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문사 슬라이드 쇼 사진 48 매, 24 Mb ] ( 구성 : 낙가산(상봉산)에서 바라본 보문사 - 극락보전 - 눈썹바위 마애불 - 마애불 가는 길 - 보문사 경내 - 윤장대 - 오백나한 - 석굴 - 삼성각 - 와불전 - 봉향각 - 일주문 - 서해바다 전망대 ) ▣ 보문사 / 普門寺 / Bomunsa(Temple) (2003년 5월, 2014년 10월) ▲ 강화 보문사는 인천광역시 강화군(江華郡) 삼산면(三山面) 매음리(煤音里) 낙가산에 있는 절로서, 남해 보리암 · 양양 낙산사와 더불어 대한민국 삼대 해수 관음보살 영지 가운데 하나이다. 절에서 서해 바다가 바라다보인다. 석모도(席毛島)에는 해명산(海明山), 상봉산(上峰山), 상주산(上柱山) 등 세 산이 있어 삼산면(三山面)이라는 지명이 생겼다. 보문..
[ 고운사 슬라이드 쇼 사진 50 매, 26.5 Mb ] ( 구성 : 고운사 가는 숲길 - 일주문 - 천왕문 - 고불전 - 가운루 - 범종각 - 삼성각 - 명부전 - 연수전 - 라한전 - 조실채·선방 - 삼층석탑 - 무설전 옆 창고 - 우화루 호랑이벽화(액자) - 대웅전 - 신축건물군 - 이주문 ) ▣ 고운사 / 孤雲寺 / Gounsa(Temple) ▲ 등운산(騰雲山) 고운사는 경북 의성군(義城郡) 단촌면(丹村面) 구계리(龜溪里)에 있는 절로서 안동과 의성 사이 중간 쯤에 자리잡고 있다. 고운사는 신라 의상조사가 창건하여 고운사(高雲寺)라 이름하였다. 그후 고운(孤雲) 최치원이 여지(如智)·여사(如事) 두 대사와 함께 가운루(駕雲樓)·우화루(羽化樓))를 건립하여 그의 호를 따서 고운사(孤雲寺)라 개칭하였..
[ 통도사 자장암 사진 슬라이드 쇼, 23 매, 9.7 Mb ] ▲ 통도사 자장암(慈藏庵)은 통도사 창건주 자장율사(慈藏律師)가 통도사 창건(서기646년)에 앞서 수도하던 곳으로, 희봉대사에 의해 중건되었다 하며 1987년부터 1993년에 이르는 사이 금와당(金蛙堂), 취현루(醉玄樓) 등이 중건되어 오늘에 이른다. [출처 : 경내 안내판] 자장암에는, 큰 유리창에 취서산(영축산)이 비치는 취현루(醉玄樓), 소나무와 취서산 풍경이 일품인 금와당(金蛙堂), 앙증맞은 일주문, 거북바위에 올라 앉은 관음전(觀音殿), 1896년 조성된 마애불, 그 마애불 옆 자그마한 수세전(壽世殿)과 산영각겸자장전(山靈殿-慈藏殿), 울타리가 귀여웠던 향경다실(香經茶室), 자장율사가 관음전 뒤 바위에 손가락으로 구멍을 뚫어 금개구..
[ 은해사 사진 슬라이드 쇼 50매, 22 Mb ] ( 구성 : 매표소-소나무숲길-은해교-종각-보화루-청풍당 앞 향나무-극락보전-산령각-산령각 뒤 언덕에서 바라본 은해사 가람 -지장전-우향각 입구-쌍거북바위-사랑나무-부도전) ▣ 은해사 / 銀海寺 / EunhaesaTemple ▲ 은해사 (銀海寺)는 경북 영천시(永川市) 청통면(淸通面) 치일리(治日里), 팔공산 자락에 있는 절로서 대한불교 조계종 제10교구 본사이다. ▲ 은해사 가는 길 ¶ 영천-> 버스 타고 은해사 인근 치일1리 ¶ 대구-> 버스 타고 하양시외버스 터미널 -> 버스 타고 은해사 § 링크 : 은해사 가는 버스 시간표 5~6 km 차량 운행하여 은해사 일주문 앞 주차장 ▲ 생각나는 대로 2011.8.27. 대구포항고속도로 청통와룡IC를 통해..

▣ 길상사 / 吉祥寺 / GilsangsaTemple (2013년 9월, 2014년 11월) 길상사는 서울 서울 성북구 성북동에 있는 절이다. 삼각산의 남쪽, 북악산 자락에 자리잡고 있다. 대원각의 소유주 김영한 (법명 길상화)이 법정스님의 '무소유'를 읽고 감명 받아 예전 요정이었던 대원각을 법정스님에게 기증하여 불도량으로 바꾸었다. ▲ 길상사 사진 (2013-09-15, 2014-11-02 촬영) △ 길상사 가는 길 § 링크 : 길상사가는 길 길상사 셔틀버스 타고 길상사 ( 2013년 9월 현재 하루 7회 운행) ¶ 서울 지하철4호선 한성대입구역 6번 출구 => 성북03번마을버스, 1111번, 2112번 버스 타고 홍익대부속중고교 정류장 또는 성북초등학교 정류장 하차 -> 걸어서 선잠단지[先蠶壇址, ..

