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제14장   第十四章 道紀 (讚玄)
     
보려고 해도 볼 수 없으니 이름하여 '빛 없음'이라 하고   視之不見 名曰夷
들으려 해도 들을 수 없으니 이름하여 '말 없음'이라 하며   聽之不聞 名曰希
잡으려 해도 잡을 수 없으니 이름하여 '꼴 없음'이라 한다   搏之不得 名曰微
     
이들 셋은 알려고 해도 알아낼 수 없으니 뭉뚱그려 하나라고 한다   此三者不可致詰 故混而爲一
     
이 하나는 그 위가 밝지 않고   其上不皦
그 아래가 어둡지 않으며   其下不昧
아스라하고 아득하여 이름 붙일 수 없었고   繩繩不可名 *1
'아무런 물상이 없음'으로 다시 돌아간다   復歸於無物
     
이를 일러   是謂
형상이 없는 형상   無狀之狀 *2~
물질 없(이 일어나는)는 현상이라고 한다   無物之象
이를 일러 (오직) 어렴풋하고 어슴푸레하다고 하니   是謂惚恍
맞이해도 그 머리를 볼 수 없고   迎之不見其首
뒤쫓아도 그 뒷모습을 볼 수 없다   隨之不見其後
     
(성인은) 옛날의 도를 파악하여   執古之道 *3~
오늘날 있는 것을 제어하며   以御今之有
능히 옛날의 비롯됨을 안다   能知古始
이를 두고 (내 도를) 도의 벼리라고 하는 것이다   是謂道紀

 

 

- 노자41장 : 아주 큰 소리는 울리지 않고 아주 큰 형상은 모양이 없고 도는 숨어 있어 이름이 없다.
- 노자25장 : 섞여 이루어진 무엇인가가 있었다. (그것은) 천지보다 먼저 생겼다.
- 노자42장 : 도는 하나를 낳고 하나는 둘을 낳고 둘은 셋을 낳고 셋은 만물을 낳는다.
- 노자21장 : 도라고 하는 것은 어슴푸레하고 어렴풋하기만 한 존재이지만 그 가운데에 현상이 있고 물질이 있다

* 1 : [백서본甲] 그 끝을 가늠할 수 없어서 이름 붙일 수 없고 (尋尋呵不可名也) ※ if尋尋=無邊無際,
[왕필본] 끊기지 않고 이어져 왔으나 이름 붙일 수 없었고 (繩繩不可名)
* 2~ : [하상공주] 하나[一]에는 형상(形狀)이 없지만 만물에게 형상(形狀)을 만들어 주고, 하나[一]에는 물질(物質)이 없지만 만물이 형상(形象)을 갖추도록 한다.
[왕필주] 무(無)라고 말하자니 만물이 그로 말미아암 이루고, 유(有)라고 말하자니 그 모습을 볼 수 없으므로 (시각이나 촉각으로 감지할 수 없는) 형상(현상)이라고 말한 것이다.
* 3~ : [백서본乙] (성인은) 오늘날의 도를 파악하여 (오늘날의 길을 잡아) 오늘날 있는 것을 제어하면서도 (오늘날 있는 것을 그 길로 몰아가면서도) 옛날의 비롯됨(길이 비롯된 곳)을 알고 있으므로 이를 두고 (내 도는) 도의 벼리 곧 모든 도를 망라하여 코를 꿴 도 (모든 길의 첫머리)라고 하는 것이다. (執今之道 以御今之有 以知古始 是胃道紀)

 

더보기

 

■ 道德經14 http://ctext.org/text.pl?node=11605&if=gb&show=parallel

《王弼註 道德經》: 視之不見,名曰夷;聽之不聞,名曰希;搏之不得,名曰微。此三者不可致詰,故混而爲一。其上不皦,其下不昧。繩繩不可名,復歸於無物。是謂無狀之狀,無物之象,是謂惚恍。迎之不見其首,隨之不見其後。執古之道,以御今之有。能知古始,是謂道紀。 

《老子河上公章句·贊玄》: 視之不見名曰夷,聽之不見名曰希,搏之不得名曰微。此三者不可致詰,故混而爲一。其上不皦,其下不昧。繩繩不可名,復歸於無物。是謂無狀之狀,無物之象,是謂惚恍。迎之不見其首,隨之不見其後,執古之道,以御今之有,能知古始,是謂道紀。

《馬王堆·老子乙道經》:視之而弗見,□之曰微;聽之而弗聞,命之曰希;德昏之而弗得,命之曰夷。三者不可至計,故混而爲一。一者其上不謬,其下不忽。尋尋呵不可命也,復歸於無物。是胃無狀之狀,無物之象,是胃忽望。隋而不見其後,迎而不見其首。執今之道,以御今之有。以知古始,是胃道紀。 

《馬王堆·老子甲道經》:視之而弗見,名之曰微;聽之而弗聞,名之曰希;昏之而弗得,名之曰夷。三者不可至計,故混□□□一者,其上不收,其下不忽,尋尋呵不可名也,復歸於無物。是胃無狀之狀,無物之□□□□□□□□□□□□而不見其首。執今之道,以御今之有。以知古始,是胃□□。 

 

■ 老子 (帛書校勘版) : http://zh.wikisource.org/wiki/老子_(帛書校勘版)

第五十八章 道紀(14) 視之而弗見 名之曰微 聽之而弗聞 名之曰希 捪之而弗得 名之曰夷 三者不可至計 故混而爲一 一者 其上不攸 其下不忽 尋尋呵 不可名也 復歸於无物 是謂无狀之狀 无物之象 是謂忽望 隨而不見其後 迎而不見其首 執今之道 以御今之有 以知古始 是謂道紀

■ 老子 (匯校版) : http://zh.wikisource.org/wiki/老子_(匯校版)

十四章 : 視之不見,名曰夷;聽之不聞,名曰希;搏之不得,名曰微。此三者,不可致詰,故混而爲一。其上不皦,其下不昧,繩繩兮不可名,復歸於無物。是謂無狀之狀,無象之象,是謂恍惚。迎之不見其首,隨之不見其後。執古之道,以御今之有。能知古始,是謂道紀。

14 장 : 시지불견,명왈이;청지불문,명왈희;박지부득,명왈미。차삼자,불가치힐,고혼이위일。기상불교,기하불매,승승혜불가명,복귀어무물。시위무상지상,무상지상,시위황홀。영지불견기수,수지불견기후。집고지도,이어금지유。능지고시,시위도기。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