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poolpiri_()_사진여행

프로필사진
  • 글쓰기
  • 관리
  • 태그
  • 방명록
  • RSS

poolpiri_()_사진여행

검색하기 폼
  • 분류 전체보기 (841)
    • 한국의 산 (180)
      • 서울 (20)
      • 경기 (21)
      • 강원 (21)
      • 충북 (21)
      • 충남 (11)
      • 전북 (16)
      • 전남 (31)
      • 경북 (15)
      • 경남 (23)
      • 제주 (1)
    • 산꽃들풀 (7)
    • 한국의 절 (101)
    • 인도 사진 (174)
      • 나무 (16)
      • 동물 (36)
      • 사람 (102)
      • 유적풍경 (20)
    • 이곳저곳 (280)
    • 노자 도덕경 (90)
  • 방명록

노자 도덕경 (90)
숭본식말이란 무엇인가 (2025여름) 노자 도덕경과 왕필의 숭본식말

▣ 왕필이 말하는 숭본식말이란 무엇인가 - 노자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만한 것들 (6) / 2025년 6월 초적 작성 Ⅰ. 숭본식말 용례- 나라의 구동 시스템(OS)으로 무엇을 쓸(채택할) 것인가 ('노자', 도덕경 왕필주, 노자지략으로부터 발췌하여 편집 가공)노자1장의 상도(常道)는 무형·무명이라 만물을 포용하고 만물이 경유할 수 있다. 말해질 수 있는 도(법가,명가,유가,묵가,잡가)는 각각의 방도(형벌,이름,명예,교정,잡된 것)로 만물을 제어(통제,규정,향상,정립,운행)하지만 여러 폐단이 발생한다. 노자의 도는 만물을 싣는 대도(大道)이자 천하의 어미라 할 수 있고 여타 제자백가의 도는 만물을 부분적으로 싣는 아들 격이라 할 수 있다. (나라를 다스림에) 말해질 수 있는 도(道)만을 채택하여 사용..

노자 도덕경 2025. 6. 24. 12:39
상(常)이란 무엇인가 (2024초가을) 노자 도덕경과 왕필의 상(常)

▣ 왕필이 말하는 상(常)이란 무엇인가 - 노자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만한 것들 (5) / 2024년 9월 초적 작성1. 상(常)이란△ '노자' 원문의 상(常) 조화로움[和]을 상(常)이라 하고 조화로움[和]을 아는 것을 밝음[明]이라 한다. 《노자55장 죽간본 및 백서갑본》 조화로움[和]을 아는 것을 상(常)이라 하고 상(常)을 아는 것을 밝음[明]이라 한다. 《노자55장 왕필본 및 백서을본》 천명으로 돌아감[復命]을 상(常)이라 하고 상(常)을 아는 것을 밝음[明]이라 한다. 《노자16장 왕필본》 노자55장 백서갑본 및 죽간본의 화왈상(和曰常)-지화왈명(知和曰明)이 왕필본에서 지화왈상(知和曰常)-지상왈명(知常曰明)으로 바뀌었다. (결과적으로) 노자16장의 지상왈명(知常曰明)과 같게 되었다. 만..

노자 도덕경 2024. 9. 9. 14:56
등급으로 읽어본 노자 (2024여름) 초심자(입문자)를 위한 노자 도덕경

▣ 등급으로 읽어본 노자 (2024년 7월) - 노자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만한 것들 (3) 노자(老子, 늙은이)는 (노자41장 등에서) 사람을 등급[上士, 中士, 下士]으로 나누고 이것이냐 저것이냐 선택지를 제시·제안[去彼取此]하며 그렇게 할 수 있겠는가[能爲乎]라고 묻는다.  그리하여 그러한 패턴으로 (노자를 처음 접하는 사람을 위해) 노자(도덕경)의 내용을 추출·구성해 보았다.▲ 노자 1장 : 불언(不言)으로 다스릴 수 있겠는가(상급) 도를 말로 표현하지 않는 자 - 특정 방도(정치 이념)를 채택함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폐단을 인식하고 만물이 절로 그러하도록 돕는 사람(하급) 도를 말로 표현하는 자 - 나아가야 할 길(특정 이념이나 사상)을 제시하고 (국시로) 밀어붙이는 사람 ▲ 노자 13장 : (..

노자 도덕경 2024. 7. 24. 15:38
노자도덕경 제1장 (2024여름) 왕필 주에 대한 해석 (노자 1장)

▣ 노자도덕경 제1장 왕필 주에 대한 해석 - 노자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만한 것들 (4)산양 왕필 주 도덕진경 1장 왕필(山陽 王弼, AD226~249) 지음 / 2024년 7월 초적 풀이 (2025년 4월 교정판)▲ [노자1-1] 道可道,非常道。名可名,非常名。 가도(可道)의 도(道)는 상도(常道)가 아니요 가명(可名)의 이름[名]은 상명(常名)이 아니다. [왕필주] 可道之道,可名之名 ,指事造形,非其常也。故不可道,不可名也。 말할 수 있는 도와 이름할 수 있는 이름은 (다스리는) 일을 가리키고 형상을 만들어내므로*(1) 그러한 도와 이름은 상(常)*(2)이 아니다. 그러므로 (도를) 말할 수도 없고 이름할 수도 없다. *(3) *(1) : 말해질 수 있는 것[可道]이 아무리 성대하여도 천지를 주..

