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정선 아우라지 (2023년 10월, 2022년 10월) 아우라지는 강원도 정선군 여량면 여량리(餘糧里), 송천(松川)과 골지천(骨只川)이 합류하여 어우러지는 곳으로 정선아리랑 애정편 가사의 무대이다. 옛날 이곳에서 뗏목을 만들어 한양으로 목재를 날랐다고 한다. △ 아우라지 달다리 △ 아우라지 출렁다리 △ 아우라지 버드나무 △ 아우라지 돌다리 △ 소품 △ 아우라지 야경 △ 아우라지역 - 구절리역 - 오장폭포 △ 다녀와서 2022년 10월 하순과 2023년 10월 하순에 정선 아우라지를 찾아 아우라지 둘레길(아우라지역 둘레와 버드나무 늘어진 길, 돌다리와 징검다리, 달다리와 출렁다리)을 걸었다. 출렁다리 주막촌에서 달다리에 이르는 산책로 돌멩이 스피커에서 정선아리랑이 흘러나왔다. 눈이 올라나 비가 올라나..

▣ 월류봉 (2023년 10월) (달도 머물다 간다는) 월류봉(月留峰)은 충북 영동군 황간면(黃澗面) 원촌리(院村里, 서원말)에 있는 산봉우리이다. 깎아지른 듯한 월류봉과 그 아래를 휘돌아 흐르는 초강천(草江川)이 어우러져 한 풍경(한천팔경 가운데 하나)을 이루었다. △ 월류봉의 아침 △ 저녁 무렵 월류봉 (스마트폰 촬영) 2023년 10월 말 충북 영동 월류봉을 구경하였다. 보름달 뜨는 밤이면 더욱 아름답다는 월류봉. 밤이면 월류정과 월류봉 광장(전망대)의 달 조형물에 조명이 들어온다. 월류봉 둘레길은 월류봉 광장을 출발하여 여울소리길(2.7km)-산새소리길(3.2km)-풍경소리길(2.5km)로 반야사까지 이어진다. 월류봉 입장료 없고 주차장 무료이다. [2023-12-01 작성]

▣ 요선암 돌개구멍, 요선정 (2023년 10월, 2022년 10월) 신선을 부르고 맞이한다는 요선암(邀仙岩), 요선암 돌개구멍은 강원도 영월군 무릉도원면(옛 수주면(水周面)) 무릉리(武陵里), 주천강에 있는 천연기념물(제543호)이다. 이곳 돌개구멍은 강변의 쥐라기 화강암이 강물의 소용돌이(속 모래자갈)로 깎여 둥글게 움푹 패인 것이라고 한다. 돌개구멍 위쪽 언덕에 요선정(邀僊亭)과 마애불(무릉리마애여래좌상)이 있다. △ 요선암 돌개구멍 △ 요선암 돌개구멍을 찾는 사람들 △ 요선정과 무릉리 마애불 △ 다녀와서 2022년 10월 하순과 2023년 10월 하순에 영월 요선암 돌개구멍과 요선정(마애불)을 구경하였다. 주차장에서 시(詩)가 걸린 길을 따라 절(미륵암)에 이르면 요선정(마애불) 가는 산길(오솔길..

▣ 의림지 (2023년 10월, 2022년 10월) 의림지는 충북 제천시 모산동(茅山洞)에 있는 아주 오래된 못(호수)으로 2006년 국가명승 20호 '제천 의림지와 제림(堤川 義林池와 堤林)'으로 지정되었다. 못 둘레길(2킬로미터)에 소나무 버드나무 우거진 뚝방의 영호정(暎湖亭)과 우륵정 등의 정자가 있고, 용추폭포유리전망대와 수리공원 등의 인공시설물도 조성되어 있다. △ 의림지 야경 1 - 영화(드라마) 촬영 조명크레인 조명 △ 의림지 야경 2 - 영호정 뚝방 길에서 바라본 △ 의림지 야경 3 - 용추폭포 유리데크와 인공폭포 (미디어파사드 상영) 둘레 △ 영호정 둘레 송림 △ 우륵정 둘레 △ 의림지 단풍 △ 다녀와서 2023년 10월 하순과 2022년 10월 하순에 제천 의림지를 찾았다. 2022년 ..

