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응봉산 / 鷹峰山 / Eungbongsan(Mt) (2009년 8월, 2010년 4월, 2012년 4월, 2013년 4월) △ 응봉산으로 ▲ 응봉산은 서울 성동구(城東區) 응봉동(鷹峰洞)과 금호동(金湖洞)4가에 걸쳐 있는 산으로 산 높이는 해발 95미터이다. 언덕이나 다름 없는 낮은 산이지만 중랑천과 한강이 만나는 곳에 솟아 한강 쪽 조망이 시원스럽게 펼쳐진다. 응봉산 정상의 팔각정 (응봉정)에 서면 바로 앞에 중랑천과 용비교, 그 옆에 서울숲과 강변북로, 그 너머로 한강을 가로지르는 영동대교·성수대교·동호대교·한남대교 등이 바라다보인다. 응봉산은 봄이면 개나리꽃이 만발하여 개나리동산이라고도 불린다. 응봉산 정상 언저리에 성동구암벽등반공원이 있다. ▲ 응봉산 가는 길 ¶ 중앙선 응봉역 -> 걸어서 응..
유달산에서 둘러본 풍경 사진 슬라이드 쇼 (가공사진, 16 매, 2.7 Mb)슬라이드 쇼 구성 : 영산호하구언 - 삼학도 - 목포여객선터미널 - 고하도 - 목포대교 - 압해대교 - 목포시내 쪽 풍경 ▣ 유달산 / 儒達山 / Yudalsan(Mt) (2012년 2월, 2013년 4월) ▲ 유달산으로 △ 유달산은전남 목포시(木浦市) 죽교동(竹橋洞)·온금동(溫錦洞)·유달동(儒達洞)·북교동(北橋洞) 등지에 걸쳐 있는 산으로 산 높이는 해발 228 미터이다. 목포시 남서쪽에 기암 절벽으로 우뚝 솟은 유달산은 그리 높지 않은 산이나 영산강 하구와 다도해에 면해 있어 산정에서 조망이 시원스럽다. 유달산 건너편 고하도와 목포시 북항을 잇는 목포대교가 2012년 6월 개통되어 밤이면 더욱 멋드러진 자태를 뽐내고 ..
▣ 화야산 / 禾也山 / Hwayasan(Mt) (2013년 4월) 화야산으로 화야산은 경기도 가평군(加平郡) 청평면(淸平面)·설악면(雪岳面)과 양평군(楊平郡) 서종면(西宗面)에 걸쳐 있는 산으로, 산 높이는 해발 754 미터이다. 북한강이 화야산 북서 쪽을 휘감고 흐른다. 화야산 뾰루봉과 강 건너 호명산 사이에 청평댐이 있다. 화야산 서쪽으로 경춘선이 지나고 화야산 남쪽으로 서울춘천 고속도로가 지난다. 북한강을 끼고 있는 산, 꽃이 많은 산, 화야산. 화야산 가는 길 ¶ 청평터미널 -> 수입리나루터행 버스를 타고 가다 큰골 정류장 또는 사기막 정류장에서 하차 (하루 5 회 운행) ¶ 청평터미널 -> 솔고개 지나가는 버스 이용 뾰루봉, 양지말, 안골, 솔고개 정류장 하차 ¶ 설악터미널 -> 버스 이용 솔..
▣ 안산 / 鞍山 / Ansan(Mt) (2007년 6월, 2008년 6월) △ 안산은 서울 서대문구(西大門區) 홍제동(弘濟洞)·현저동(峴底洞)·봉원동(奉元洞)·연희동(延禧洞) 등에 걸쳐 있는 산으로 산높이는 해발 296 미터다. 한북정맥 우이령에서 남쪽으로 뻗은 산줄기 하나가 삼각산 만경대-보현봉-백악산-인왕산을 거쳐 무악재 지나 솟은 산이 바로 안산이다. 산정에서 멀리 북한산, 바로 앞 인왕산, 건너편 남산 등이 조망된다. 산정에서 도성과 륙삼빌딩, 한강도 바라다보인다. 산정에서 산기슭의 봉원사 지붕과 옛 서대문형무소도 바라다보인다. △ 안산 가는 길 ¶ 서울 지하철 3호선 독립문역 · 무악재역 ->산기슭 길로 입산 -> 봉수대까지 30분 안팎 걸림 ¶ 지하철 2, 5호선 충정로역, 3호선 독립문역 ..

▣ 쫓비산 / Zzozzbisan(Mt) (2013년 3월) △ 쫓비산으로 ▲ 쫓비산은 전남 광양시(光陽市) 다압면(多鴨面) 도사리(道士里)와 진상면(津上面) 어치리(於峙里)에 걸쳐 있는 산으로 호남정맥 끝자락에 솟았다. 산 높이는 해발 536 미터. 쫓비산 섬진강 쪽 산기슭 섬진마을 일원에서 해마다 광양매화축제가 열린다. 올해 '제16회 광양국제매화문화축제'는 2013.3.23부터 3.31까지 열린다. ▲ 쫓비산 (매화마을) 가는 길 ¶ 광양, 하동 -> 드물게 다니는 시내 버스를 타고 가다 섬진, 매화, 다사, 소학정, 관동 정류장 하차 ¶ 순천완주고속도로 화엄사IC ->19번 국도 화개면 남도대교 -> 섬진강매화로 청매실농원 ¶ 남해고속도로 하동IC ->섬진강대로 섬진교 -> 신원길 - 섬진강매화로..
