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불암산 사진 슬라이드 쇼 64 매, 24.1 Mb ] ▣ 불암산 / 佛巖山 / Buramsan(Mt)》(2000년..2014년) △ 불암산으로 ▲ 불암산(508m)은 서울 노원구(蘆原區)와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면(別內面)에 걸쳐 있는 산으로 삼각산 도봉산 수락산과 함께 서울 북방에 자리잡고 있다. 한북정맥 축석고개쯤에서 남으로 뻗은 산줄기 하나가 수락산-불암산-아차산을 거쳐 워커힐 부근에서 한강으로 잠긴다. 이 산줄기 서쪽에 떨어진 빗방울은 중랑천으로, 동쪽에 떨어진 빗방울은 왕숙천으로 흘러 한강과 합쳐진다. 이 산 동쪽 비탈에는 불암사 석천암 등이 있고, 이산 서쪽 비탈에는 학도암, 남쪽에는 태강릉 등이 있다. ▲ 불암산 가는 길 ¶ 지하철6, 7호선 태릉입구 ->1155번,1225번 버스로 불암동..
[ 수락산 사진 슬라이드 쇼 76 매, 28 Mb ] (1999년~2008년 촬영) ■ 수락산 / 水落山 / Suraksan(Mt) △ 수락산으로 ▲ 수락산 가는 길 서울 지하철7호선 수락산역에서 내려 덕성여대생활관이나 수락현대아파트쪽 들머리로, 지하철7호선 장암역에서 내려 석림사쪽 들머리로, 지하철4호선 당고개역에서 내려 학림사쪽 들머리로 간다. 당고개역에서 청학 가는 버스 타고 덕릉고개나 흥국사쪽 들머리 또는 수락산유원지 내원암쪽 들머리로, 지하철4호선 노원역에서 의정부 가는 버스 타고 가다 장암역 석림사쪽 들머리나 의정부 장암삼거리쪽 들머리로 간다. 기타 의정부나 퇴계원에서 남양주 청학 가는 버스가 있다. 청학에서 내원암쪽 수락산유원지로 가는 길은 걷거나 버스를 이용한다. ▲ 수락산(水落山, 638..
■ 삼각산 / 三角山 / Samgaksan(Mt) △ 삼각산으로 ▲ 삼각산(三角山, 837m)은 서울 강북구(옛 도봉구)·성북구·종로구·은평구와 경기도 고양시에 걸쳐 있는 산으로 정상 백운대와 더불어 인수봉·만경대·노적봉·염초봉·원효봉·의상봉·보현봉·비봉 등의 봉우리, 북한산성계곡·정릉계곡·구기계곡 등의 골짜기, 도선사·화계사·승가사·진관사·태고사·중흥사터·부왕사터 등의 절, 진흥왕순수비터·북한산성·행궁터 등의 유적을 품고 있다. 1983년 북한산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한북정맥은 불곡산-도봉산을 거쳐 우이령-상장릉선-노고산으로 뻗어간다. 그 곁가지가 우이령에서 영봉-만경대로 이어지고 다시 만경대에서 한줄기는 보현봉으로 다른 한줄기는 바로옆 백운대-인수봉으로 솟았다. 그 만경대-백운대-인수봉이 이름하여..
《도봉산 정상부와 주릉선》(2000년~2009년 촬영) ▲ 도봉산 정상부 : 정상 바위무리는 자운봉(紫雲峰), 만장봉(萬丈峰), 선인봉(仙人峰), 신선대이다.▲ 도봉주릉선 : 신선대에서 우이암까지 이어지는 릉선길 가운데에서도 신선대~칼바위 구간은 바위 타고 넘는 길이 위험하여 우회길이 따로 나 있다. 바위길에서 둘러보는 풍경이 아름답다. 칼바위는 추락사고가 잦은 곳이다. [2012-02-05] 도봉산 산행 자료에 있던 사진을 게시물당 사진 매수 제한으로 이곳에 분리 게재함 [2012-02-25] 슬라이드쇼 삽입
《도봉산 / 道峰山 / Dobongsan(Mt)》(1999년~2009년 촬영) △ 도봉산으로 ▲ 도봉산(道峰山, 739.5m)은 서울 도봉구(道峰區)와 경기도 양주시(楊州市)·의정부시(議政府市)에 걸쳐 있는 산으로 한북정맥 끝자락에서 가장 높이 솟구친 산이다. 도봉산 봉우리로는 정상 자운봉(紫雲峰)과 바로 코앞에 만장봉(萬丈峰)·선인봉(仙人峰)·신선대, 서쪽 오봉(五峰), 남쪽 우이암(牛耳巖), 북쪽 사패산(賜牌山) 등이 있다. 도봉산의 골짜기로는 원도봉계곡, 송추계곡, 도봉계곡(용어천계곡, 거북골), 무수(無愁)골 등이 있다. 도봉산의 릉선으로는 도봉주릉선(우이암~정상), 포대릉선(사패산~정상), 오봉릉선(오봉~칼바위), 다락릉선 등이 있다. ▲ 도봉산 가는 길 ¶ 서울 지하철7호선이나 전철1호선 도봉..

