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릉 소금강 식당암 사진 (2019년 10월) △ 강릉 소금강 식당암 사진 (2019년 10월 9일 단풍 상태) △ 생각나는 대로 2019년 10월 9일 강릉 소금강계곡의 식당암에 다녀왔다. 오대산 국립공원 소금강분소에서 식당암까지 30분쯤 걸려 오후 2시쯤 도착하였는데 식당암 절벽 돌기둥 너머로 해가 넘어가는 중이었다. 단풍 시기는 이른 줄 알고 있었지만 휴휴암 구경한 김에 인근의 소금강 계곡에 들르기로 한 것이다. 2008년 10월 하순 진고개에서 노인봉에 올랐다가 소금강계곡으로 하산한 적이 있다. 그때 노인봉은 겨울산이었지만 소금강계곡은 단풍이 곱게 물들어 있었다. 식당암에 당도했을 때는 햇빛이 들지 않았다. 그리하여 언젠가 단풍 들고 식당암에 해 드는 때에 다시 찾으리라 마음먹었더랬다. 식당암..

[ 민둥산 억새 사진 슬라이드 쇼 42 매, 34 MB ] (구성 : 2016년 - 2008년 - 2003년 사진) ▲ 생각나는 대로 2016년 10월 9일, 아침 7시경 민둥산 발구덕에 도착했다. 포장마차(?) 매점 겸 식당에서 어묵탕으로 배를 달래고 민둥산 막걸리(대 5,000원) 한 병을 사서 배낭에 넣고 산행을 시작하였다. 2008년에는 발구덕-정상-증산초 방향 하산하여 임도로 거북이쉼터-발구덕 코스로 산행했는데 이번에는 그 반대 코스를 잡았다. 매점 아주머니가 추천한 코스이다. 일기예보에 정선의 최저기온이 영상6도라고 했으니, 고지에다 바람까지 부는 민둥산의 아침 기온은 더 낮을 것이다. 정상데크에서 아침 식사를 하면서 겨울용 짚티와 방풍복을 덧입었다가 한낮에는 벗었다. 2008년 그때처럼 이른..

▣ 공작산 / 孔雀山 / Gongjaksan(Mt) (2011년 10월) ▲ 공작산으로 △ 공작산은 강원도 홍천군(洪川郡) 화촌면(化村面)과 동면(東面)에 걸쳐 있는 산으로, 산 높이는 해발 887 미터이다. 수타사(壽陀寺) 둘레 풍경이 수려하다. 공작산 산자락의 물은 북쪽 군업천과 남쪽 덕치천으로 모여 곧바로 홍천강과 합류하여 청평호 상류에서 북한강과 만나 서해로 흐른다. △ 공작산 가는 길 [대중교통] ¶ 동서울종합터미널-> 직행버스 타고 홍천종합버스터미널 (직행버스로 1 시간 소요) ¶ 홍천버스터미널 -> 농어촌버스(40, 51-1, 54-1번) 타고 노천리 물골 (하루 5회, 1시간 소요) ¶ 홍천버스터미널 -> 농어촌버스(51, 51-1, 53번) 타고 수타사 (하루 4회, 50분 소요) ¶ 홍..
▣ 치악산 / 稚岳山 / Chiaksan(Mt) (2008년 5월) 치악산으로 치악산은 강원도 원주시(原州市)·횡성군(橫城郡)·영월군(寧越郡)에 걸쳐 있는 산으로 1984년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이 산은 단풍이 고와 적악산(赤岳山)이라 불렸으나 꿩의 보은설화가 생겨난 뒤 치악산으로 바뀌었다. 이 산에는 비로봉(飛蘆峰, 1288m)·향로봉(香爐峰, 1043m)·남대봉(南臺峰, 1182m)등의 봉우리, 구룡사(龜龍寺)·상원사(上院寺) 등의 사찰이 있다. 구룡사에서 비로봉 거쳐 성남입구까지 이십여킬로미터쯤 되는 덩치 큰 산이다. 치악산 가는 길 [대중교통] ¶ 원주시외버스터미널·원주역->시내버스(41,41-1번) 타고 40분 달려 구룡탐방지원센터 ¶ 원주시외버스T·원주역->시내버스(82번) 타고 30분 황..
▣ 노인봉 / 老人峰 / Roinbong(Mt) (2008년 10월) 노인봉으로 노인봉은 강원도 평창군(平昌郡) 도암면(道岩面)과 강릉시(江陵市) 연곡면(連谷面)에 걸쳐 있는 산으로, 산높이는 해발 1,399미터이다. 산꼭대기 바위봉우리가 멀리서 보면 백발노인과 같다고 하여 노인봉이라 불린다. 동대산~진고개~노인봉~소황병산으로 이어지는 산줄기는 백두대간이다. 청학천(靑鶴川)은 노인봉에서 발원하여 백마봉·소황병산·천마봉쪽 골짜기 물을 받아 기암괴석 사이로 흘러 6번국도쪽 연곡천과 합쳐진다. 청학천과 그 둘레의 낙영폭포(洛英瀑布), 백운대, 만물상(萬物相), 구룡폭포(九龍瀑布), 식당암(食堂岩), 무릉계(武陵溪) 등을 아울러서 소금강이라 하며 1970년 국가 명승지 제1호로 지정되었다. 소금강은 작은 금강산..
▣ 방태산 / 芳台山 / Bangtaesan(Mt) (2003년 4월) 방태산으로 방태산은 강원도 인제군(麟蹄郡) 기린면(麒麟面) 방동리(芳東里)와 상남면(上南面) 미산리(美山里) 등지에 걸쳐 있는 산으로 산 높이는 해발 1,435미터이다. 정감록의 삼둔사가리가 방태산과 그 둘레에 자리잡고 있다. 방태산의 방동리 쪽에 방동약수, 미산리 쪽에 개인약수가 있다. 적가리골에는 1997년 방태산휴양림이 들어섰다. 길게 이어지는 고산의 주릉선에 철따라 꽃들이 피어난다. 깊은 골짜기, 울창한 숲, 가을 단풍, 약수 ... 방태산 가는 길 ¶ 인제군 기린면 현리터미널(033-461-5364) -> 미산행 버스 타고 미산1리 종점 하차 -> 걸어서 약수산장 ¶ 인제군 기린면 현리터미널 -> 방동약수 가는 버스타고 방동..
▣ 금강산 / 金剛山 / Mt.Geumgang (2004년 5월) ▲ 금강산으로 △ 금강산 (해발 1,638미터)은 강원도 회양군(淮陽郡)·통천군(通川郡)·고성군(高城郡)·인제군(麟蹄郡)에 걸쳐 있는 산이다. 북한 행정구역 개편 이후에는 강원(북한) 금강군, 고성군, 통천군에 걸쳐 있는 산이다. 금강산에서 선창산-오봉산-온정령-옥녀봉-금강산비로봉-월출봉-일출봉-차일봉으로 이어지는 산줄기는 백두대간이다. 이 산줄기 서쪽 곧 내금강의 물은 남쪽으로 흘러 파로호에 담겼다가 북한강-한강으로 흐른다. 금강산(金剛山, 1638m)은 동서 길이 40km, 남북 길이 60km 크기의 산이다. 1만 2천봉이라니 과장이 좀 심한 것 아닌가 했는데 과연 헤아릴 수 없이 많은 봉우리가 솟아 있다. 명산이다 보니 이름도 많다...

