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노자65장 : 옛날에 도를 잘 닦은 사람은 백성을 똑똑하게 만들지 않고 어리석게 만들려고 하였다
photoseoul.com_()_poolpiri 2012. 6. 27. 09:02제65장 | 第六十五章 玄德 (淳德) | |
옛날에 도를 잘 닦은 사람은 | 古之善爲道者 | |
백성을 똑똑하게 만들지 않고 어리석게(우직하게) 만들려고 하였다 | 非以明民 將以愚之 | |
백성을 다스리기 어려운 것은 백성이 지혜(지략)가 많기 때문이다 | 民之難治 以其智多 | |
그러므로 지혜로써 나라를 다스림은 나라의 해악이요 | 故以智治國 國之賊 *1 | |
지혜로써 나라를 다스리지 아니함은 나라의 복덕이다 | 不以智治國 國之福 | |
(항상) 이 둘을 알고 있는 것은 또한 (다스림의) 본보기이다 | 知此兩者 亦稽式 *2 | |
항상 (다스림의) 본보기를 알고 있는 것을 | 常知稽式 | |
일러 그윽한 덕이라고 한다 | 是謂玄德 | |
그윽한 덕은 깊고도 멀다(원대하다) | 玄德深矣 遠矣 | |
(그윽한 덕은) 만물과 더불어 돌아온 다음 | 與物反矣 | |
큰 따름(스스로 그러함)에 이른다 | 然後乃至大順 |
- 노자20장 : | 나만 지쳐서(피곤하여) 돌아갈 곳이 없는 듯하다. ~나는 어리석은 사람의 마음을 가진 듯 흐리멍덩하다. 세상사람은 밝지만(명석하지만) 나만 홀로 어둡고(우매하고) 세상사람은 낱낱이 살피지만(명백히 구별하지만) 나만 홀로 두루뭉술하다. ~뭇사람 모두 쓸모가 있지만 (유위하지만) 나만 미련하고 너절하다 (고루하다). 나만 홀로 남과 달리 젖어미를 소중히 여기고자 한다. |
- 노자75장 : | 백성을 다스리기 어려운 것은 위에서 유위로 하기 때문이다. |
- 노자10장 : | 백성을 사랑하고 나라를 다스림에 앎을 내세우지 (지식·지혜로써 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밝고 환하게 사방에 통달해도 앎을 내세우지 않을 수 있겠는가. |
* 1 : | 적(賊) : 나라에 어지러움을 일으키고 백성에게 해를 끼치는 사람 |
* 2 : | [백서본] '항상' 이 둘을 (잊지 않고) 알고 있는 것도, 표준으로 삼아 따를 바(본보기, 본받을 바)이다. if稽式=法式or取法, |
- 노자2장 : | [죽간본] '성인'은 만물이 일어나도 다스리지 않는다. [백서본] '성인'은 만물이 일어나도 다룰 수단·방법을 꾀하지 않는다. |
- 노자37장 : | 만물이 스스로 변화(화육)하면서 욕심이 일어나면 나는 이름 없는 통나무의 소박함으로 진정시킬 것이다. 그리하면 만물 또한 욕심이 없어지고 ~천하는 저절로 안정될 것이다. |
※ 되돌아감에 대하여 | |
- 노자51장 : | 도는 낳고 덕은 기른다. |
- 노자42장 : | 도는 하나[一]를 낳고 하나는 둘을 낳고 둘은 셋을 낳고 셋은 만물을 낳는다. |
- 노자14장 : | 이 하나[一]는 ~그 끝을 가늠할 수 없어서 이름 붙일 수 없고 '아무런 물상이 없음'으로 다시 돌아간다 [復歸]. |
- 노자40장 : | 되돌아가는(되돌아오는) 것[反者, 返也者]이 도의 움직임(활동)이다. |
- 노자16장 : | 무릇 만물은 무성하게 자라나지만 저마다 제 뿌리(근원)로 다시 돌아간다[復歸]. |
