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선바우길, 연오랑세오녀 테마공원 (2023년 2월) 경북 포항 동해면(東海面) 마산리(馬山里)에 마산항, 입암리(立岩里)에 선바우길, 임곡리(林谷里)에 연오랑세오녀 테마공원이 있다. △ 포항 마산항 저녁놀 (포항 동해면 마산리) △ 호미 둘레길 2코스 선바우길 (포항 동해면 입암리) - 호미곶 해안 둘레길 선바우길에는 선바위, 힌디기, 하선대, 먹바위 등의 기암이 있다. △ 연오랑세오녀(延烏郞 細烏女) 테마공원 (포항 동해면 임곡리, 2016년 준공) △ 다녀와서 2023년 2월 말, 경북 포항 호미곶 (포항제철 건너편에 있는) 연오랑세오녀 테마공원 둘러보고, (호미반도 둘레길) 선바우길을 걷고, 마산항의 저녁놀을 구경하였다. 연오랑세오녀 테마 공원이나 선바우길(해안데크길), 입장료나 주차료 무료이다..

▣ 오도리 간이해수욕장 ~ 칠포리 해오름전망대 (2023년 2월) 오도리 간이해수욕장은 경북 포항시 북구 흥해읍 오도리(烏島里)에, 해오름전망대는 같은 읍 칠포리(七浦里)에 있다. 오도~칠포 해안산책로는 해파랑길 18코스이다. △ 오도리간이해수욕장 일출 △ 배 따라가는 갈매기들 (오도리간이해수욕장) △ 칠포리 해오름전망대 △ 해파랑길 18코스 (오도리~칠포리) ; 영일만북파랑길 △ 다녀와서 2023년 2월 하순, 포항 흥해 오도리해변 일출을 구경하고 칠포항까지 해안산책로를 걸었다. 해안산책로 중간에 해오름전망대가 있었다. 해오름전망대에 가려면 '칠포항주차장' (주차료 무료)을 이용한다. 해오름전망대와 접한 차로변에는 주차할 수 없다. [2023-08-08 작성]

▣ 울산대왕암공원 (2023년 3월) 울산대왕암공원은 울산광역시 동구 일산동(日山洞) 바닷가에 있는 공원이다. 일산해변에서 조망되는 공원 북쪽 구역의 출렁다리와 공원 동북 쪽 해안의 기암괴석(전설바위길) 그리고 공원 동남 쪽 용추수로 건너 바위섬(대왕암) 등이 있다. ▲ 대왕암공원 출렁다리 (길이 303미터, 폭 1.5미터, 2021년 개통) ▲ 대왕암공원 전설바위길 풍경 ▲ 울산대왕암 - 용추수로 위에 놓인 대왕교를 통해 바위섬 대왕암으로 건너간다 ▲ 사근방 둘레 - 이쪽도 풍경이 좋다 ▲ 다녀와서 2023년 3월 초 울산 대왕암공원을 찾았다. 출렁다리 건너 전설바위길 기암괴석을 구경하고 대왕암에 건너갔다가 송림길로 되돌아왔다. 2023년 3월 현재 대왕암공원(출렁다리 포함) 입장료 무료, 평일 주차료..

▣ 울진 은어다리 (2023년 2월, 2022년 10월) 울진은어다리는 경북 울진군 근남면 수산리(守山里)와 울진읍 읍남리 사이, 남대천 하구에 있는 보도육교(길이 243미터, 폭 3미터)이다. 2015년 3월에 완공되었다. 다리 위에 커다란 은어 두 마리가 마주 보고 있다. △ 멀리서 바라본 울진은어다리 △ 가까이서 바라본 울진은어다리 △ 다녀와서 2022년 10월 초순과 2023년 2월 중순에 울진 은어다리를 구경하였다. 다리 둘레에 건물이 없고 바닷가에 자리하고 있어 은어조형물이 더욱 돋보인다. 용(룡)처럼 커다란 은어가 다리 위에 놓여, 산책객들은 은어 입이나 뱃속을 거닐게 된다. 낮 동안 반짝이던 은어다리가 밤에도 경관조명으로 빛난다. 울진남대천 하구는 바다와 강 사이에 모래 언덕이 있어, 은어..

▣ 거제 파노라마 케이블카 (2023년 4월) 거제 파노라마케이블카는 거제도 학동고개 인근 하부정류장(사계정류장)에서 노자산 정상 남쪽의 상부정류장(윤슬정류장, 해발 560미터)까지 놓인 쇠동아줄 길로서, 길이 1,560미터, 고도차 350 미터이다. 2022년 3월 개장하였다. 노자산에서 (파노라마처럼) 사방으로 탁 트인 (산과 바다) 풍경을 조망할 수 있다. ▲ 거제도 노자산 (케이블카 상부정류장 인근) 윤슬전망대 일대에서 바라본 풍경 (좌우압축사진) ▲ 노자산 윤슬전망대~뫼바위에서 바라본 거제도 학동리 (학동흑진주몽돌해변) ▲ 노자산에서 바라본 거제도 갈곶리 쪽 풍경 ▲ 노자산에서 가라산 쪽으로 바라본 풍경 ▲ 노자산에서 바라본 탑포리·율포리 쪽 풍경 ▲ 그 밖 ▲ 거제파노라마 케이블카와 전망대 ▲..

