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국사봉 / 國師峰 / Guksabong(Mt) (2012년 12월) △ 국사봉으로 ▲ 국사봉은 충북 보은군(報恩郡) 회남면(懷南面) 법수리(法水里)·사음리(舍音里)와 대전광역시 동구(東區) 오동(梧洞)·주촌동(舟村洞)에 걸쳐 있는 산으로, 산 높이는 해발 319.7 미터이다. 국사봉에서 바라다보이는 대청호 풍경이 빼어나다. ▲ 국사봉 가는 길 ¶ 대전역 -> 대전 63번 회남리행 시내버스 타고 법수리 또는 어부동 정류장에서 하차 ¶ 당진상주고속도로 회인IC->571번도로 회남면 남대문교 -> 회남대교 -> 어부동 § 링크 : 어부동가는길 국사봉 정상 (1.3km) ¶ 법수리 우묵개골 -> 국사봉 정상 (1 km) ¶ 방아실 -> 국사봉 정상 (5 km) △ 국사봉에 들어 ▲ 국사봉 언저리에서 바라본 ..
▣ 백골산 / 白骨山 / Baekgolsan(Mt) (2012년 11월) 백골산으로 백골산은 대전광역시 동구(東區) 신하동(新下洞), 신상동(新上洞), 신촌동(新村洞)에 걸쳐 있는 산으로 산 높이는 해발 340 미터이다. 백골산 서쪽에는 대청호와 물건너 계족산, 동쪽에 고리산[환산], 북쪽에 국사봉이 자리잡고 있다. 백골산 남쪽으로 경부고속도로가 지난다. 백골산에서 비룡JC도 바라다보인다. 백골산의 백골산성은 백제의 테뫼식 석성이었다고 한다. 백골산은 백제군과 신라군의 격전지로서 전사자들이 많이 묻혀 있어 백골산이라 불린다. 백골산성에서 바라보는 대청호 풍경이 아름답다. 백골산 가는 길 ¶ 대전역 -> 62번 시내버스 타고 바깥아감 또는 신절골에서 하차. ¶ 대전IC -> 신상교차로 -> 대전 동구 신하..

▣ 개머리산 / Gaemeorisan(Mt) (2012년 11월) △ 개머리산으로 ▲ 개머리산은 대전광역시 동구(東區) 추동(秋洞)·마산동(馬山洞)·효평동(孝坪洞)에 걸쳐 있는 산으로, 산높이는 해발 363 미터이다. 개머리산은 계족산과 대청호 사이에 있다. 개머리산의 견두산성은 계족산성의 자성(子城)으로 추정된다. 개머리산에서 대청호가 바라다보인다. ▲ 개머리산 가는 길 [대중교통] ¶ 대전역 동광장 -> 60번 시내버스 타고 가다 원마산(말뫼)에서 하차 (하루 14회 운행) ¶ 신탄진역 -> 71번 시내버스 타고 가다 원마산(말뫼)에서 하차 (하루 7회 운행) [자가운전] ¶ 경부고속도로 대전IC -> 비룡교차로 -> 동명초등학교 -> 원마산(말뫼) 또는 소공원주차장 ▲ 개머리산 안내도 ▲ 산행코스 ..

▣ 쇠뿔바위봉 / Soebbulbawibong(Mt) (2012년 11월) △ 쇠뿔바위봉으로 ▲ 쇠뿔바위봉은 전북 부안군(扶安郡) 상서면(上西面) 청림리(靑林里), 하서면(下西面) 석상리(石上里), 변산면(邊山面) 중계리(中溪里)에 걸쳐 있는 산으로 산높이는 해발 465 미터이다. 쇠뿔바위 코스에서 어수대 쪽 암벽, 동서 쇠뿔바위 암봉, 지장봉과 부안호 등 독특한 풍경을 바라볼 수 있다. 변산반도 국립공원에 속해 있다. ▲ 쇠뿔바위봉 가는 길 ¶ 부안 -> 사자동 가는 마을버스 타고 남선 정류장 또는 청림 정류장 하차 ¶ 서해안고속도로 부안IC -> 부안읍 -> 하서면 -> 무슬재 -> 남선마을 (어수대) 또는 청림마을 ▲ 쇠뿔바위봉 안내도와 버스시간표 쇠뿔바위봉 안내도 부안-청림 버스시간표 ▲ 산행코스..

