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poolpiri_()_사진여행

프로필사진
  • 글쓰기
  • 관리
  • 태그
  • 방명록
  • RSS

poolpiri_()_사진여행

검색하기 폼
  • 분류 전체보기 (836)
    • 한국의 산 (180)
      • 서울 (20)
      • 경기 (21)
      • 강원 (21)
      • 충북 (21)
      • 충남 (11)
      • 전북 (16)
      • 전남 (31)
      • 경북 (15)
      • 경남 (23)
      • 제주 (1)
    • 산꽃들풀 (7)
    • 한국의 절 (101)
    • 인도 사진 (174)
      • 나무 (16)
      • 동물 (36)
      • 사람 (102)
      • 유적풍경 (20)
    • 이곳저곳 (276)
    • 노자 도덕경 (89)
  • 방명록

이곳저곳 (276)
학암포 해변 (2022갈) 충남 태안군 원북면 방갈리 (학암포해수욕장)

▣ 학암포 해변의 일몰 (2022년 9월) 학암포(鶴巖浦) 해변은 충남 태안군 원북면(遠北面) 방갈리(防葛里)에 있는 해수욕장이다. 학암포 해수욕장 앞바다에 소분점도(小盆店島)가 있어 일몰이 더욱 아름답다. 2022년 9월 하순, 태안 학암포 해변의 일몰을 구경하였다. [2022-12-11 작성]

이곳저곳 2022. 12. 11. 12:33
전곡항·탄도항 (2022갈) 경기 화성시 서신면, 안산시 선감동 (일몰)

▣ 전곡항과 탄도항의 일몰 (2022년 9월) 전곡항(前谷港)은 경기도 화성시(華城市) 서신면(西新面) 전곡리(前谷里)에 있는 항구이고 탄도항(炭島港)은 경기도 안산시(安山市) 단원구(檀園區) 선감동(仙甘洞)에 있는 항구이다. 두 항구는 바닷길로 500 미터 거리를 두고 서로 마주 보고 있다. 전에는 전곡항과 대부도(大阜島) 사이에 탄도(炭島, 숯무루) 불도(佛島) 선감도(仙甘島)가 있었고, 선감도에는 일제 때 설치한 선감학원(강제수용소)이 (광복 이후에도) 있었다고 한다. ▲ 전곡항 일몰 제부도해상케이블카 캐빈이 움직이고 탄도항 쪽 풍력발전기 바람개비가 돌아가는 가운데 노을이 지고 있다. ▲ 탄도항 일몰 탄도항 풍력발전기 바람개비 너머로 지는 해 ▲ 탄도항 누에섬과 전망대(정자) 조망 ▲ 다녀와서 20..

이곳저곳 2022. 12. 10. 13:05
채석강의 수궁가 (2022갈) 전북 부안군 변산면 격포리

▣ 채석강의 수궁가 (2022년 9월) 해 저무는 채석강(彩石江)에 수궁가가 울려 퍼졌다. 밀려오는 파도와 무심히 나는 갈매기를 배경으로. (2022 전주세계소리축제의 일환인) 이 공연은 왕기석 판소리 명창이 바닷가 공연을 제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라 한다. 명창은 멋진 일몰이 아님을 아쉬워했지만 바닷가 공연 자체가 멋진 일이 아니겠는가. [2022-12-07 작성]

이곳저곳 2022. 12. 7. 16:21
모항해수욕장 (2022갈) 전북 부안군 변산면 도청리 (모항해변)

▣ 모항해변의 일몰과 모항경관졸음쉼터(전망대)의 일출 (2022년 9월) 모항(茅項)해변은 전북 부안군(扶安郡) 변산면(邊山面) 도청리(道淸里)에 있는 (아담하고 아늑한) 해수욕장이다. 모항 경관 졸음쉼터는 모항해변으로부터 곰소항 방면으로 3km쯤 떨어진 곳(30번 국도변)에 있다. 그곳에 전망타워와 전망데크가 있다. ▲ 모항 해변 (모항해수욕장, 모항캠핑장) ▲ 모항 경관 졸음쉼터 (전망대) - 곰소만 쪽으로 떠오르는 해 ▲ 다녀와서 2022년 9월 하순 현재, 모항해수욕장 캠핑장 이용료는 (선착순) 1만 원이다. 해변으로 나가는 길과 산책로가 캠핑 사이트를 통과한다. 이를 감수한다면 최고의 조망을 가진 캠핑장이라 하겠다. 모항 졸음쉼터 전망대의 전망데크나 전망타워에서 일출을 감상할 수 있다. 전망타워..

이곳저곳 2022. 12. 6. 15:23
농월정과 거연정 (2022갈) 경남 함양군 (화림동계곡)

▣ 농월정과 거연정 (2022년 11월) 거연정과 그 인근의 군자정은 경남 함양군(咸陽郡) 서하면(西下面) 봉전리(鳳田里)에, 농월정은 안의면(安義面) 월림리(月林里)에 있는 정자이다. 화림동(花林洞) 계곡의 선비문화 탐방로 제1구간은 거연정부터 농월정까지 금천(남강)을 따라가는 6 킬로미터 코스이다. 물웅덩이와 기암 그리고 정자가 어우러진 화림동계곡을 누정문화(정자문화)의 메카라고들 한다. ▲ 농월정(弄月亭) 조선 인조 때 지족당(知足堂) 박명부(朴明榑)가 농월정을 처음 지었고, 2003년 소실, 2015년 다시 지었다. 농월정이란 이름에는 (달빛을 보고 즐긴다는 뜻만이 아니라) 나라를 위기에서 구한 재사(노중련)를 달처럼 여겨 기린다는 뜻도 들어 있다고 한다. 농월정을 지은 때가 삼전도의 굴욕 직후이..

