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제64장   第六十四章 輔物 (守微)
     
안정돼 있을 때 유지하기 쉽고   其安易持
아직 낌새가 없을 때 (그것을 다룰) 꾀를 내기 쉽다   其未兆易謀
무를 때 녹아 풀어지게 하기 쉽고   其脆易泮
미약할 때 흩뜨리기 쉽다   其微易散
(일은) 터지기 전에 미리 (처리)해야 하고   爲之於未有
(나라는) 어지러워지기 전에 미리 다스려야 한다   治之於未亂
     
아름드리 나무도 털끝 같은 싹에서 자라나고   合抱之木生於毫末
구층 높은 대도 한줌 흙에서 일어서고   九層之臺起於累土
천 리 갈 길도 발아래 (한 걸음)에서 비롯한다   千里之行始於足下
     
억지로 하려고 하면 망치고 움켜잡으려고 하면 놓친다   爲者敗之 執者失之
     
이 때문에 성인은   是以聖人
억지로 함이 없으므로 (무위하므로) 망가뜨리는 일이 없고   無爲故無敗
움켜잡으려고 함이 없으므로 놓치는 일도 없다   無執故無失
     
백성(사람들)이 일을 할 때 늘 거의 다 될 무렵에 망친다   民之從事 常於幾成而敗之
끝 무렵에도 처음처럼 삼가면 일을 망치지 않는다   慎終如始 則無敗事
     
그러므로 성인은   是以聖人
욕심내지 않음을 욕심내고 얻기 어려운 재화를 귀하게 여기지 않는다   欲不欲 不貴難得之貨 *1~
배우지 않음을 배우고 뭇사람이 지나쳐 간 곳으로 되돌아간다   學不學 復衆人之所過
(능히) 만물이 스스로 이루도록 도우며 감히 억지로 하지 않는다   以輔萬物之自然 而不敢爲

 

 

- 노자29장 : 천하는 신기한 그릇이라 빚을 수도 없고 움켜잡을 수도 없다. 빚으려고 하면 망치고 움켜잡으려고 하면 놓친다.

* 1~ : [죽간본甲] (성인은) 욕심 내지 않음을 욕심 내고 얻기 어려운 재화를 귀하게 여기지 않으며, 가르치지 않음을 가르치고 뭇사람이 떠나간 곳으로 되돌아간다.
- 노자57장 : [죽간본, 백서본] 성인이 말하기를 내가 욕심내지 않음을 욕심내니 (아무것도 바라지 않고자 하니) 백성이 스스로(저절로) 순박해지더라. (我欲不欲而民自樸)

- 노자20장 : 학문을 끊으면 근심이 없다. ~뭇사람 모두 쓸모가 있지만 나만 미련하고 너절하다. 나만 홀로 남과 달리 젖어미를 소중히 여긴다.
- 노자48장 : 학문을 하면 날로 늘리고 도를 닦으면 날로 줄인다. 줄이고 줄여 무위(의 경지)에 이르면 함이 없이도 (무위로도) 이루지 못하는 것이 없다

 

더보기

 

■ 道德經64 : http://ctext.org/text.pl?node=11655&if=gb&show=parallel

《王弼註 道德經》: 其安易持,其未兆易謀。其脆易泮,其微易散。爲之於未有,治之於未亂。合抱之木,生於毫末;九層之臺,起於累土;千里之行,始於足下。爲者敗之,執者失之。是以聖人無爲故無敗;無執故無失。民之從事,常於幾成而敗之。慎終如始,則無敗事,是以聖人欲不欲,不貴難得之貨;學不學,復衆人之所過,以輔萬物之自然,而不敢爲。 

《老子河上公章句·守微》: 其安易持,其未兆易謀,其脆易破,其微易散。爲之於未有,治之於未亂。合抱之木生於毫末;九層之臺起於累土;千里之行始於足下。爲者敗之,執者失之。是以聖人無爲故無敗,無執故無失。民之從事,常於幾成而敗之。慎終如始,則無敗事。是以聖人欲不欲,不貴難得之貨;學不學,復眾人之所過;以輔萬物之自然。而不敢爲。

《馬王堆·老子乙德經》: □□□□□□□□□□□□□□□□□□□□□□□□□□□□□□□□□□□□□□木,作於毫末;九成之臺,作於欙土;百千之高,始於足下。爲之者敗之,執者失之。是以聖人無爲□□□□□□□□□□□□。民之從事也,恆於其成而敗之。故曰:慎冬若始,則無敗事矣。是以聖人欲不欲,而不貴難得之貨;學不學,復眾人之所過,能輔萬物之自然,而弗敢爲。 

《馬王堆·老子甲德經》: 其安也易持也,□□□□易謀□□□□□□□□□□□□□□□□□□□□□□□□□□□□□□□□毫末;九成之臺,作於羸土;百仁之高,台於是□□□□□□□□□□□□□□□也□無敗□無執也,故無失也。民之從事也,恆於其成事而敗之。故慎終若始,則□□□□□□□□欲不欲,而不貴難得之貨;學不學,而復眾人之所過,能輔萬物之自□,□弗敢爲。 

《郭店·老子甲》: 爲之者敗之,執之者失之。是以聖人亡爲,故亡敗;亡執,故亡失。臨事之紀,慎終如始,此亡敗事矣。聖人欲不欲,不貴難得之貨,教不教,復眾之所過。是故聖人能尃萬物之自然,而弗能爲。 

《郭店·老子甲》: 其安也,易持也;其未兆也,易謀也;其脆也,易判也;其幾也,易踐也。爲之於其亡有也。治之於其未亂。合末,九成之臺,作足下。 

《郭店·老子丙》: 爲之者敗之,執之者失之。聖人無爲,故無敗也;無執,故□□□慎終若始,則無敗事矣。人之敗也,恒於其且成也敗之。是以□人欲不欲,不貴難得之貨;學不學,復眾之所過。是以能輔萬物之自然,而弗敢爲。 


■ 老子 (帛書校勘版) : http://zh.wikisource.org/wiki/老子_(帛書校勘版)

第二十七章 輔物(64) 其安也 易持也 其未兆也 易謀也 其脆也 易判也 其微也 易散也 爲之於其未有也 治之於其未亂也 合抱之木 生於毫末 九成之臺 作於羸土 百仁之高 始於足下 爲之者敗之 執之者失之 是以聖人无爲也 故无敗也 无執也 故无失也 民之從事也 恆於其成事而敗之 故慎終若始 則无敗事矣 是以聖人欲不欲 而不貴難得之 學不學 而復眾人之所過 能輔萬物之自然 而弗敢爲

■ 老子(匯校版) : http://zh.wikisource.org/

六十四章 : 其安易持,其未兆易謀。其脆易泮,其微易散。爲之於未有,治之於未亂。合抱之木,生於毫末;九層之台,起於累土;千里之行,始於足下。民之從事,常於幾成而敗之。慎終如始,則無敗事。 

노자64장: 기안이지,기미조이모。기취이반,기미이산。위지어미유,치지어미란。합포지목,생어호말;구층지대,기어루토;천리지행,시어족하。민지종사,상어기성이패지。신종여시,즉무패사。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