▣ 여귀산 / 女貴山 / nYeogwisan(Mt) (2012년 3월) △ 여귀산으로 ▲ 여귀산(女貴山, 녀귀산)은전남 진도군(珍島郡) 임회면(臨淮面) 죽림리(竹林里)·상만리(上萬里)·용호리(龍虎里)에 걸쳐 있는 산으로, 산 높이는 해발 457.2 미터이다. 진도 동쪽의 첨찰산, 남쪽의 여귀산, 서쪽의 지력산은 서로 이어져 있어 그 안에 갇힌 물은 북쪽으로 흐른다. 여귀산 정상은 진도의 남쪽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로 조선시대 봉수대가 있었다. 왜적이 나타나면 여귀산 봉수대에서 봉화가 올라 첨찰산봉수대 거쳐 목포 유달산봉수대로 전달되었다. 정상의 산죽군락지는 봉화수들이 기거했던 곳인데 호랑이의 피해를 막기 위해 심었다는 전설이 있다. 진도 남쪽 바닷가에 성채처럼 자리잡은 여귀산, 상록수 군락이 있는 산, 종..
▣ 신불산 / 神佛山 / Sinbulsan(Mt) (2004년 7월, 2006년 10월) 신불산으로 신불산(神佛山, 1209m)은 울산광역시 울주군(蔚州郡) 삼남면(三南面)과 상북면(上北面)에 걸쳐 있는 산으로, 태백시 매봉산께에서 백두대간으로부터 갈라져 나와 주왕산-단석산-가지산-취서산-금정산으로 뻗은 낙동정맥상에 솟아, 이 산줄기 동쪽 비탈에 떨어진 빗방울은 바로 동해바다로 흘러가고 서쪽 비탈에 떨어진 빗방울은 낙동강으로 흘러들어 남해로 빠진다. 신불산과 취서산 사이에 억새 평원이 있고, 취서산 남쪽에 통도사, 신불산 서쪽에 신불산 자연휴양림, 신불산 북쪽에 간월산 자연휴양림, 기타 홍류폭포 등의 폭포와 암릉릿지가 있다. 신불산 가는 길 경부고속국도 西울산IC는 경남 울주군 언양읍에 있다. ¶ 西울산..

▣ 모악산 / 母岳山 / Moaksan(Mt) (2007년 8월, 2009년 4월) △ 모악산으로 ▲ 모악산(母岳山)은 전라북도 김제시(金堤市) 금산면(金山面)과 완주군(完州郡) 구이면(九耳面)에 걸쳐 있는 산으로 산 높이는 793미터다. 이 산 서쪽에 금산사(金山寺), 동쪽에 대원사(大院寺), 북서쪽에 귀신사(歸信寺) 등의 절이 있다. 1971년 모악산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마이산-부귀산-만덕산으로 뻗어오던 호남정맥이 운암호반을 지나 내장산으로 뻗어간다. 운암호반의 호남정맥에 솟은 묵방산 언저리에서 산줄기 하나가 북쪽으로 갈라져 나와 그 끄트머리에 솟은 산이 모악산이다. 모악산 동쪽의 구이저수지 물은 전주시를 지나 만경강으로 흘러들고 모악산 서쪽의 금평저수지 물은 김제 남쪽의 원평천으로 흘러든다. ..
▣ 구병산 / 九屛山 / Gubyeongsan(Mt) (2012년 10월) 구병산으로 구병산은 충북 보은군(報恩郡) 마로면(馬老面) 적암리(赤岩里)·갈평리(葛坪里)와 속리산면(俗離山面) 구병리(九屛里) 경계에 있는 산으로 산 모습이 아홉 폭 병풍을 쳐놓은 것 같다 하여 구병산이라고 한다. 산 높이는 해발 876미터이다. 구병산에서 북쪽으로 속리산 천황봉과 문장대 묘봉 릉선이 바라다보인다. 속리산 천황봉은 백두대간이자 한남금북정맥의 분기점이다. 속리산 천황봉 북쪽 물은 한강으로, 천황봉 남쪽 곧 구병산 둘레의 물은 금강으로, 천황봉 동쪽의 물은 낙동강으로 흐른다. 보은군청에서는 속리산과 구병산을 잇는 43.9km 구간을 1999년 5월 17일 ‘충북알프스’로 출원 등록하여 관광상품으로 홍보하고 있다. 구병..
▣ 가야산 / 伽倻山 / Gayasan(Mt) (2012년 10월) 가야산으로 가야산은 경남 합천군(陜川郡) 가야면(伽倻面)과 경북 성주군(星州郡) 수륜면(修倫面) 등지에 걸쳐 있는 산으로, 산 높이는 합천군 쪽 상왕봉(象王峰)이 해발 1,430 미터, 성주군 쪽 칠불봉(七佛峰)은 해발 1,433 미터이다. 가야산 만물상코스는 성주군 수륜면 백운리 가야산 백운동탐방지원센터 (백운동주차장)~만물상~서성재 코스를 말한다. 이 코스는 1972년 가야산이 국립공원으로 지정되면서 출입이 통제되었다가 37년여만인 2010년 6월 개방되었다. 만물상 코스에는 온갖 기암괴석이 늘어서 있고 산길은 기암괴석 사이로 이어진다. 인근 남산제일봉의 확대판이라 할 수 있겠다. 가야산 백운동 가는 길 [대중교통] ¶ 대구서부정류소..

▣ 장안산 / 長安山 / JangAnsan(Mt) (2012년 10월) △ 장안산으로 ▲ 장안산은 전북 장수군(長水郡) 장수읍(長水邑)·계남면(溪南面)·번암면(蟠岩面)에 걸쳐 있는 산으로, 산 높이는 해발 1,237 미터이다. 장안산 건너편 백운산-영취산 산줄기는 육십령 쪽으로 이어지는 백두대간이다. 그 영취산에서 무룡고개를 지나 장안산으로 뻗은 산줄기는 금남호남정맥으로, 마이산-부귀산-주화산으로 이어진다. 장안산 북쪽의 물은 금강으로, 장안산 남쪽의 물은 섬진강으로 흐른다. 장안산에는 자그마한 억새밭이 있다. 장안산에서 지리산 주릉선이 한눈에 바라다보인다. 장안산 덕산용소(德山龍沼)와 방화동(放花洞), 지지계곡(知止溪谷)은 1986년 장수군 군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 장안산 가는 길 ¶ 장수공용터미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