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종사 / 水鐘寺 / SujongsaTemple △ 수종사는 경기도 남양주시(南楊州市) 조안면(鳥安面) 송촌리(松村里) 운길산(雲吉山) 중턱에 있는 절이다. 수종사에서 바라보는 두물머리 풍경이 빼어나다. 수종사에는 팔각오층석탑과 수령 500년 은행나무가 있다. 다성(茶聖) 초의선사가 상경할 적에는 다산(茶山) 정약용 생가와 가까운 수종사에 머물렀다고 한다. 수종사의 다실 삼천헌(三泉軒)에서 두물머리를 바라보며 차를 즐길 수 있다. 1939년 수종사 석조부도를 고쳐 세울때 부도내유물(보물 제259호)이 발견되었다. § 링크 : 수종사 부도 사리장엄구 (水鐘寺 浮屠 舍利莊嚴具) 걸어서 수종사 ¶ 중부고속도로 하남IC -> 팔당대교 -> 6번국도 양수리방향 -> 조안교차로 -> 조안보건지소 -> 수종사주차..
▣ 대견사터 / 大見寺址 / DaegyeonsaTempleSite 대견사터는 대구광역시 달성군(達城郡) 유가면(瑜伽面) 용리(龍里) 비슬산에 있는 절터이다. 대견사터 남쪽은 가풀막졌으나 대견사터 북쪽은 진달래꽃이 무리지어 피는 너른 평원이다. 손바위, 백곰바위, 부처바위, 스님바위, 상감모자바위 등 바위들이 대견사터를 에워싸고 있다. △ 대견사터 가는 길 대구광역시 ->유가사행 또는 소재사행 버스 타고 종점 하차 -> 산길을 걸어 올라 대견사터 △ 대견사터 사진 (2004-04-24, 2006-04-30 촬영) [2013-01-04] [2022-11-09 티스토리 슬라이드쇼 에러 조치] △ 대견사터 사진 슬라이드 쇼 소스
▣ 망월사 / 望月寺 / MangwolsaTemple △ 망월사는 경기 의정부시(議政府市) 호원동(虎院洞) 도봉산 중턱에 있는 절이다. 신라 선덕여왕 때 해호화상이 창건하였다. 신라 경순왕의 태자, 청나라 원세개, 춘성스님 등과 인연이 있는 절이다. 경내에 천봉당 태흘탑과 탑비 등의 문화재가 있다. △ 망월사 가는 길 ¶ 전철1호선 망월사역 -> 산길을 걸어서 망월사 ▲ 망월사 사진 (2000-10-21, 2001-07-01, 2002-04-14, 2005-03-13, 2007-01-07 촬영) △ 낙수 망월사는 절보다 절 둘레 풍경이 아름다운 절이다. 영산전 너머 도봉산 정상부가 솟았고 망월사 뒷산의 바위들이 커다란 정원석처럼 늘어서 있다. 2001년 문수굴은 단청이 되어 있지 않았으나 2005년 찾았..

▣ 승가사 / 僧伽寺 / SeunggasaTemple △ 승가사는 서울 종로구(鍾路區) 구기동(舊基洞) 삼각산 사모바위 바로 아래에 있는 절이다. 신라 경덕왕 때 수태선사가 당서역 승가대사를 사모하여 삼각산 남쪽에 석굴을 조성하고 그 안에 승가대사를 모형하여 절 이름을 승가사라 하였다. [출처 : 승가사연혁 안내판 요약] 승가사는 조선 왕실의 4대원찰 (동불암, 서진관, 남삼막, 북승가) 가운데 하나였다. 김신조 일당이 승가사 근처에서 야영하였다. 경내에는 북한산구기리마애석가여래좌상 (北漢山舊基里磨崖釋迦如來坐像, 보물 제215호), 승가사 석조승가대사좌상 (僧伽寺 石造僧伽大師坐像, 보물 제1000호) 등의 문화재가 있다. △ 승가사 가는 길 ¶ 경복궁역 3번출구 -> 7212번 버스 타고 '승가사입구' ..
▣ 불갑사 / 佛甲寺 / BulgapsaTemple △ 불갑사는 전남 영광군(靈光郡) 불갑면(佛甲面) 모악리(母岳里) 불갑산에 있는 절이다. 백제 침류왕 때 인도승 마라난타가 모악산(母岳山) 기슭에 불갑사를 창건하였다. 조선 정유재란 때 전소된 뒤 여러 차례에 걸쳐 다시 지었다. 한국 대한불교조계종 제18교구 본사인 백양사의 말사이다. 불갑사 대웅전은 1985년 보물 제830호로 지정되었다. 해마다 9월이 오면 절 둘레에 꽃무릇이 피어난다. △ 불갑사 가는 길 ¶ 광주, 전주, 목포, 서울 ->직행,완행,고속 버스 타고 영광->군내버스 타고 불갑사 (하루 9회 운행) ¶ 서해안 고속국도 영광 IC->23번 국도 타고 영광읍->불갑면->불갑사 (영광군 불갑면 모악리 8) ▲ 불갑사 사진 (2009-09-1..