[ 삼각산 원효봉-염초봉-백운대 사진 슬라이드쇼 47 매, 22 Mb] ▣ 삼각산 염초봉 / Samgaksan(Mt)》(2001년) ▲ 삼각산 염초봉 가는 길 삼각산 염초봉은 북한산성입구나 밤골에서 다가갈 수 있다. 렴초봉(廉峭峰)은 령취봉(靈鷲峰)이라고도 하는데 백운대(白雲臺)나 만경대(萬景臺)쪽에서 보면 작은 봉우리에 불과하지만 북문(北門)쪽에 바라보면 쉬이 범접할 수 없는 령기(靈氣)가 서려 있는 봉우리임을 알 수 있다. ▲ 산행 코스 ¶ 대서문-상운사-북문-염초봉 ¶ 시구문-원효봉-북문-염초봉 ¶ 밤골-북문-염초봉 ¶ 밤골-염초봉 등의 코스가 있다. 염초봉 코스는 위험한 길이라 정규 탐방로로 지정되어 있지 않다. 대부분 염초봉을 거쳐 백운대로 올라가고 백운대에서 거꾸로 염초봉으로 내려가는 이는 드..
▣ 삼각산 숨은벽 / Samgaksan(Mt) (2000년~2013년) △ 삼각산 숨은벽으로 ▲ 삼각산 숨은벽 숨어 있는 벽을 들춰내는 게 썩 내키지는 않으나 우리 산의 아름다움을 자랑하고 싶은 마음에 사진을 정리해 보았다. 숨은벽 일대는 싸늘하면서도 한편 맑은, 삼각산의 다른 사면과는 확실히 다른 기운이 흐른다. 숨은벽 릉선은 인수 북서릉과 염초봉 릉선 사이에 다소곳이 숨어 있는 듯 보이나 가까이 다가가서 보면 사람을 압도하는 기세가 있고 올라서서 보면 백척간두에 서 있는 듯한 긴장감이 감돈다. 그 긴장감 사이사이로 천하의 절경이 모습을 드러낸다. ▲ 삼각산 (숨은벽) 가는 길 삼각산 숨은벽 지역 들머리는 효자비, 밤골 매표소, 사기막골이다. 지하철 구파발역에서 북한산성입구 · 송추 가는 시내버스를 타..

《대금산 / 大錦山 / Daegeumsan(Mt)》 (2011년 4월) △ 대금산으로 ▲ 대금산은 경남 거제시(巨濟市) 장목면(長木面) 율천리(栗川里)·대금리(大錦里)·시방리(矢方里)·외포리(外浦里)와 연초면(延草面) 명동리(明洞里) 등지에 걸쳐 있는 산으로, 산높이는 해발 437.5 미터이다. 신라 적에 쇠가 나던 곳이라 하여 대금산(大金山)이라 하기도 하고 비단을 두른 듯한 산이라 하여 대금산(大錦山)이라고도 한다. 대금산 정상 언저리에 진달래 꽃밭이 있어 해마다 진달래 구경꾼들이 이산에 모여든다. 산정에 서면, 외포항과 이수도 그 너머 바다와 2010년말 개통된 거가대교가 한눈에 들어온다. ▲ 대금산 가는 길 [대중교통] ¶ 부산,서울,대전...->고현버스터미널->32번, 33번 시내버스(외포,능포..

《 연화도 연화봉 / 蓮花島 / rYeonhwabong(Mt)》 (2012년 1월) △ 연화도 연화봉으로 ▲ 연화도 연화봉은 경남 통영시(統營市) 욕지면(欲知面) 연화리(蓮花里) 연화도에 있는 산으로, 산 높이는 해발 212 미터이다. 연화도는 통영항에서 남쪽으로 24km 떨어진 바다에 있는 섬이다. 연화도 바로 곁에 우도가, 서쪽으로 8km 떨어진 곳에 욕지도가 있어, 통영항에서 욕지도 가는 배들 가운데 일부가 연화도와 우도에 들러간다. 연화봉에서 바라보는 연화도 용머리쪽 풍경이 아름답다. 연화도 용머리는 통영8경 가운데 하나이다. 먼바다에서 밀려온 파도와 비바람이 오랜 세월 동안 섬 남쪽 해안에 부딪치며 기암절벽을 만들어냈다. 보덕암쪽 바닷가 바위와 대바위, 아들달바위, 망부석, 거북바위 등 수많은 ..
[선왕산 사진 슬라이드 쇼 사진 21 매, 5.3 Mb, 좌우압축 가공사진] ▣ 선왕산 / Seonwangsan(Mt) (2012년 1월) △ 비금도 선왕산으로 ▲ 선왕산은 전남 신안군(新安郡) 비금면(飛禽面) 비금도의 서쪽에 자리잡은 산으로 산 높이는 해발 255미터이다. 그림산 (해발 226 미터)-선왕산 연계 산행에서, 바다에 떠 있는 섬들과 하얗게 빛나는 소금밭, 푸르른 들판과 바닷바람에 날개를 돌리는 풍차, 비금도-도초도 사이를 오가는 배들, 기암괴석들, 하트형 해안 하누넘해수욕장 등을 바라볼 수 있다. 비금도는 목포항으로부터 서쪽으로 뱃길로 100리 쯤 떨어져 있는 섬으로, 섬 모양이 새가 날아오르는 형국이라하여 비금도라 불린다. 비금도에는 명사십리· 원평·하누넘·논두레미·내포 해수욕장과 그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