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량사 / 淸凉寺 / CheongryangsaTemple △ 청량사는 경북 봉화군(奉化郡) 명호면(明湖面) 북곡리(北谷里) 청량산(淸凉山)에 있는 절이다. 우리나라 삼대 기악(奇嶽) 가운데 하나인 청량산의 열두 봉우리[六六峰]에 둘러싸여 있다. 신라 문무왕 때 원효가 창건하였다. 고려 공민왕이 친필로 쓴 유리보전(琉璃寶殿) 편액이 있다. 대한불교조계종 제16교구 본사인 고운사(孤雲寺)의 말사이다. 2001년 열린 청량사 산사음악회의 인기를 타고 다른 절에서도 산사음악회가 유행처럼 열리게 되었다. △ 청량사 가는 길 ¶ 봉화->버스 타고 북곡(청량산입구) (하루 4회) ※ 문의 054-673-4400 ¶ 안동->버스 타고 북곡(청량산입구) (하루 5회) ※ 문의 054-859-4571 ▲ 청량사 사진 ..

▣ 성주사터 / 聖住寺址 / SeongjusaTempleSite △ 성주사는 충남 보령시(保寧市) 성주면(聖住面) 성주리(聖住里)에 있는 절터이다. 라말려초의 구산선문 가운데 성주산파의 총 본산이었다. 백제 법왕 때 (599년) 현 성주사터에 오합사(烏合寺)를 창건하였다. 신라 문성왕 때 무염이 중창한 뒤, 왕이 성주사라는 이름을 내렸다. 경내에는 성주사지 랑혜화상탑비 ( 保寧 聖住寺址 郎慧和尙塔碑, 국보 제8호 ) 성주사지 오층석탑 ( 聖住寺址 五層石塔, 보물 제19호 ) 성주사지 중앙 삼층석탑 ( 聖住寺址 中央 三層石塔, 보물 제20호) 성주사지 서 삼층석탑 ( 聖住寺址 西 三層石塔, 보물 제47호) 성주사지 동 삼층석탑 ( 聖住寺址東三層石塔, 시도유형문화재 제26호 ) 등의 문화재가 있다. △ 성주..
▣ 정암사 / 淨巖寺 / JeongamsaTemple △ 정암사는 강원 정선군(旌善郡) 고한읍(古汗邑) 고한리(古汗里) 함백산 자락에 있는 절이다. 정암사 일주문 편액은 태백산정암사(太白山淨岩寺)이다. 정암사는 한국 오대적멸보궁 가운데 하나이다. 신라 때 자장율사가 현 정암사 자리에 석남원(石南院)을 창건하고 수마노탑에 석가모니의 진신사리를 모셨다. 한국 대한불교조계종 제4교구 본사인 월정사의 말사이다. 경내에는 수마노탑 (旌善 淨岩寺 水瑪瑙塔, 보물 제410호)이 있다. 절 일대에 열목어가 서식한다. △ 정암사 가는 길 ¶ 고한터미널 ->만항 가는 군내버스 타고 정암사 앞 하차 (하루 4회, 10분 소요) ※ 링크 : 고한터미널-정암사버스시간표

▣ 직지사 / 直指寺 / JikjisaTemple △ 직지사는 경북 김천시(金泉市) 대항면(代項面) 운수리(雲水里) 황악산(黃嶽山) 기슭에 있는 절이다. 선가의 종지인 교외별전, 직지인심, 불립문자, 견성성불에서 직지사라는 이름이 유래했을 수도 있다. 신라 눌지왕 때 아도화상가 창건하였다는 설이 있다. 고려 태조 때 능여대사가 중건하였다. 조선 임진왜란 때 직지사 주지였던 사명(四溟)이 큰 공을 세워, 직지사는 조선 팔대가람으로 꼽혔다. 조선 임진왜란 때 불탔고, 조선 광해군 때 재건하였다. 일제 때 직지사는 해인사의 말사가 된 적이 있다. 대한민국 대한불교조계종 제8교구 본사이다. 경내에는 석조약사여래좌상(直指寺石造藥師如來坐像, 보물 제319호), 대웅전 삼존불 탱화 (直指寺大雄殿三尊佛幀畵, 영산·아미..
▣ 수타사 / 壽陀寺 / SutasaTemple △ 수타사는 강원 홍천군(洪川郡) 동면(東面) 덕치리(德峙里) 공작산(孔雀山) 아래 덕치천변에 있는 절이다. 조선 세조 때 수타사(水墮寺)라는 이름을 얻었다. 조선 임진왜란 때 전소되었고 그 이후 중건되었다. 조선 순조 때 절 이름이 수타사(壽陀寺)로 바뀌었다. 대한민국 대한불교조계종 제4교구 (본사는 월정사)에 속해 있다. 경내에는 사인비구 제작 동종 - 홍천수타사동종 (思印比丘 製作 銅鍾 - 洪川壽陀寺銅鍾, 보물 제11-3호), 수타사 월인석보 권17~18 (月印釋譜 卷 十七~十八, 보물 제745-5호) 등의 문화재가 있다. 절 입구에 수변관찰로, 절 둘레에 숲속체험길이 조성되어 있고 절 옆에 물 푸른 용담이 있다. △ 수타사 가는 길 ¶ 홍천시외버스터..
상원사 / 上院寺 / SangwonsaTemple 상원사는 강원 평창군(平昌郡) 진부면(珍富面) 동산리(東山里) 오대산(五臺山) 중턱에 있는 절이다. 신라 선덕여왕 때 자장율사가 창건하였다. 조선 세조가 상원사에서 피부병을 치료하였다. 한국전쟁 때 한암스님이 상원사를 지켜냈다. 한국 오대적멸보궁 가운데 하나이다. 경내에는 상원사 동종 (上院寺 銅鍾, 국보 제36호), 상원사 목조문수동자좌상 (上院寺 木造文殊童子坐像, 국보 제221호) 등의 문화재가 있다. 상원사 고양이상은 세조와 고양이에 얽힌 이야기를 전한다. 상원사 동종은 신라 성덕왕 24년 (725년)에 만들어졌고 조선 예종 때 안동에서 상원사로 옮겨졌다. 상원사 가는 길 ¶ 진부시외버스터미널 -> 상원사행 버스 타고 상원사 하차 ※ 링크 : 상원사..
월정사 / 月精寺 / WoljeongsaTemple 월정사는 강원 평창군(平昌郡) 진부면(珍富面) 동산리(東山里) 오대산(五臺山)에 있는 절이다. 신라 선덕여왕 때 자장율사가 창건하였다. 고려 충렬왕 때 전소된 것을 이일이 중창하였고 조선 순조 때 불탄 것을 조선 헌종 때 영담 정암 등이 중건하였다. 한국 전쟁 때 불탔고 1964년 탄허가 적광전을 중창하였다. 대한민국 대한불교조계종 제4교구 본사이다. 경내에는 월정사팔각구층석탑 (月精寺八角九層石塔, 국보 제48호), 월정사 석조보살좌상 (月精寺 石造菩薩坐像, 보물 제139호) 등의 문화재가 있다. 월정사 가는 길 ¶ 진부시외버스터미널 -> 월정사,상원사행 버스 타고 월정사 하차 § 링크 : 진부시외버스터미널에서 월정사 가는 버스시간표

