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칠암항 등대 (문동항, 임랑항) (2023년 3월) 칠암항(七岩港)과 문동항(文東港) 문중항(文中港)은 부산 기장군(機張郡) 일광면(日光面)에 있고 임랑항(林浪港)은 같은 군 장안읍(長安邑)에 있다. 임랑항과 칠암항 방파제에는 이색적인 등대가 있다. 임랑해수욕장에는 가수 정훈희 카페가 있고 칠암항에는 붕장어마을이 있다. 일광(日光, 닛코)은 일본에도 있는 지명이고 장안(長安, 창안)은 중국에도 있는 지명이니 한중 한일이 지명을 공유하는 지역인 셈이다. △ 칠암항 등대 (야구등대, 갈매기등대, 붕장어등대) 일출 △ 문동항 - 문중항 칠암항은 서로 붙어 있다 △ 임랑항 ▲ 다녀와서 2023년 3월 초순, 임랑해수욕장 인근의 문동방파제와 칠암방파제 일출을 구경하였다. 임랑해변의 주차장은 규모가 아담하였고,..

▣ 거가대교 (2023년 4월) 거가대교(巨加大橋)는 경남 거제도와 부산 가덕도를 잇는 총길이 8.2 킬로미터 (육상 및 해저터널과 교량 등으로 구성된) 해상해저도로로서 2개의 사장교 교량구간은 3.5킬로미터이다. 2010년 12월 개통되었고, 통행료는 2050년 말까지 징수한다. 해저터널은 국내 최초로 침매(沈埋) 공법을 적용하였다. △ 거제 하유(下柳, 아래 버드래) 마을과 유호(柳湖, 버드내) 전망대에서 바라본 거가대교 야경 △ 거제 시방(矢方, 살방)선착장에서 바라본 거가대교 야경 △ 거제 서목(庶木, 서나무실)마을에서 바라본 거가대교 야경 △ 가덕도(加德島)에서 바라본 거가대교 △ 거제도(巨濟島)에서 바라본 거가대교 ▲ 다녀와서 2023년 4월 초순, 거가대교를 구경하였다. 4월 초순의 거가대교..

▣ 거제 바람의 언덕, 신선대, 해금강 사자바위, 다포도 (2023년 4월) 경남 거제시 남부면 갈곶리(갈串里, 乫串里)에 거제 바람의 언덕, 거제 신선대, 해금강 사자바위가 있다. 갈곶리 신선대 전망대 등지에서 다포리에 있는 다포도(형제섬)가 바라다보인다. △ 거제 바람의 언덕 (도장포 마을) 도장포(陶藏浦) 마을 옆 언덕에 (바람의 흔적인) 풍차가 (돌지는 않고 서) 있다. 벼랑 위 평지 풀밭과 풀빛 등대가 이색적이다. 신선대주차장에서 도장포선착장으로 내려가는 동백 우거진 숲길도 좋다. 돌지 않는 풍차가 야경 촬영에 좋다는 이들도 있다. △ 거제 신선대 판판한 대(臺)가 아니라 기울어진 대이다. 둘레 해안 풍경(송도쪽 바위 해안)이 수려하고 다포도 조망도 좋다. △ 거제 해금강 사자바위 - 해금강 마..

▣ 병대도전망대 (2023년 4월) 병대도(竝台島)전망대는 거제도 다포리 여차(汝次)마을과 저구리 홍포(虹浦)마을을 잇는 거제남부 해안도로에 위치한다. 이 전망대에서 대병대도·소병대도 등의 여러 섬을 조망할 수 있다. 예전에는 낚시꾼들만 알던 (숨겨진) 곳이었다지만 이제는 (거제시에서) 거제7경 '여차·홍포 해안비경'이라는 관광명소로 홍보하고 있다. ▲ 여차·홍포 해안 비경 사진 △ 여차(쪽) 전망대 조망 병대도 전망대로부터 여차마을 쪽으로 1.2킬로미터 떨어진 곳, 여차몽돌해변이 내려다보이는 곳 △ 병대도전망대 (여차홍포전망대) 조망 △ 병대도 전망 바위 조망 병대도전망대로부터 홍포 쪽으로 300미터 거리에 위치 △ 병대도전망대에서 바라본 바다 (좌우압축사진) ▲ 다녀와서 2023년 4월 초순 병대도 ..

▣ 성포항 (2023년 4월) 성포항은 경남 거제시 사등면(沙等面) 성포리(城浦里)에 있는 (거제도 북서쪽에 위치한) 항구이다. △ 가조연륙교(연도교)에서 바라본 성포항과 노루섬 △ 성포항 일몰 △ 성포항 등대와 가조연륙교 △ 가조도(加助島) ▲ 다녀와서 2023년 4월 초순 거제시 성포항과 가조도를 찾았다. 성포항 일몰과 가조연륙교 야경 그리고 가조도 해안도로 드라이브 코스가 인상에 남는다. 성포항에는 횟집을 찾는 사람들이 많은 듯보였다. 성포항과 가조연륙교로 연결된 가조도는 (섬 서쪽 언덕에 일부 건물을 신축 중이라 좀 어수선하기는 하였지만) 훗날 다시 방문하고 싶은 생각이 들 정도로 한적하고 아담한 섬이었다. [2023-04-19 작성]

