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둔산 / 大芚山 / Daedunsan(Mt) (2002년 4월, 2004년 8월, 2009년 10월) △ 대둔산으로 ▲ 대둔산(한듬산, 大芚山, 878m)은 전북 완주군(完州郡) 운주면(雲洲面)과 충남 논산시(論山市) 벌곡면(伐谷面) 및 금산군(錦山郡) 진산면(珍山面)에 걸쳐 있는 산으로, 운장산-계룡산을 잇는 금남정맥상에 솟아 있다. 이 산 남쪽 비탈에 떨어진 빗방울은 장선천(長仙川)으로 흘러들어 논산저수지 지나 강경에서 금강으로, 북쪽 비탈에 떨어진 빗방울은 북쪽으로 흘러 대전을 지나 금강으로 흐른다. 이 산의 전북쪽 비탈은 하늘에서 바위를 뿌려 박아놓은 듯한 기암과 절벽으로 이루어져 있고 충남쪽 비탈은 완만한 산등과 계곡에 폭포를 품고 있다. 1990년 가을 케이블카가 개통되었다. 임진왜란때 ..
■ 백암산 / 白巖山 / Baegamsan(Mt) (2007년 10월) △ 백암산으로 ▲ 백암산(白巖山)은 전남 장성군(長城郡) 북하면(北下面)과 전북 순창군(淳昌郡) 복흥면(福興面)에 걸쳐 있는 산으로, 내장산에서 추월산으로 뻗어가는 호남정맥 상에 솟았다. 산높이는 해발 741미터. 백학봉(白鶴峰)과 상왕봉(象王峰) 그리고 사자봉(獅子峰)으로 둘러싸인 골짜기 아래에 천년고찰 백양사(白羊寺)가 자리잡고 있다. 백암산은 내장산과 더불어 단풍철에는 인산인해를 이룬다. 내장산 국립공원에 속해 있다. ▲ 백암산 가는 길 백양사 가는 길이 곧 백암산 가는 길이다. ¶ 호남고속국도 백양사IC->1번국도 장성방향 백양사입구(약수리)->백양사 ¶ 광주 광천터미널과 서울 강남터미널에서 백양사 가는 버스가 있다. ▲ 백암..
《덕유산 / 德裕山 / Deogyusan(Mt)》 (2004년 2월, 2005년 2월) △ 덕유산으로 ▲ 덕유산(德裕山, 1614m)은 전북 무주군 설천면·안성면, 장수군 계북면·장계면, 경남 함양군 서상면, 거창군 북상면에 걸쳐 있는 산으로, 주봉인 향적봉의 남서쪽에 중봉·무룡산(1491m)·삿갓봉·남덕유산(1507m)·서봉이 솟아 있고, 백련사·송계사·영각사 등의 절과 구천동계곡·칠연계곡 등의 계곡을 품고 있다. 덕유산 일대의 육십령-서봉-무룡산-송계삼거리(백암봉)-월음령-신풍령으로 이어지는 산등성이는 백두산에서 지리산으로 뻗어내린 백두대간에 속한다. ▲ 덕유산 가는 길, 덕유산 안내도 대전 통영간 고속국도 무주IC나 덕유산IC를 빠져나와 19번 도로를 타고 가다 치목터널 · 구천동터널 지나 727번..
《선유봉·망주봉 [선유도] / Seonyudo(Is)》 (2007년 5월) △ 선유봉·망주봉 [선유도]으로 ▲ 선유도 가는 길 [여객선] 선유도 가는 여객선은 군산외항 연안여객터미널에서 출항한다. (주)한림해운의 선샤인호와 옥도훼리호는 하루에 세 번씩 선유도를 오가고, 계림해운(주) 아림카훼리1호와 제11화양호는 뭉뚱그려 하루에 네 번 군산과 선유도를 오간다. 계림해운(주) 장자훼리호는 하루에 두 번 군산과 말도를 오가며 중간에 장자도에 들른다. [유람선] 그밖에 군산도선장 유람선터미널에서 고군산군도를 둘러보는 유람선이 하루 두 번꼴로 떠난다. 유람선은 여러 섬 곁을 지나 선유도에 한 시간 남짓 머문다. ▲ 선유도 망주봉(望主峰)은 전북 군산시(群山市) 옥도면(玉島面) 선유도(仙遊島)에 있는 산봉우리로 ..

[ 바래봉 사진 슬라이드 쇼 사진 46 매, 20 Mb] ▣ 바래봉 / Baraebong(Mt) (2004년 5월 2006년 5월, 2015년 5월) △ 바래봉으로... ▲ 바래봉 가는 길 - 88올림픽 고속국도 지리산IC -> 인월(引月) -> 24번 국도를 타고 운봉(雲峯) 용산리 주차장 - 88올림픽 고속국도 남원IC -> 19번·24번도로를 타고 운봉읍 용산리 주차장 - 정령치로 가려면 남원이나 운봉에서 737번 도로로, 구례(求禮)-산내(山內)를 잇는 861번 도로에서는 737번 도로로 접어든다. - 2011년 개통된 완주순천고속도로 오수IC-> 산업도로 이용 교죽교차로 -> 운봉읍 -> 지리산허브밸리 주차장 (용산주차장) ▲ 바래봉(1165m)은 전북 남원시(南原市) 운봉읍(雲峯邑)·산내면(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