이곳저곳 2022. 12. 4. 12:57
덕우리 대촌마을 (2022갈) 강원도 정선군 정선읍

▣ 정선 덕우리 대촌마을 (2022년 10월) 정선 덕우리에 대촌(大村) 마을과 백오담(白烏潭, 일명 백우담) 마을이 있다. 뼝대와 어천(魚川)이 갈라놓은 두 마을을 징검다리가 이어주고 있다. (동강의 깊은 골짜기와 달리) 어천의 뼝대 건너편 둔덕에 마을도 있고 밭도 있고 정자도 있다. 황순원의 소나기에 나오는 징검다리가 아마 이런 곳이 아니었을까. 덕우리(德雨里)는 덕산기(德山基)와 백우담(白雨潭)마을을 합쳐 이름하였다고 한다. △ 대촌마을 반선정(伴仙亭) 둘레, 2022년 10월 초순 △ 대촌마을 반선정 둘레, 2022년 10월 하순 △ 대촌마을과 백오담마을을 잇는 징검다리 △ 지나가다 2022년 10월 초, 차 타고 지나가다 덕우리 백오담마을 풍경에 끌려 '덕우리(대촌마을)' 버스정류장 쪽 마을길 ..

이곳저곳 2022. 12. 1. 17:39
단양 강변길 (2022갈) 충북 단양군 단양읍 (단양강잔도길)

▣ 단양 (남한강) 강변길, 단양강 잔도길 (2022년 10월) 고수대교 - 구경시장 - 수변로 (삼봉로) - 상진대교 밑 - 단양강잔도 ▲ 단양 남한강 사진 △ 단양읍 (남한강) 야경 △ 단양읍 (남한강) 강변길 (수변로) △ 단양강잔도 ▲ 다녀와서 2022년 10월 말, 단양읍 강변길(수변로)을 걷고 구경시장도 구경하고 단양강 잔도길도 걸었다. 단양읍은 물의 고을이자 (밤에는) 불의 고을이었다. 양방산에서 떠오른 패러글라이더가 단양 (구경시장 쪽) 하상주차장에 잇달아 내려앉는다. 마늘통닭(닭강정) 사려는 사람들이 구경시장에 줄을 선다. 단양관광호텔 인근의 (단양코스모스꽃길) 하상주차장에 주차하고 단양강잔도길을 걸었다. 월요일은 만천하스카이워크가 휴장이라 별다른 대중교통수단이 없어 잔도길을 되짚어 돌아..

이곳저곳 2022. 11. 30. 14:43
서해낙조 (2022갈) 서해 항구의 락조 (일몰, 노을)

▣ 서해락조 사진 몇 점 (2022년 9월) 2022년 9월 중하순에 서해안을 따라 여행하다 만난 노을 [2022-11-25 작성]

이곳저곳 2022. 11. 25. 12:16
육백마지기 (2022갈) 강원 평창군 미탄면 회동리 (평창 청옥산)

▣ 청옥산 육백마지기 (2022년 10월) 육백마지기는 강원도 평창군(平昌郡) 미탄면(美灘面) 회동리(檜洞里) 청옥산(해발 1,255미터) 산정 언저리에 있는 평원이다. 풍력발전기 너머로 여름철 은하수가 흐르고 넓게 조성된 산비탈에는 (심어놓은) 여름꽃들이 피어나기도 한다. 차박 명소로 알려진 육백마지기 주차장은 그 자체가 훌륭한 전망대이기도 하다. ▲ 육백마지기 사진 △ 육백마지기 아침 풍경 - 바람개비와 운해 그리고 일출 △ 서쪽 운해 육백마지기 주차장 쪽에서 바라본 남서쪽 풍경 △ 동쪽 운해 육백마지기 남동쪽은 (청옥산 정상처럼 숲이 우거져) 시야가 트인 곳이 거의 없다. △ 육백마지기 주차장과 그 둘레 ▲ 다녀와서 2022년 10월 말, 청옥산 육백마지기에 다녀왔다. 정선-평창 간 42번 국도 상..

이곳저곳 2022. 11. 18. 21:13
어라연 (2022갈) 강원도 영월읍 거운리

▣ 영월 동강 어라연 (2022년 10월) 어라연은, 뼝대를 휘돌아 흐르는 동강과 푸르른 물 가운데 솟은 기암괴석 그리고 바위틈의 소나무가 어우러져 한 폭의 산수화를 연상케 하는 곳으로 옛날 선인들이 내려와 놀았다 하여 삼선암·정자암이라고도 불린다. 한 낚시꾼이 어라연 뱀에 둘둘 말렸을 때 황쏘가리가 나타나 목숨을 구해줬다는 곳이기도 하다. 어라연 하류의 된꼬까리 지나자마자 (정선아리랑에도 나오는) 만지 전산옥 주막은 예전 (한양까지 알려질 정도로) 떼꾼들에게 인기가 있었다는데 이제는 탐방로 한켠에 옛터를 알리는 팻말만 남았을 뿐이다. [출처 : 어라연 안내판 내용 편집] ▲ 어라연 사진 (2022년, 2005년) △ 잣봉 전망대(전망장소)에서 바라본 어라연 (망원렌즈 촬영) (2022년 가을) △ 어라..

이곳저곳 2022. 11. 16. 11:02
이전 1 ··· 13 14 15 16 17 18 19 ··· 28 다음
이전 다음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