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급치산 전망대 (2023년 9월) 급치산(急峙山) 전망대는 전남 진도군 지산면(智山面) 심동리(深洞里)에 있는 (낙조) 전망대이다. (조도와 그 둘레) 섬 많은 바다로 떨어지는 해를 볼 수 있다. △ 급치산전망대 일몰 1 (좌우압축사진) △ 급치산전망대 일몰 2 수평선 구름 기둥 너머로 노을이 물들고 바다엔 밤배가 하나둘 붉을 밝힌다. △ 급치산전망대 일몰 3 2023년 9월 중순, 전남 진도 급치산 전망대에서 일몰을 구경하였다. 급치산전망대는 동석산큰애기봉전망데크와 더불어 진도 최고의 낙조전망대라 할 수 있다. 산기슭의 세방낙조전망대는 숲에 가려 바다 조망이 그다지 좋지 않고 해안도로변의 세방낙조휴게소는 지대가 낮아 바다 조망이 반감된다. 동석산큰애기봉전망데크는 걸어서(등산하여) 올라야 한다. 급치..

▣ 진도대교와 진도타워 (2023년 9월) 진도대교는 전남 해남군 문내면 학동리(鶴洞里)와 진도군 군내면 녹진리(鹿津里) 사이에 놓인 연륙교로서 다리길이 484미터이다. 진도대교는 1984년에, 제2진도대교는 2005년 개통되었다. 2021년 개통된 명량해상케이블카(길이 약 1킬로미터)는 해남 우수영국민관광지와 진도타워 사이 울돌목(명량해협)을 (진도대교와 나란히) 가로지른다. 진도타워는 명량해상케이블카 진도스테이션 바로 옆에 위치하며 2013년 개관하였고 7층에 전망대가 있다. ▲ 진도대교 ▲ 진도타워에서 바라본 풍경 ▲ 진도대교 야경 ▲ 다녀와서 2023년 9월 중순, 전남 울돌목(명량해협)의 진도대교와 진도타워를 구경하였다. 1597년 이순신장군은 왕(선조)의 견제와 (나라의 위기 속에서도 작당질(..

▣ 정선 타임캡슐공원의 별 (2023년 9월) 정선 타임캡슐공원은 강원도 정선 신동읍 조동리(鳥洞里)에 있는 공원으로, 2001년 영화 '엽기적인 그녀'의 촬영지 가운데 하나이다. 엽기 소나무 둘레에 (유료로 한시적 보관) 타임캡슐을 묻을 수 있다. 배추밭 너머로 은하수를 볼 수도 있다. △ 안드로메다 은하 (Andromeda Galaxy) - 지구로부터 거리 약 250만 광년, 은하 지름 약 22만 광년 △ 플레이아데스 성단 (Pleiades star cluster, Maia Nebula) - 지구로부터 거리 440광년, 푸르게 빛나는 젊은 별 △ 정선 타임캡슐공원 은하수 - 태양계가 속한 우리 은하, 지름 약 10만 광년, 두께 0.1만 광년 △ 정선 새비재 일몰 - 지구에서 태양까지 거리 약 0.0..

▣ 경복궁 야경 (2023년 9월, 2022년 9월) 경복궁과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은 서울 종로구 세종로에 있다. 올 구시월에 (경복궁 근정전과 경회루 일원을 밤에 개장하는) 2023 가을 경복궁 야간관람 행사가 진행 중이다. 광화문 인근의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옥상정원에서도 경복궁 야경을 조망할 수 있다. ▲ 대한민국 역사박물관에서 바라본 경복궁 야경 (2023년) ▲ 경복궁 야간관람 (근정전) ▲ 경복궁 야간관람 (경회루) ▲ 경복궁 야간관람 (근정문-흥례문-광화문) (2022년 촬영) ▲ 대한민국 역사박물관(8층 옥상정원)에서 바라본 경복궁과 북악산 월대 복원공사 중인 광화문과 경복궁, 경복궁(청와대) 뒷산 북악산, 그 너머 왼쪽에 비봉릉선, 오른쪽에 보현봉이 보인다. ▲ 다녀와서 2022년 9월 초순과 ..

▣ 고래불해수욕장, 도해단, 영덕대진항 (2023년 2월) 고래불 해수욕장은 경북 영덕군 병곡면 병곡리(柄谷里)에, 도해단과 대진항은 같은 군 영해면(寧海面) 대진리(大津里)에 있다. 고래불해수욕장과 대진해수욕장 사이 시오리에 백사장이 기다랗게 펼쳐져 있다. ▲ 고래불해변 - 뭍으로 올라온 고래 고래불은 고래가 노는 뻘이라 뜻으로 고래불이라 불리게 됐다는 설과, 목은 이색이 병곡 앞바다 고래가 하얀 분수를 뿜으며 노는 모습을 보고 고래불이라 일컬은 데서 유래됐다는 설이 있다. ▲ 대진 산수암(도해단)과 그 둘레 (영덕대진항) - 왜적에 침탈당하는 나라를 구할 길(계책, 방책)을 (더 이상) 찾지 못해 바다를 밟고 들어가는 길(절의)을 택하다 - 벽산 김도현 △ 지나다가 2023년 2월 하순, 동해안을 따..