▣ 보납산 / 寶納山 / Bonapsan(Mt) (2013년 3월) 보납산으로 보납산은 경기도 가평군(加平郡) 가평읍(加平邑) 읍내리(邑內里)에 있는 산으로, 산 높이는 해발 330 미터이다. 북한강과 가평천이 만나는 곳에 솟아 산정에서 북한강과 가평읍내 그리고 화악산 쪽 산군 등이 조망된다. 1599년 가평군수로 부임한 한석봉은 보납산을 유달리 좋아하였는데 2년 재직 뒤 가평을 떠나면서 벼루와 보물을 보납산에 묻어 두었다는 얘기가 전해져 보납산이라고 하는 설과, 이 산이 가평벌 앞에 있어 벌앞산이라 불리다 보납산으로 바뀌었다는 설이 있다. (출처 : 산행안내판 발췌) 보납산 가는 길 ¶ 가평터미널 -> 걸어서 보광사입구 (1.6 km) ¶ 가평역 -> 걸어서 보광사입구 (3 km) ¶ 가평역, 가평터미..
▣ 덕숭산 / 德崇山 / Deoksungsan(Mt) (2004년 12월, 2007년 8월, 2008년 12월) △ 덕숭산으로 ▲ 덕숭산(德崇山, 495m)은 충남 예산군(禮山郡) 덕산면(德山面)에 있는 산으로 산 남쪽 기슭에 선지종찰(禪之宗刹) 수덕사(修德寺)를 품고 있다. 이 산의 북쪽에는 가야산, 동쪽에는 용봉산이 있다. ▲ 덕숭산 가는 길[대중교통]...2008년 12월 현재 ¶ 홍성 버스터미널-> 버스 타고 수덕사 (20분~50분 걸림, 1천1백원~2천2백원, 하루 19편)¶ 예산 버스터미널 -> 버스 타고 수덕사 (하루 14편) [자가운전]¶ 경부고속도로 천안IC->21번 국도 타고 예산->45번 국도로 덕산->40번 국도 타고 수덕사¶ 서해안고속도로 해미IC->45번 국도 타고 덕산->40번..

▣ 팔영산 / 八影山 / Paryeongsan(Mt) (2004년 6월) △ 팔영산으로 ▲ 팔영산은 전남 고흥군(高興郡) 점암면(占巖面)과 영남면(永南面)에 걸쳐 있는 산으로, 산 높이는 해발 608 미터이다. 팔영산 북서쪽에 능가사, 동쪽에 자연휴양림이 있다. 8개의 암봉에 저마다 이름이 붙어 있는데 제1봉은 유영봉 (儒影峰), 2봉 성주봉 (聖主峰), 3봉 생황봉(笙簧峰), 4봉 사자봉(獅子峰), 5봉 오로봉(五老峰), 6봉 두류봉(頭流峰), 7봉 칠성봉(七星峰), 8봉 적취봉(積翠峰)이다. 팔영산(여덟그림자산)이 팔봉산(여덟봉우리산)보다 운치 있는 이름인가? 암봉을 건너며 바다를 둘러볼 수 있는 산. 팔영산 동쪽은 순천만, 남쪽은 해창만(海倉灣)이다. ▲ 팔영산 가는 길 [대중교통] ¶ 순천, 벌교..
▣ 상당산 / 上黨山 / Sangdangsan(Mt) 상당산 [상당산성]으로 상당산은 충북 청주시(淸州市) 상당구(上黨區) 산성동(山城洞)에 있는 산으로, 산 높이는 해발 419 미터이다. 상당산에는 둘레가 10리쯤 되는 상당산성이 있다. 상당산성은 백제의 상당현(현 청주)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추정되며, 백제 때의 토성을 조선 숙종 때 석성으로 고쳐 쌓았다. 한남금북정맥은 백두대간 속리산 천황봉에서 갈라져 나와 보은-청주-음성 땅을 지나 안성의 칠장산에서 다시 분기한다. 상당산 일대의 한남금북정맥은 것대산-상당산 남암문-서문-동암문근처-구녀산이다. 상당산 서쪽의 물은 무심천을 거쳐 금강으로 흐르고 상당산 동쪽의 물은 미원천을 거쳐 남한강으로 흘러간다. 상당산 서쪽은 가풀막졌고 상당산 동쪽은 반비알졌다. ..
▣ 오봉산 / 五峰山 / Obongsan(Mt) (2007년 10월, 2009년 3월) 오봉산으로 옥정호 오봉산은 전북 임실군(任實郡) 운암면(雲岩面)·신덕면(新德面)과 완주군(完州郡) 구이면(九耳面)에 걸쳐 있는 산으로 산 높이는 해발 513 미터이다. 마이산-부귀산-만덕산으로 뻗어온 호남정맥이 옥정호반의 오봉산으로 솟았다가 내장산쪽으로 뻗어간다. 옥정호(玉井湖)는 운암호(雲岩湖)라고도 한다. 이곳에 담긴 물이 순창과 곡성땅을 지나며 섬진강으로 흐르는게 자연지형이지만 일부는 호남정맥을 뚫고 호남평야를 적시며 동진강으로 흐르기도 한다. 옥정호 외앗날(외얏날 또는 붕어섬) 둘레에 피어오르는 이른 아침의 물안개는 국사봉 전망대나 오봉산 정상에서 바라보면 더욱 아름답다. 옥정호 오봉산 가는 길 [자가운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