■ 팔봉산 / 八峰山 / Palbongsan(Mt) (2004년 11월, 2007년 1월, 2007년 5월) △ 팔봉산으로 ▲ 팔봉산(327m)은 강원도 홍천군(洪川郡) 서면(西面) 팔봉리(八峰里)에 있는 산으로 여덟 바위 봉우리가 홍천강에 휘감겨 솟아 있다. 각 봉우리를 오르내리는 산길이 험하다. 2봉엔 당집, 4봉엔 해산굴이 있다. 정상은 3봉(302m)으로 알려져 왔으나 최근 항공측량결과 2봉(327m)이 더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 팔봉산 가는 길 [대중교통] ¶ 남춘천역 -> 버스타고 팔봉산 유원지 (하루 6회 운행) ¶ 홍천 -> 버스 타고 팔봉산 유원지 (하루 4회 운행 : 버스시간안내 033-433-0015) [자가운전] ¶ 서울춘천고속도로 남춘천IC -> 남쪽으로 20km 달려 팔봉산유..
■ 두타산 / 頭陀山 / Dutasan(Mt) △ 두타산으로 ▲ 두타산은 강원 동해시(東海市) 삼화동(三和洞)과 삼척시(三陟市) 미로면(未老面)에 걸쳐 있는 산으로 산 높이는 해발 1,353미터이다. 두타산 청옥산(1,403m)은 백두대간에 솟았다. 두타산 동쪽 무릉계곡의 물은 동해로 흐르고 두타산 남서쪽의 물은 정선(백운산옆)-영월(태화산옆)-단양(제비봉옆)-충주-여주-양평땅-서울 지나 서해로 흐른다. 홀로 고행을 통해 자성을 깨우친다는 불가의 두타행(頭陀行, dhuta-)에서 따온 이름을 지닌 두타산(頭陀山 1,353m). 동해 바다에서 머잖은 무릉계곡을 들머리로 산에 들면 정상까지 고도차가 상당하다. 산중에 무릉반석, 삼화사, 두타산성, 쉰우물, 학소대, 쌍폭포, 용추폭포, 신선봉 등의 볼거리 놀거..

■ 선자령 / 仙子嶺 / Seonjaryeong(Mt) (2004년 2월, 9월)△ 선자령으로 ▲ 선자령은강원도 평창군(平昌郡 ) 대관령면 (大關嶺面, 옛 도암면道岩面) 횡계리(橫溪里)와 강릉시(江陵市) 성산면(城山面)에 걸쳐 있는 산으로 겨울 눈산행과 삼양목장으로 유명하다.대관령(大關嶺, 832m)~선자령(仙子嶺, 1157m)~곤신봉(坤申峰, 1131m)~매봉(鷹峰, 1173m)~소황병산(小黃柄山, 1328m)~로인봉(老人峰, 1338m)~진고개(970m)를 잇는 산길은 백두대간길이다. 선자령에서 소황병산 가는 길 서쪽 산언덕은 드넓은 풀밭이다. 삼양식품에서 1972년부터 1985년까지 참나무를 베어내고 미국산 풀씨를 뿌려 만들어 놓은 목장이라고 한다. 일반차량이 삼양목장길을 타고 곤신봉의 북쪽 동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