▣ 등기산 스카이워크 (2023년 2월, 3월) 경북 울진군 후포면 후포리(厚浦里) 후포항 뒤 (옆으로 누운 돝 형국의) 산언덕에 등기산(등대)공원이 있고 그 발치께 바다에 등기산스카이워크가 있다. 이 둘은 출렁다리로 연결된다. △ 멀리서(옆에서) 바라본 등기산 스카이워크 △ 위에서 바라본 등기산스카이워크 △ 등기산(登起山) 등대공원 △ 그 밖 2023년 2월 하순과 3월 하순에 후포 등기산(등대)공원과 스카이워크를 찾았다. 등기산 스카이워크와 출렁다리는 입장(통행) 시간이 정해져 있었으나 등기산 등대공원은 자유롭게 드나들었다. 등기산 스카이워크 입장료나 주차료 없었다. 등기산 (등대) 공원에는 실제 사용 중인 후포등대와 여러나라(스코틀랜드, 프랑스 등)의 등대 모형이 있었다. 미술 조형물과 신석기 유적..

▣ 비둘기낭폭포, 한탄강하늘다리 (2023년 6월, 8월) 경기 포천 영북면 불무산(佛舞山)에서 발원한 불무천은 대회산리(大回山里) 땅을 흘러 한탄강과 합류한다. 이 불무천 하류 개먹은 곳에 비둘기낭폭포(2012년 천연기념물 제537호로 지정)가 숨어 있다. 비둘기낭 폭포 인근의 포천 한탄강 하늘다리는 협곡 위 50미터 높이로 건립된 출렁다리(길이 200m, 폭 2m로 2018년 완공)이다. △ 비둘기낭 폭포 [鴿子囊瀑布] 한탄강 지류인 불무천의 폭포로서 비 온 뒤에 폭포수 물줄기를 볼 수 있다. △ 한탄강 하늘다리와 마당교 (2023년 6월) 하늘다리 주차장(비둘기낭폭포로부터 500미터 거리)에서 한탄강 생태관광단지(주차장)로 건너가는 다리들이다. △ 포천 한탄강 생태경관단지 (2023년 6월) 202..

▣ 직탕폭포, 태봉대교, 은하수교, 승일교(한탄대교) (2023년 6월) 한탄강주상절리길 2코스 가운데, (평야지대에 움푹 패여 흐르는) 한탄강을 따라 (철원 동송읍 장흥리에) 직탕폭포, 태봉대교, 은하수교, 승일교가 있다. △ 직탕폭포(直湯瀑布) △ 태봉대교 △ 은하수교 △ 한탄대교와 승일교(承日橋) 2023년 6월 초순, 한탄강 주상절리길(한여울 1코스) 중 직탕폭포~태봉대교~은하수교 구간을 걸었다. 절벽 아래로 한탄강이 내려다보이는 코스이다. 은하수교는 통행제한 시간이 있었다. 태봉대교, 은하수교, 승일교에는 무료주차장과 공중화장실이 갖춰져 있었다. [2023-08-21 작성]

▣ 연천 호로고루 (2023년 5월)와 당포성(2023년 7월) 호로고루(瓠蘆古壘)는 경기도 연천군(漣川郡) 장남면(長南面) 원당리(元堂里), 임진강(臨津江) 강기슭(북안)에 있는 (고구려 성곽의) 보루이다. 호로고루가 있는 고랑포(高浪浦) 일대의 임진강을 예전에는 호로하(瓠蘆河)라고 불렀다. 당포성(堂浦城)은 같은 군(郡) 미산면(嵋山面) 동이리(東梨里)에 있는 (축조방식이 호로고루와 흡사한) 임진강변의 고구려성이다. 임진강을 국경으로 삼았던 시대, (고구려가 강 건너 나라의) 군사 행동을 경계하던 곳(군사적 요충지)이라 한다. ▲ 연천 호로고루 옛날 고구려 신라 (당나라) 병사들이 전투를 벌인 곳, 현재는 휴전선과 가까운 곳. △ 연천 호로고루의 밤 △ 호로고루 잔디밭의 아침 안개와 저녁 빛 ▲ 연천..

▣ 안흥항 일출(2023년 초)과 채석포항 일몰(2022년 말) 안흥항은 충남 태안군 근흥면 정죽리(程竹里)에 있고 채석포항은 같은 면 도황리(都璜里)에 있다. 안흥항의 안흥나래교는 2017년 완공된 해상 인도교(길이 293미터, 폭 4미터)로서 신진도 해양유물전시관과 연결된다. (안흥나래교는 갈매기 날갯짓 모습의 2 경간 연속 아치교로서 보행거리는 라선형 램프 포함하여 394미터이다.) △ 2023 안흥나래교 해맞이 △ 2022 채석포항 해넘이 △ 생각나는 대로 2022년 말 채석포항(採石浦港)에서 (산 너머) 일몰 보고, 2023년 초 안흥항(安興港)에서 (해무 위) 일출을 보았다. 일기 상 바다에서 바로 뜨는 해가 아니었고 지형상 바다로 바로 지는 해가 아니었다. 바다에 안개구름 끼어 안흥나래교 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