▣ 대청호 오백리길4구간 중 추동(秋洞) 일원 (명상정원, 슬픈연가촬영지) (2023년 10월, 11월) △ 대청호 오백리길 풍경 [오리 쉼터] [물 가운데 나무] - 명상정원에서 바라본 풍경 [슬픈연가 촬영지 둘레] [멀리서 바라본 슬픈연가 촬영지 둘레] [나무 위 새] [길] [반영] [유영] - '절로 그러함'의 (자재로운) 풍경 홀로 가는 놈, 뒤따라가는 놈, 뒤따라가다가 돌아서는 놈, 뭉쳐 가는 놈, 뭉쳐 가는 놈과 반대로 혼자 가는 놈. 2023년 10월 말과 11월 초 촬영. [2023-11-17 작성]

▣ 소금산 출렁다리 (2023년 10월, 2022년 10월) - 원주 간현관광지, 소금산 그랜드 밸리 간현관광지는 원주시 지정면(地正面) 간현리(艮峴里), 삼산천(三山川)과 섬강(蟾江)이 만나는 곳에 있다. 소금산(小金山)과 간현봉, 그리고 그 사이를 휘돌아 흐르는 삼산천이 어우러져 멋진 풍경을 만들어낸다. 소금산 암벽에 놓인 잔도는 까마득히 높아 아찔하고, (소금산 자락의) 출렁다리와 (삼산천을 가로지르는) 울렁다리는 구름처럼 높다랗게 걸려 출렁거리고 울렁거린다. △ 안개 낀 소금산 △ 소금산 출렁다리와 잔도에서 내려다본 삼산천 2023년 탐방 때는 출렁다리에 (정오가 다 되도록) 안개 끼어 (둘레 풍경이) 오리무중이었다. △ 소금산 울렁다리와 스카이타워 △ 삼산천교 ~ 소금산 출렁다리 아래 (음악분수..

▣ 판운리 섶다리 (2023년 10월) 판운섶다리는 강원도 영월군 주천면(酒泉面) 판운리(板雲里) 밤뒤마을과 미다리마을 사이, 평창강에 놓이는 다리이다. 강물이 줄어들(얕아질) 때쯤 (10월 경) 놓였다가 이듬해 강물이 불어날 때쯤 사라진다. 섶다리 위를 걸으면 (흔들거리는) 나무 다릿발의 탄성(彈性)이 전해져 온다. △ 판운리 섶다리 사진 1 △ 판운리 섶다리 사진 2 △ 지나다가 2023년 10월 하순 영월 판운섶다리마을을 지나다가 강에 놓인 섶다리를 보고 아니 건너가 볼 수 없었다. 2023년 10월 27일 금요일부터 이틀간 '판운섶다리 문화축제'가 열린다기에 축제 막바지에 판운섶다리마을을 다시 찾았다. 아랑고고장구 원주지회 소속 공연팀도 타 지역 공연을 마치고 판운마을을 지나다가 섶다리 구경하고 ..

▣ 목포갓바위 (2023년) 목포 갓바위는 전남 목포시 용해동(龍海洞), 영산강 하구 입암산(笠岩山) 자락에 있는 바위이다. 안내판에 따르면 (슬픈 삿갓 쓴) '아들과 아버지 바위' 또는 (영산강 건너던 아라한이 나그네 삿갓을 벗어 놓고 간) '중바위'라는 얘기가 전해온다. △ 목포 갓바위 (야경 포함) △ 목포 갓바위 앞바다 영산강 하구이지만 바다 갈매기들이 노니는 걸로 봐서 (영산강하구둑 삼호대교로 인해) 바다가 된 듯. ▲ 목포 갓바위 앞바다 쪽에서 바라본 갓바위 (2013년 사진 포함) ▲ 다녀와서 2013년 6월, 2023년 2월과 9월에 목포 갓바위를 구경하였다. 갓바위 옆 평화광장과 그 앞바다는 목포시민의 산책길이자 갈매기들의 저녁 놀이터이다. 갓바위에서 입암산 등산길과 삼학도 쪽 해안산책 ..

▣ 급치산 전망대 (2023년 9월) 급치산(急峙山) 전망대는 전남 진도군 지산면(智山面) 심동리(深洞里)에 있는 (낙조) 전망대이다. (조도와 그 둘레) 섬 많은 바다로 떨어지는 해를 볼 수 있다. △ 급치산전망대 일몰 1 (좌우압축사진) △ 급치산전망대 일몰 2 수평선 구름 기둥 너머로 노을이 물들고 바다엔 밤배가 하나둘 붉을 밝힌다. △ 급치산전망대 일몰 3 2023년 9월 중순, 전남 진도 급치산 전망대에서 일몰을 구경하였다. 급치산전망대는 동석산큰애기봉전망데크와 더불어 진도 최고의 낙조전망대라 할 수 있다. 산기슭의 세방낙조전망대는 숲에 가려 바다 조망이 그다지 좋지 않고 해안도로변의 세방낙조휴게소는 지대가 낮아 바다 조망이 반감된다. 동석산큰애기봉전망데크는 걸어서(등산하여) 올라야 한다. 급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