▣ 불영사 / 佛影寺 / BulyeongsaTemple △ 불영사는 경북 울진군(蔚珍郡) 서면(西面) 하원리(下院里) 천축산(天竺山) 아래 불영계곡에 있는 절이다. 연못에 살던 용을 내쫓고 그 자리에 세운 절이다. 천축산 쪽의 부처 영상이 불영지 연못에 비친다고 한다. 신라 진덕여왕 때 의상이 창건하였다. 조선 태조 때와 연산군 때 중건하였으나 임진왜란 때 응진전(당시는 영산전)을 제외하고 모두 불탔다. 조선 광해군 때 진성법사가 재건하는 등 중수가 거듭되었다. 대한민국 대한불교조계종 제11교구(본사는 불국사)에 속해 있는 비구니 절이다. 경내에는 불영사 응진전 (蔚珍 佛影寺 應眞殿, 옛이름은 영산전, 보물 제730호)과 불영사 대웅보전 (蔚珍 佛影寺 大雄寶殿, 보물 제1201호) 등의 문화재가 있다. ..
법흥사 / 法興寺 / BeopheungsaTemple 법흥사는 강원 영월군(寧越郡) 수주면(水周面) 법흥리(法興里) 사자산(獅子山) 기슭에 있는 절이다. 신라 성덕여왕 때 자장율사가 이곳에 부처 진신사리를 봉안하고 흥녕사를 창건하였다고 전해온다. (흥녕사는 한국 오대적멸보궁 가운데 하나이다) 신라 경문왕 때 도윤(道允)이 능주 쌍봉사에서 사자산문을 개창하였고 도윤의 제자 절중(折中)이 사자산 흥녕선원에 머물면서 사자산문이 크게 발족하였다. (흥녕사는 라말려초의 구산선문 가운데 사자산문이다) 흥녕사는 신라 진성여왕 때 불타고 고려 혜종 때 중건하였으나 다시 불탔다. 1902년 비구니 대원각이 중건하고 절 이름을 법흥사로 바꿨다. 대한민국 대한불교조계종 제4교구(본사는 월정사)에 속해 있다. 경내에는 영월 ..
[ 전등사 사진 슬라이드 쇼 63 매, 30 MB] (구성 : 2008년 삼랑성동문 - 전등사대조루 - 대웅보전 - 나부상 - 륜장대 - 삼성각 - 죽림다원 - 남문(종해루) - 성돌이길에서내려다본전등사 - 2015년 사찰음식체험관 - 전등사경내 - 정족사고 - 템플스테이건물 - 신설법전) ▣ 전등사 / 傳燈寺 / JeondeungsaTemple▲ 전등사는 인천광역시 강화군(江華郡) 길상면(吉祥面) 온수리(溫水里)에 있는 절이다. 곧 강화도(江華島) 정족산성(鼎足山城) 안에 있는 절이다. [전등사의 발자취] ... (출처: 입장권) 고구려 소수림왕11년 (381년) 아도화상이 현 전등사 자리에 진종사 창건, 고려 고종46년 (1259년) 경내에 임시 궁궐을 짓고 나라와 왕실의 안위를 도모, 고려 충렬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