▣ 송대말등대 (2023년 3월, 4월) (소나무 우거진 언덕배기 끝자락에 자리잡은) 송대말 등대는 경북 경주시 감포읍(甘浦邑) 오류리(五柳里)에 있는 등대이다. 감은사 탑을 형상화한 새 등대(송대말등대 빛 체험 전시관)와 옛 등대 그리고 그 등대 아래 갯바위 무리가 어우러지며 멋진 경관을 만들어 낸다. △ 송대말등대 (2023년 4월 초순, 파도가 거세게 일던 날) △ 송대말등대 (2023년 3월 초순, 맑은 날) △ 송대말등대 (2023년 3월 초순, 흐린 날 ) ▲ 다녀와서 2023년 3월 초, 동해안 해안도로를 따라 이동하던 중, 척사항에서 감포항으로 가는 (파도소리 들리는 해안도로) 찻길이 단절되어 있음을 알게 되었다. 그 막다른 길에 홀연 성채 위로 한옥 등대가 나타났다. 따로이 주차장이 없어..

▣ 경천섬과 경천대 (2023년 3월, 4월) 경천섬은 경북 상주시 동남면 오상리(梧上里)에 있는 (낙동강 상주보 설치로 생긴) 섬이고 경천대는 상주시 사벌국면[沙伐面] 삼덕리(三德里) 낙동강변에 있는 관광지이다. ▲ 경천섬 경천섬은 범월교나 낙강교를 통해 걸어 들어간다. 학전망대는 회상나루관광지(낙강교 쪽)에 있다. △ 학(鶴)전망대에서 바라본 경천섬 △ 범월교(泛月橋)와 경천섬 △ 회상나루 관광지에서 바라본 낙강교(洛江橋) △ 물 가운데 고목에서 피어난 꽃 - 꽃씨가 물 가운데 고목에 내려앉아 (새처럼) 둥지를 튼 듯 ▲ 경천대(擎天臺)와 무우정(舞雩亭) 무우정은 춤추며 비를 비는 정자라는 뜻으로 우담(雩潭) 채득기(蔡得沂, 1604~1647)가 병자호란이 나던 해에 세웠고 훗날 청나라 심양으로 달려..

▣ 퍼플교와 퍼플섬(박지도, 반월도) (2023년 2월) 퍼플교는 전남 신안군 안좌도(安佐島) 두리마을에서 박지도(朴只島) 거쳐 반월도(半月島)에 이르는 해상 보행로(길이 1,462미터, 폭1.8미터인 해양 데크)이다. (뭍까지 걸어서 나가보고 싶다는, 박지도의 한 할머니의 소망을 담아) 2008년 건설되어 '소망의 다리'라 불리다가 2016년경 '퍼플교'로 이름이 바뀌었다. 2020년 두리마을에서 반월도를 잇는 문브릿지(길이 380미터)가 (추가로) 건설되며 세 섬이 보행로로 연결되어 순환 산책할 수 있게 되었다. 2020년 신안군은 박지도와 반월도를 묶어 퍼플섬이라 선언하였다. △ 보랏빛 다리 퍼플교 △ 보라빛 섬 박지도 △ 썰물 때 갯골이 드러나는 퍼플교와 그 둘레 △ 건넌섬에서 바라본 퍼플섬 ▲ ..

▣ 문무대왕암(문문대왕릉) 일출과 감은사지삼층석탑 (2023년 3월) 문무대왕암(文武大王巖, 문문대왕릉)은 경북 경주시 문무대왕면[옛 陽北面] 봉길리(奉吉里)에, 감은사지삼층석탑은 같은 면 용당리(龍堂里, 옛 龍潭里)에 자리한다. 문무왕(文武王)은 사후 (왜구로부터 나라를 수호하는) 바다의 용이 되겠다 유언하였고 그의 아들 신문왕(神文王)은 부왕 때부터 짓기 시작한 절을 완공하고 선왕의 은혜에 감사하는 뜻으로 감은사라 하였다. 전설에 따르면 해룡이 용담을 휘돌아 감은사 금당 아래로 드나들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고 한다. ▲ 문무대왕암 일출과 새 ▲ 감은사지 삼층석탑 (2023년 봄, 2011년 여름) ▲ 다녀와서 2023년 3월 초 봉길대왕암해변 일출을 보고, 인근의 감은사지삼층석탑을 찾았다. 그날 봉길대..

▣ 짱뚱어해수욕장 일몰과 태평염전 조망 (2023년 2월) 짱뚱어해변과 태평염전은 전남 신안군 증도면(曾島面) 대초리(大棗里)에 있다. 이국적인 낙조와, 단일염전으로는 우리나라 최대규모인 소금밭을 볼 수 있다. ▲ 짱뚱어해수욕장 일몰 짱뚱어 해수욕장은 신안 증도 서쪽에 있는 (바람이 족적을 지우는) 해변이다. 우전해변의 북쪽 구역이지만 짱뚱어다리와 가까워 짱뚱어해변이라 불린다. 이곳 짚 파라솔 너머로 지는 해를 이국적이라고들 한다. ▲ 태평염전 (염생식물원) (해 질 무렵 소금밭을 붉게 물들이는 낙조로 유명하다는) 소금밭낙조전망대에서 (한낮에) 바라본 풍경 ▲ 증도 가는 길 증도는 지도(智島)-송도[솔섬]-사옥대교(지도대교)-사옥도(沙玉島)-증도대교-증도(曾島)를 잇는 연륙(련도)교를 통해 차량으로 들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