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삼천포대교 (2023년 5월) 경남 사천시 대방동- 삼천포(三千浦)대교 - 모개섬 - 초양(草養)대교 - 초양도 - 늑도(勒島)대교 - 늑도- 창선(昌善)대교 - 남해군 창선도로 이어진 다리들을 묶어 창선삼천포대교라 한다. 2003년 개통되었다. 삼천포대교와 나란히 바다를 가로지르는 사천바다케이블카는 2018년 개통되었다. △ 삼천포대교 야경 △ 초양도에서 바라본 삼천포대교 △ 청널공원 쪽에서 바라본 삼천포대교 △ 삼천포대교공원 △ 하동금오산 전망대에서 바라본 삼천포대교 (이상 2023년) △ 각산에서 바라본 삼천포대교 (2021년) 2023년 5월 말과 6월 초에 촬영한 사진에다 2021년 10월 중순에 촬영한 사진을 덧 붙임. (2023-07-09 작성)

▣ 남해 지족해협 죽방렴 (2023년 6월) 남해도와 창선도 사이의 지족해협에 죽방렴(竹防簾)이 설치되어 있다. 남해도와 창선도로 둘러싸인 바다의 물이 지족해협을 빠져나갈 때 (썰물 때) 대나무 어살에 멸치 등의 물고기가 갇힌다. 2010년 문화재청은 남해지족해협 죽방렴 23통을 명승 제71호로 지정하였고, 2015년 해양수산부는 남해 죽방렴을 국가중요어업유산 제3호로 지정하였다. [출처 : 농가섬 입구 죽방렴 전망대 안내판] △ 창선교 서쪽 죽방렴 어선 한 척이 죽방렴 어획작업을 마치고 지족항(只族港)으로 돌아간다. 죽방렴에 새들이 모여들었다. △ 죽방렴 관람대 (농가섬 입구) △ 창선교 동쪽 죽방렴 2023년 6월 초 남해 지족항과 창선교 다리 위에서 죽방렴을 구경하였다. 밀물 때 그냥 스쳐 지나쳤던..

▣ 이순신대교 (2023년 5월) 전남 여수시 묘도(猫島)와 광양시 금호동(金湖洞)을 잇는 이순신대교는 총연장 2,260m, 주경간 1,545m인 현수교로서 주경간장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길고 해수면에서 상판까지 높이는 80m로 우리나라에서 가장 높다. 다리 아래로 대형선박이 무난히 통과할 수 있다. 2012년 임시개통, 2013년 정식개통하였고 다리 통행 제한속도 시속 60km, 통행료 없다. 참고로 이순신 장군이 태어난 해는 1545년이다. △ 광양에서 바라본 이순신대교 △ 여수 묘도(이순신대교 홍보관 쪽)에서 바라본 이순신대교 2023년 5월 하순 이순신대교를 건너게 되었다. 광양시 중동 홍익돈까스 앞 소공원과 여수시 묘도 이순신대교 홍보관(이순신전망대, 휴게소 주차장)에서 이순신대교를 촬영하였다. ..

▣ 물건항 (2023년 5월) 물건항은 경남 남해군 삼동면(三東面) 물건리(勿巾里)에 있는 항구이다. 물건해변을 따라 방조어부림(防潮魚付林, 물고기가 꾀이는 방조림)이 조성되어 있다. 2023년 5월 말 남해도 물건항을 지나가게 되었다. 이곳은 어업과 농업, 바다레포츠와 전망 좋은 언덕 주거지, 방조림 등이 공존하는 특이한 곳이라 하겠다. 조수의 피해를 막는 방조림이자, 물고기가 몸을 의탁하는 (물고기 쉘터 역할을 하는) 어부림인 방조어부림은 1640년에 식재되었다고 한다. '어부림'이란 어려운 말은 일본어에서 가져온 말인 듯하다. [2023-06-26 작성]

▣ 고성 포교항 (2023년 6월) 포교항은 경남 고성군(固城郡) 삼산면(三山面) 두포리(豆布里)에 있는 (아담하고 아름다운) 항구이다. △ 고성 포교항(布橋港) 사진 1 △ 포교항 사진 2 △ 포교항 사진 3 2023년 6월 초, 고성 포교항을 찾았다. 해수면이 부두 도로면 가까이 올라와 있었고 물결이 거의 일지 않았다. 잔잔한 호수면 같은 바다에 노을이 반영된다. 포교항에 '나포리횟집'이라는 간판이 걸려 있었다. 나포리라는 상호를 가진 횟집들이 (이곳저곳에) 종종 눈에 띄지만 (잘 가꿨으면) 이곳이 진정 나폴리가 되지 않았을까 생각해 본다. 포교마을 남동쪽의 콘크리트 방파제와 포교항 콘크리트 데크 (주차장) 설치 전에 이곳을 방문했었다면 좋았을 것이다. 포교항 들머리 언덕배기에 이곳이 '참장어 원조 ..

▣ 노량대교와 남해대교 (2023년 5월) 노량대교(2018년 개통)와 남해대교(1973년 개통)는 하동군 금남면 노량리와 남해군 설천면 노량리 사이에 놓인 연륙교이다. 다리 북쪽에는 신구노량마을이 있고 남쪽 남해도에는 (이순신장군 가묘가 있는) 충렬사가 있다. 이순신 장군은 정유재란 때 노량해전(露梁海戰) 중 남해도 관음포에서 전사(1598년)하였다. △ 구노량(하동군 노량리)에서 바라본 남해대교와 그 너머 노량대교 △ 남해충렬사(남해군 노량리) 쪽에서 바라본 남해대교와 노량대교 △ 남해대교와 노량대교 사이(하동군 노량리)에서 바라본 풍경 △ 노량항(신노량)에서 바라본 노량대교 2023년 5월 하순 노량항과 남해충렬사, 관음포 등지를 돌며 남해대교와 노량대교를 여러 번 건너게 되었다. 이순신장군과 왜적..

▣ 팔영대교, 둔병대교, 적금대교 (2023년 5월) 여수의 섬과 섬(또는 고흥)을 잇는 다리 가운데 팔영대교는 현수교, 둔병대교는 사장교, 적금대교는 아치교의 자태를 뽐내고 있다. △ 팔영(八影)대교와 팔영산 - 고흥지역 보다 여수지역에서 팔영산이 더 돋보이는 듯 △ 둔병(屯兵)대교 △ 적금(積金)대교 ▲ 다녀와서 2023년 5월 하순, 조발도와 둔병도 그리고 적금도 전망공원을 찾았다. 둔병도 둔병마을과 연결된 섬의 해안산책로를 걸었으나 순환산책길은 아니었다. [2023-06-20 작성] 촬영 : PhotoSeoul.com_()_poolpiri(草笛, 초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