▣ 하동 금오산 케이블카 (하동 플라이웨이 케이블카) (2023년 5월) 하동케이블카는 경남 하동군 금남면 중평리(772번지)에서 금오산(해발 849미터) 정상 턱밑까지 놓인 쇠동아줄 길로서, 총연장 2,556미터, 고도차 780미터이다. 2022년 4월 개장(운행개시)하였다. 하동 금오산은 바닷가에 우뚝 솟아 남쪽 바다는 물론 북쪽 지리산까지 한 눈에 조망할 수 있다. ▲ 하동 금오산 케이블카 상부 정류장에서 바라본 바다 (좌우압축사진) ▲ 하동 금오산에서 바라본 남해군 설천면 문의리(文義里) ▲ 하동 금오산에서 바라본 하동군 금남면 대치리(大峙里) - 좌우압축사진 ▲ 금오산에서 바라본 중평리 솔섬 - 중평항(仲坪港)에서 배 타고 들어간다. ▲ 하동 금오산에서 바라본 술상항(述上港) 쪽 풍경 - 술상항..

▣ 배알도 (2023년 5월) 전남 광양시(光陽市) 태인도(太仁島)와 진월면(津月面) 망덕리(望德里) 사이, 섬진강 하구에 배알도(拜謁島)가 있고 각각 해맞이다리와 별헤는다리를 통해 그 섬에 들어가거나 건너편으로 건너갈 수 있다. 광양의 해와 진월면의 달 그리고 윤동주 시인의 별이 함께 어우러지는 공원이 조성된 듯하다. 망덕리에 정병욱 가옥이 있고, 정병욱은 (그곳에) 윤동주 친필유고 시집을 보존하여 (훗날) 윤동주의 시를 세상에 알렸다. 그리하여 망덕리와 배알도를 잇는 다리는 윤동주의 시 '별 헤는 밤'에 따라 '별 헤는 다리'가 되었다. △ 태인도와 해맞이다리에서 바라본 배알도와 별헤는다리 △ 망덕리 쪽에서 바라본 별헤는다리 △ 배알도 △ 하동 금오산 전망대에서 바라본 배알도 일대 △ 다녀와서 202..

▣ 도산일주로 (2023년 6월) 도산일주로는 경남 통영시 도산면(道山面) 오륜리(가오치항)-저산리(통영경찰수련원)-수월리(도산면해맞이공원)-법송리에 걸친 해안도로 및 육로를 말한다. 학섬휴게소는 법송리 북쪽의 도선리에 위치한다. △ 도산일주로와 학섬휴게소에서 바라본 풍경 (좌우압축사진) △ 가오치항에서 사량도 가는 배 (그랜드페리호 추적) △ 도산일주로 바다 양식장 2023년 6월 초, 경남 통영시 도산면의 도산일주로를 (차량으로) 달리며 바다 풍경을 구경하였다. (예쁜) 섬과 섬 사이에, (스티로폼) 부표가 (학교 운동회) 만국기처럼 떠 있었다. 길가에 조가비(가리비?)를 (가지런하게) 쌓아 둔 곳도 있었다. [2023-07-13 작성]

▣ 삼천포대교 (2023년 5월) 경남 사천시 대방동- 삼천포(三千浦)대교 - 모개섬 - 초양(草養)대교 - 초양도 - 늑도(勒島)대교 - 늑도- 창선(昌善)대교 - 남해군 창선도로 이어진 다리들을 묶어 창선삼천포대교라 한다. 2003년 개통되었다. 삼천포대교와 나란히 바다를 가로지르는 사천바다케이블카는 2018년 개통되었다. △ 삼천포대교 야경 △ 초양도에서 바라본 삼천포대교 △ 청널공원 쪽에서 바라본 삼천포대교 △ 삼천포대교공원 △ 하동금오산 전망대에서 바라본 삼천포대교 (이상 2023년) △ 각산에서 바라본 삼천포대교 (2021년) 2023년 5월 말과 6월 초에 촬영한 사진에다 2021년 10월 중순에 촬영한 사진을 덧 붙임. (2023-07-09 작성)

▣ 남해 지족해협 죽방렴 (2023년 6월) 남해도와 창선도 사이의 지족해협에 죽방렴(竹防簾)이 설치되어 있다. 남해도와 창선도로 둘러싸인 바다의 물이 지족해협을 빠져나갈 때 (썰물 때) 대나무 어살에 멸치 등의 물고기가 갇힌다. 2010년 문화재청은 남해지족해협 죽방렴 23통을 명승 제71호로 지정하였고, 2015년 해양수산부는 남해 죽방렴을 국가중요어업유산 제3호로 지정하였다. [출처 : 농가섬 입구 죽방렴 전망대 안내판] △ 창선교 서쪽 죽방렴 어선 한 척이 죽방렴 어획작업을 마치고 지족항(只族港)으로 돌아간다. 죽방렴에 새들이 모여들었다. △ 죽방렴 관람대 (농가섬 입구) △ 창선교 동쪽 죽방렴 2023년 6월 초 남해 지족항과 창선교 다리 위에서 죽방렴을 구경하였다. 밀물 때 그냥 스쳐 지나쳤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