▣ 대원사 / 大院寺 / DaewonsaTemple △ 대원사는 전북 완주군(完州郡) 구이면(九耳面) 원기리(元基里) 모악산에 있는 절이다. 신라 문무왕 때 창건되었다. 고려 문종, 공민왕, 태조 때 중창하였다. 조선 선조 정유재란 때 불탔고, 영조와 고종때 중창하였다. 조선 말 증산(甑山) 강일순(姜一淳)이 이 절에서 도를 깨우쳤다. 한국 전쟁 때 불탔고 그 이후 다시 지었다. 대한불교조계종 제17교구 본사인 금산사의 말사이다. △ 모악산 대원사 가는 길 ¶ 김제시외버스터미널, 김제역 -> 시내버스 타고 금산사 (40~50분 소요, 하루 16~18편) ¶ 전주 방송통신대앞 -> 시내버스 타고 금산사 (50분 소요, 하루 41편) ¶ 전주시내 -> 구이면사무소 지나가는 버스 타고 구이면면사무소 하차 ¶ ..
▣ 백담사 / 百潭寺 / BaekdamsaTemple △ 백담사는 강원도 인제군(麟蹄郡) 북면(北面) 용대리(龍垈里), 설악산 내설악 백담계곡에 있는 절이다. 조선조 (1456년) 때 현 위치에 절을 짓고 백담사라 하였다. 조선 영조 때 불탔고 이후 다시 지어 심원사라 하였다. 조선 정조 때 (1783년) 다시 백담사라고 이름을 바꾸었다. 일제 때 만해 한용운이 백담사에서 '님의침묵' 등을 집필하였다. 한국 전쟁때 불탔고 1957년 재건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대한불교조계종 제3교구 본사인 신흥사의 말사이다 △ 백담사 가는 길 ¶ 동서울 -> 시외버스 타고 용대리-> 걸어서 백담매표소 -> 셔틀버스 타고 백담사 ※ 백담사 셔틀버스는 통상 첫눈이 내리면 이듬해 봄 눈 녹을 때까지 운행을 중단한다. § 링..

▣ 동화사 / 桐華寺 / DonghwasaTemple △ 동화사는 대구광역시 동구(東區) 도학동(道鶴洞) 팔공산(八公山) 자락에 있는 절이다. 신라 소지왕 때 (서기493년) 극달화상이 유가사로 창건하였다. 신라 흥덕왕 때 (서기832년) 심지대사가 중창하고 동화사로 고쳐 불렀다. 조선 임진왜란 때 사명대사가 이곳에 승군사령부를 설치하였다. 대한민국 대한불교조계종 제9교구 본사이다. [출처 : 경내 안내판] 경내에는 사명당유정 진영(보물 제1505호), 동화사 목조약사여래좌상복장전적(보물 제1607호), 동화사 아미타회상도(보물 제1610호), 동화사 보조국사 지눌진영(보물 제1639호) , 삼장보살도(보물 제1772호), 지장시왕도(보물 제1773호) 등의 문화재가 있다. 봉서루(鳳棲樓) 아래에 있는 ..
▣ 봉선사 / 奉先寺 / BongseonsaTemple △ 봉선사는 경기도 남양주시(南楊州市) 진접읍(榛接邑) 부평리(富坪里)에 있는 절이다. 고려 광종 때 법인국사 탄허가 창건하고 운악사라 하였다. 조선 예종 때 세조의 비 정희왕후가 세조의 능침 (광릉)을 추모하여 이 절을 중창하고 봉선사라 하였다. 조선 명종 때 교종의 으뜸 사찰로 지정되어 봉선사에서 승과시를 치르기도 하였다. 조선 선조 때 임진왜란과 조선 인조 때 병자호란을 겪으며 소실되었다. 대한민국 한국전쟁 때 다시 전소되었다. 대한민국 대한불교조계종 제25교구 본사이다. 봉선사에서는 2003년부터 해마다 7월 하순 쯤에 봉선사 연꽃축제를 연다. 봉선사 문화재로는 봉선사 동종 (奉先寺 銅鍾, 보물 제397호)이 있다. △ 봉선사 가는 길 [대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