노자 도덕경 2024. 7. 13. 13:46
노자지략(老子旨略) (2022봄) 왕필의 노자미지례략 번역

▣ 노자지략 《老子旨略》 - 노자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만한 것들 (2) 『노자미지례략(老子微旨例略)』 왕필 (山陽 王弼, AD226~249) 지음 / 2022년 4월 초적 풀이 왕필은, '노자미지례략(老子微旨例略)'을 지어 노자의 은미한 뜻을, 사례를 들어 간략히 설명하였다. 왕필의 노자에 대한 이해, 논리, 해박한 지식, 글솜씨에 찬탄을 금할 수 없다. 조조의 아들 손자가 왕노릇하던 시절, 왕필은 무슨 생각을 하며 살았는지, 그때로 거슬러 올라가 보자. [목차] 임의로 단락을 나누고 번호를 매겨 요약문을 덧붙임 1. [무형(無形), 무명(無名)] ...... 무형과 무명이 만물의 근본 2. [대상(大象), 대음(大音)] ...... 대상무형과 대음희성으로 노자 핵심사상 총정리 3. [명칭(名稱)] ..

노자 도덕경 2022. 4. 22. 20:59
노자 도덕경(왕필본)과 덕도경(백서본)의 차이 발췌

제목 : 노자 도덕경(왕필본)과 백서본의 차이 발췌 ▣ 노자 도덕경(왕필본)과 백서본의 차이 발췌 - 노자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만한 것들 (1) 이곳 자료는 http://ctext.org/zh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음. 이 사이트에 등재된 왕필주 영인본 주와 텍스트간에도 오타가 발견됨. 왕필본과 백서본 간의 차이가 나는 장 중에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장을 임의로 발췌하여 작성하였음. 노자의 장 표기시 백서본(덕도경)도 왕필본(도덕경)의 장에 맞춰 노자의 장을 통합 표기하였음 왕필본과 백서본 간에 차이가 노자 해석에 영향를 크게 미치는 장은 [노자OO장]으로 해당 장 제목에 배경색을 표시하였음 [기휘] [백서을본] 죽간본과 백서갑본의 방(邦)자가 국(國)으로 바뀜 / 한고조 휘 유방(劉邦) (기원전 247..

노자 도덕경 2022. 4. 5. 15:14
사진 속에 담아본 노자 도덕경 (2)

[노자1장~81장 슬라이드 쇼 사진 81 매, 47 MB] ▲ 사진 속에 담아본 노자 도덕경 (2)

노자 도덕경 2017. 5. 5. 00:05
사진 속에 담아본 노자 도덕경

[ 노자 도덕경 슬라이드 쇼 81 매, 30 Mb ]

노자 도덕경 2015. 5. 5. 14:15
노자 도덕경 리스트 (목차, 색인)

1 장 2 장 3 장 4 장 5 장 6 장 7 장 8 장 9 장 10 장 11 장 12 장 13 장 14 장 15 장 16 장 17 장 18 장 19 장 20 장 21 장 22 장 23 장 24 장 25 장 26 장 27 장 28 장 29 장 30 장 31 장 32 장 33 장 34 장 35 장 36 장 37 장 38 장 39 장 40 장 41 장 42 장 43 장 44 장 45 장 46 장 47 장 48 장 49 장 50 장 51 장 52 장 53 장 54 장 55 장 56 장 57 장 58 장 59 장 60 장 61 장 62 장 63 장 64 장 65 장 66 장 67 장 68 장 69 장 70 장 71 장 72 장 73 장 74 장 75 장 76 장 77 장 78 장 79 장 80 장 81 장 註)..

노자 도덕경 2012. 12. 8. 22:44
노자1장 : 말해질 수 있는 도가 오래갈 (항구불변의) 도는 아니요

제1장 第一章 體道 (觀眇) 말해질 수 있는 도가 오래갈 도는 아니요 道可道非常道 *1~ 일컬릴 수 있는 이름이 오래갈 이름은 아니지만 名可名非常名 무는 천지의 비롯이라 이름하고 無名天地之始 유는 만물의 어미라고 이름한다 有名萬物之母 본디 故 늘 욕심이 없으면 그 묘함(묘한 요체)을 보고 常無欲以觀其妙 늘 욕심이 있으면 그 가장자리를 보게 된다 常有欲以觀其徼 이 둘은 나온 데가 서로 같고 이름을 달리하지만 此兩者同出而異名 같이 일컬어 그윽하고 아득하다고 한다 同謂之玄 더욱 그윽하고 아득한 곳에 이르면 玄之又玄 온갖 묘함이 나오는 문이 있다 衆妙之門 - *1~ : [백서본] 도를 말할 수는 있어도 그것이 항구불변의 도는 아니요, 이름을 지어 붙일 수는 있어도 그것이 항구불변의 이름은 아니다. - 노자34장..

노자 도덕경 2012. 6. 27. 09:21
이전 1 2 3 4 ··· 9 다음
이전 다음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