-조령산-조령관-마패봉-(부봉)-탄항(월항)산-하늘재-포암산 산줄기는 백두대간이자 경북과 충북을 가르는 경계이다. 주흘주봉에서 바라보는 문경읍 쪽 풍경이 시원스럽다. 봉긋봉긋 여섯 봉우리로 솟은 부봉에서 바라보는 문경새재는 먼 옛날 조령을 넘던 선인들을 생각하게 한다. 부봉은 다소 험하지만 각 봉우리마다 전망이 훌륭하다. 문경새재는 1981년 경상북도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2000년 조령 제1관문 인근에 KBS촬영장이 개장하였다. ▲ 주흘산 가는 길..
■ 용봉산 / 龍鳳山 / Ryongbongsan(Mt) (2002년 12월, 2012년 3월)△ 용봉산으로▲ 용봉산은 충남 홍성군(洪城郡) 홍북면(洪北面)과 예산군(禮山郡) 덕산면德山面)·삽교읍(揷橋邑)에 걸쳐 있는 산으로 산 높이는 해발 381미터이다. 합천 남산제일봉처럼 산 곳곳에 기암괴석이 늘어서 있다. 이 산에는 백제시대에 창건된 용봉사와 고려시대에 만든 마애석불이 있다. 1973년 가야산·덕숭산과 함께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산기슭에 용봉산 자연휴양림이 자리잡고 있다.▲ 용봉산 가는 길 ¶ 홍성터미널, 홍성역 -> 농어촌버스 타고 용봉사입구 또는 용봉초등학교¶ 서해안고속도로 홍성 IC ->29번 도로 타고 홍성 ->홍성읍 북쪽 방향 609번 도로 타고 용봉사 또는 용봉초등학교¶ 당진대전간..

■ 마이산 / 馬耳山 / Mysan(Mt) (2001년 10월, 2004년 1월·4월, 2009년 10월, 2011년 5월) △ 마이산으로 ▲ 마이산은 전라북도 진안군(鎭安郡) 진안읍(鎭安邑)과 마령면(馬靈面)의 경계에 말의 귀 모양으로 솟은 2 개의 산봉우리로 산높이는 해발 667m이다. 금남호남정맥이 이 산을 지난다. 마이산 남부 주차장의 빗물은 섬진강으로 흘러 광양만으로 빠지고 북부 주차장의 빗물은 금강으로 흘러 장항 군산 앞바다로 빠진다. 마이산에는 암수마이봉, 비룡대(팔각전망대), 광대봉 등의 산봉우리, 탑사·보흥사·은수사·금당사 등의 절, 고금당석굴·화암굴 등이 있다. 마이산 벚꽃, 겨울 은수사나 화암굴의 역고드름, 이갑용 처사가 세운 탑사의 돌탑들도 볼거리. 암마이봉 타포니(tafoni, 암..

■ 조계산 / 曹溪山 / Jogyesan(Mt) (송광사-연산봉, 2008년 4월 / 선암사-장군봉, 2009년 4월) △ 조계산으로 ▲ 조계산(曹溪山)은 전남 순천시 승주읍(昇州邑)과 송광면(松光面)에 걸쳐 있는 산으로 산 높이는 해발 884미터이다. 조계산은 1979년 주암면(住巖面)과 낙안면(樂安面) 일부 조계산 산자락을 포함하여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마이산-내장산-무등산-제암산-백이산으로 뻗어온 호남정맥이 고동산-조계산장군봉-오성산을 지나 백운산으로 뻗어간다. 조계산에서는 선암굴맥이재-작은굴맥이재-장군봉-장밭골몬당이 호남정맥이다. 이 호남정맥 조계산 동쪽 산자락에 태고총림(太古叢林) 선암사仙巖寺)가, 서쪽 산자락에 승보사찰 송광사(松廣寺)가 자리잡고 있다. 선암사쪽 물은 상사호에 담겼다가 순천..
■ 대둔산 / 大芚山 / Daedunsan(Mt) (2002년 4월, 2004년 8월, 2009년 10월) △ 대둔산으로 ▲ 대둔산(한듬산, 大芚山, 878m)은 전북 완주군(完州郡) 운주면(雲洲面)과 충남 논산시(論山市) 벌곡면(伐谷面) 및 금산군(錦山郡) 진산면(珍山面)에 걸쳐 있는 산으로, 운장산-계룡산을 잇는 금남정맥상에 솟아 있다. 이 산 남쪽 비탈에 떨어진 빗방울은 장선천(長仙川)으로 흘러들어 논산저수지 지나 강경에서 금강으로, 북쪽 비탈에 떨어진 빗방울은 북쪽으로 흘러 대전을 지나 금강으로 흐른다. 이 산의 전북쪽 비탈은 하늘에서 바위를 뿌려 박아놓은 듯한 기암과 절벽으로 이루어져 있고 충남쪽 비탈은 완만한 산등과 계곡에 폭포를 품고 있다. 1990년 가을 케이블카가 개통되었다. 임진왜란때 ..

■ 무등산 / 無等山 / Mudeungsan(Mt) (2006년 9월 말, 2008년 11월 초순, 2010년 10월 중순) △ 무등산으로 ▲ 무등산(1,187m)은 전남 광주(光州) 북구와 화순군(和順郡) 이서면(二西面), 담양군(潭陽郡) 남면(南面)에 걸쳐 있는 산으로 옛이름은 무진악(武珍岳) 또는 서석산(瑞石山)이라하며 호남정맥에 솟았다. 무등산 둘레 호남정맥은 담양군 남면 유둔재-백남정재-북산-무등산 북봉-천왕봉-장불재-화순군 이서면 안양산(백마능선)-둔병재다. 무등산 서석대의 물은 서쪽 영산강(榮山江)으로 흐르고 입석대의 물은 동쪽 동복호同福湖)와 주암호(住巖湖)에 담겼다가 보성강(寶城江)-섬진강(蟾津江)으로 흐른다. 이 산에는 돌기둥이 늘어선 서석대(瑞石臺)·입석대(立石臺), 장불재·중봉 군부..

■ 팔공산 / 八公山 / Palgongsan(Mt) (2009년 9월, 2011년 6월) △ 팔공산으로 ▲ 팔공산은 대구 동구와 경북 경산시(慶山市)·영천시(永川市)·군위군(軍威郡)·칠곡군(漆谷郡)에 걸쳐 있는 산으로, 산 높이는 해발 1,193 미터이다. 대구 북쪽에 병풍을 둘러친 듯한 형국으로 자리잡고 있다. 팔공산 둘레에 떨어진 빗방울은 대구, 영천-대구, 군위를 지나 낙동강으로 흘러든다. 팔공산 기슭에는 동화사·은해사·파계사·부인사 등의 절이 있고, 비로봉 언저리와 관봉에 석불들이 있다. 울창한 숲과 수많은 골짜기가 있고, 곳곳에 기암괴석이 있다. ▲ 팔공산 가는 길 [대중교통] ¶ 동대구역 (동대구역지하도2) -> 시내버스(급행1) 타고 동화사입구 하차 (65분 소요) ¶ 동대구역 (동대구역지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