▣ 규봉암 / 圭峰庵 / GyubongamTemple △ 규봉암은 전남 화순군(和順郡) 이서면(二西面) 영평리(永坪里) 무등산(無等山) 중턱에 있는 절이다. 의상대사가 창건했다는 설이 있다. 광석대(廣石臺)는 입석대(立石臺), 서석대(瑞石臺)와 더불어 무등산 삼대석경(三大石景) 가운데 하나로서 무등산 천왕봉 남동쪽 산중턱에 솟은 기둥형 바위무리(규봉, 넓은 의미의 광석대)이다. 규봉을 보지 않고 무등산을 보았다고 말하지 말라는 말이 있다. 그 규봉을 배경으로 자리잡은 절이 규봉암이다. 규봉암 종각 옆에 두 개의 큰 기둥 모양 바위 사이에 돌멩이가 얹혀 있고 (이 돌기둥은 삼존석 가운데 여래존석과 미륵존석이라 함, 절에서 만난 처사는 이 돌기둥을 규봉(규암?)이라고 설명하였음 ; 圭(규)는 제후가 조회할 ..
조계사 사진 슬라이드 쇼 (사진 28 매, 10.3 Mb) ▣ 조계사 / 曹溪寺 / JogyesaTemple △ 조계사는 서울 종로구(鍾路區) 견지동(堅志洞)과 수송동(壽松洞)에 있는 절로서, 대한불교 조계종 총본사이다. 경내에는 수령 몇 백년된 백송(白松)과 회화나무가 있다. 1938년 현 위치에 처음 절을 짓고 태고사라 하였다. 1955년 조계사로 고쳐 부르게 되었다. △ 조계사 가는 길 ¶ 서울 지하철 1 호선 종각역 2 번 출구 -> sc제일은행본점과 종로타워 사이 길 (옛 신신·화신백화점 사잇 길)로 걸어서 안국동사거리 방향 400여 미터 ¶ 조계사는 안국역 (6번출구)이나 인사동 쪽에서도 도보로 접근 가능하다. △ 조계사 사진 (2009년 8월, 2012년 10월 촬영) △ 생각나는 대로 19..
▣ 정림사터 / 定林寺址 / JeongrimsaTempleSite 정림사터는 충남 부여군(扶餘郡) 부여읍(扶餘邑) 동남리(東南里)에 있는 절터이다. 경내에 백제 석탑인 정림사지오층석탑 (국보 제9호)과 고려 석불인 정림사지석불좌상(보물 제 108호)이 있다. 관람료(정림사지 박물관, 정림사지, 오층석탑, 석불좌상)는 어른 1,500원, 어린이 7백원, 관람시간은 4월~9월 09:00~19:00, 10월~3월 10:00~17:00. 월요일 휴관, 주차료 무료 △ 정림사지 가는 길 ¶ 부여시외버스터미널 -> 걸어서 정림사지 박물관 ¶ 부여서천고속도로 부여IC, 천안논산고속도로 서논산IC -> 부여읍내 정림사지 △ 정림사터 사진 (2013-01-26 촬영) [2013-02-03 작성] [2022-11-09 티..

▣ 개심사 / 開心寺 / GaesimsaTemple △ 개심사는 충남 서산시(瑞山市) 운산면(雲山面) 신창리(新昌里), 가야산의 일부인 상왕산 자락에 있는 절이다. 신라 진덕여왕 5년 아니면 백제 의자왕 14년에 창건되었다는 설이 있다. 조선 성종 때 개심사 대웅전을 다시 세웠다는 묵비명이 1941년 발견됐다. 개심사 대웅전은 대한민국 보물 제143호이다. [출처 : 개심사 안내판] △ 개심사 가는 길 ¶ 서산 -> 버스 타고 개심사 (하루 2회) ¶ 서해안고속도로 해미IC-> 차량으로 9km 개심사 § 링크 : 서산에서개심사가는버스시간표
▣ 영국사 / nYeongguksaTemple △ 영국사 (寧國寺, 녕국사)는 충북 영동군(永同郡) 양산면(陽山面) 누교리(樓橋里, 루교리) 천태산(天台山) 기슭에 있는 절이다. 신라 법흥왕 또는 문무왕 때 창건하였다고도 하지만 모두 믿기 어렵다. 고려 문종 때 대각국사가 국청사(國淸寺)라 했으나 고려 공민왕이 난을 피하여 이곳에서 국태민안을 기원하였으므로 영국사라 했다고 한다. [출처 : 절 안내판] [영국사 은행나무] 수령 일천 년쯤 된 영국사 은행나무는 높이 31m, 가슴높이 둘레 11m이다. 서쪽으로 뻗은 가지 하나가 땅에 닿아, 그곳에서 나뭇가지가 새로 자라나 높이가 5m이상이나 된다. 영국사 은행나무는 국난이 있을 때에 소리를 내어 운다고 한다. [출처 : 안내판] [영국사의 문화재] 영국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