- 노자34장 : | 큰 도[大道]는 넘쳐 흘러 왼쪽이든 오른쪽이든 어디에나 벋친다. ~만물(萬物)이 그에게 돌아오지만[歸] 주인 노릇을 하지 않으니 크다[大]고 이름지을 수 있다. |
- 노자25장 : | * 나는 아직 그 이름을 알지 못한다. 자를 지어 도(道)라고 하고 억지로 이름 지어 크다[大]고 한다. 크므로 (두루) 가고 (두루) 가므로 (아득히) 멀어지고 (아득히) 멀어졌다가 (다시) 되돌아온다[反]. ~사람은 땅을 본받고 땅은 하늘을 본받으며 하늘은 도를 본받고 도는 자연(스스로 그러함)을 본받는다. * [왕필주] 하나의 대(大)라는 본체를 지키고만 있는 것이 아니라 (어느 한 곳에 치우치지 않고) 두루두루 멀리까지 가지 않는 곳이 없다. 하지만 (두루 다녀도) 가는 곳(말단)을 따르지 않고 본체는 (변함없이) 홀로 (우뚝) 서 있으므로 되돌아간다고 한 것이다. |
■ 道德經65 : http://ctext.org/text.pl?node=11656&if=gb&show=parallel
《王弼註 道德經》: 古之善爲道者,非以明民,將以愚之。民之難治,以其智多。故以智治國,國之賊;不以智治國,國之福。知此兩者亦稽式。常知稽式,是謂玄德。玄德深矣,遠矣,與物反矣,然後乃至大順。
《老子河上公章句·淳德》: 古之善爲道者,非以明民,將以愚之。民之難治,以其智多。故以智治國,國之賊;不以智治國,國之福。知此兩者亦稽式。常知稽式,是謂玄德。玄德深矣,遠矣,與物反矣!然後乃至於大順。
《馬王堆·老子乙德經》: 古之爲道者,非以明□□□□□之也。夫民之難治也,以其知也。故以知知國,國之賊也;以不知知國,國之德也。恆知此兩者,亦稽式也。恆知稽式,是胃玄德。玄德深矣,遠矣,□物反也,乃至大順。
《馬王堆·老子甲德經》: 故曰:爲道者,非以明民也,將以愚之也。民之難□也,以其知也。故以知邦,知邦之賊也;以不知﹦邦□□德也。恆知此兩者亦稽式也。恆知稽式,此胃玄德。玄德深矣,遠矣,與物□矣,乃□□□。
■ 老子(帛書校勘版) : http://zh.wikisource.org/wiki/老子_(帛書校勘版)
第二十八章 玄德(65) 故曰爲道者非以明民也 將以愚之也 民之難治也 以其知也 故以知知邦 邦之賊也 以不知知邦 邦之德也 恆知此兩者 亦稽式也 恆知稽式 此謂玄德 玄德深矣 遠矣 與物反矣 乃至大順
■ 老子(匯校版) : http://zh.wikisource.org/wiki/老子_(匯校版)
六十五章 : 古之善爲道者,非以明民,將以愚之。民之難治,以其智多。故以智治國,國之賊;不以智治國,國之福。知此兩者亦稽式。常知稽式,是謂「玄德」。「玄德」深矣,遠矣,與物反矣,然後乃至大順。
노자64장: 고지선위도자,비이명민,장이우지。민지난치,이기지다。고이지치국,국지적;불이지치국,국지복。지차량자역계식。상지계식,시위「현덕」。「현덕」심의,원의,여물반의,연후내지대순。
'노자 도덕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자63장 : 함이 없이 하고 일이 없이 일하며 맛이 없이 맛을 낸다 (0) | 2012.06.27 |
---|---|
노자64장 : 안정돼 있을 때 유지하기 쉽고 아직 낌새가 없을 때 그것을 다룰 꾀를 내기 쉽다 (0) | 2012.06.27 |
노자66장 : 강과 바다가 수 많은 골짜기의 왕이 될 수 있는 까닭은 (0) | 2012.06.27 |
노자67장 : 천하의 모든 사람들이 나는 너무 커서 그 무엇과도 닮지 않았다고 말한다 (0) | 2012.06.27 |
노자68장 : 훌륭한 무사는 자신의 용맹을 과시하지 않는다 (0) | 2012.06.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