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수사(淨水寺)는 인천광역시 강화군(江華郡) 화도면(華道面) 사기리(沙器里)에 있는 절이다. 강화도 마니산 동남쪽 기슭에 자리잡고 있다. ▲ 정수사 사진 (2020년 10월 촬영) ▲ 정수사 사진 (2003년 11월 촬영) 아래 사진 우측의 2003년 정수사길이 2020년에는 폐쇄된 듯하다. ▲ 정수사 대웅보전 문살 문양 2003년 사진과 2020년 사진을 비교해 보니 대웅보전 문살 채색이 약간 다르다. ▲ 다녀와서 2020년 10월 24일 정수사를 찾았다. 2003년 11월에 이어 두 번 째다. 정수사 주차장은 승용차 사오 십대 주차할 수 있겠다. 정수사 주차료나 입장료 없다. 단, 마니산에 오르는 산객은 정수사 주차장 한켠의 매표부스에 입장료(성인 2천원)를 내야 한다. 예전의 운치 있던 정수사 ..
▣ 용문사 용문사는 경기도 양평군(楊平郡) 용문면(龍門面) 신점리(新店里) 용문산 기슭에 자리잡은 절이다. 용문사 가는 길 : 양평-홍천 간 경강도로 마룡교차료-> 6km 북진 용문산용문사주차장 주차료내는 곳 -> 400m 거리의 용문사 매표소 -> 1.2km 걸어서 용문사 △ 용문사 사진 (2019년 11월 촬영) △ 생각나는 대로 2019년 11월 2일 용문산 용문사에 다녀왔다. 용문사 오래된 은행나무를 낙뢰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인지 경내에 높다란 철탑을 세워놓았더라. 용문사 가는 숲길 단풍이 그런대로 멋지게 물들었더라. 용문산용문사주차장 당일 소형 3,000원, 용문사입장료 어른 2,500원이다. [2019-11-03 작성]
▣ 회암사지 (檜巖寺址, 회암사터, Hoeamsaji, Hoeamsa Temple site) 려말선초 대사찰 양주 회암사지, 1997년부터 발굴 정비사업을 벌여 2016년 일반인에게 공개되었다. ▲ 회암사지 사진 (2016년 9월, 2019년 5월) ▲ 회암사지 박물관 (2016년 9월) ▲ 생각나는 대로 2016년 9월 답사길 공사중인 회암사지를 역외에서 둘러본 뒤 회암사지 박물관을 구경하였다. 언덕위의 정자에서 전문해설사의 설명을 들었다. 2019년 5월 경내 탐방길이 완공된 회암사지를 구석구석 둘러보았다. 회암사지 뒷산 산속에 있는 현 회암사에는 무학의 탑, 나옹과 지공의 부도가 있다. 고려말 조선초 고승들과 이태조는 회암사와 인연이 있는 것이리라. 충녕대군(훗날 세종)의 둘째형인 효녕대군은 불교에..
▣ 불암사 / 佛巖寺 / Buramsa Temple (2017년 11월) ▲ 불암사는 경기 남양주시(南楊州市) 별내동, 옛 별내면(別內面) 화접리(花蝶里)에 있는 절로서 불암산 동남쪽 기슭에 자리 잡고 있다. 조선 세조 때, 도성 서쪽의 진관사, 남쪽의 삼막사, 북쪽의 승가사와 더불어 동쪽의 불암사는 사대 원찰 가운데 하나였다. 조선 현종 때 불암사에서 석씨원류응화사적목판(釋氏源流應化事蹟木板, 보물 제591호)을 간행했다고 한다. ▲ 불암사 가는 길 ¶ 전철 1호선 석계역 -> 1155번 버스 타고 불암동 정류장 하차 ->1.6km 걸어서 불암사 ¶ 지하철 6·7호선 태릉입구역 또는 지하철 6호선 화랑대입구역 ->1155번 버스 또는 82B번 마을버스 타고 불암동 정류장 하차 ¶ 동부·북부 간선도로 월릉..
[ 화성 용주사 사진 슬라이드 쇼 40 매, 33 MB ] (구성 : 2016년 가을 사진 22 매, 2017년 봄 사진 18 매) ▲ 용주사 사진 (2016년 가을, 2017년 봄) ▲ 용주사(龍珠寺)는 경기도 화성시 송산동[華城郡 台安邑 松山里]에 있는 절로서 대한불교 조계종 제2교구 본사이다. 조선조 사도세자의 아들인 정조가 조성한 능사(릉사)이다. 인근에 사도세자와 정조의 무덤인 융건릉(륭건릉)이 있다. ¶ 용주사 안내도 ¶ 용주사 가는 길 - 과천 의왕간 고속화도로 호매실 IC 또는 오산화성 고속도로 안녕 IC -> 용주사 - 지하철(전철) 1호선 병점역 -> 역 서쪽의 병점역 후문 정류장에서 버스 타고 용주사 ; 8개 버스, 10 여분 소요 ▲ 생각나는 대로 1 2016년 10월 15일 이른 ..
[ 봉선사 사진 슬라이드 쇼 11 매, 10 MB] ▲ 생각나는 대로 2016년 10월 26일 광릉 둘러본 김에 봉선사를 찾았다. 봉선사에 단풍이 들었다. 봉선사를 찾은 사람들이 봉향당 야외 테이블에서 차를 마시고 있었다. 봉향당 아래 연못의 분수도 물을 뿜고 있었다. 2009년 봉선사 연꽃축제 때는 보이지 않던 건물들이 눈에 띄었다. 봉선사가 확장된 듯한 느낌이 들었다. 여름날 물방울 굴리며 푸르렀을 연꽃밭은 가을을 맞아 갈색으로 변했다. 연꽃밭 한켠의 카페도 문을 열었더라. 봉선사는 광릉이 자리잡으면서 생긴 이름이다. 봉선사 가는 길은 광릉 가는 길이나 다름 없다. 봉선사 주차료나 입장료 없다. [2016-10-28 작성] [2022-02-09] 티스토리 스킨변경 에러수정 § 링크 : 2009년 여름..
▲ 신륵사(神勒寺)는 경기도 여주시 천송동 봉미산(鳳尾山)에 있는 절로서 여주대교 북단에서 동쪽으로 직선거리 1 km쯤 떨어진 남한강변에 자리잡고 있다. 고려 우왕2년(1376) 나옹선사가 양주 회암사에서 밀양으로 가던 길에 여주 신륵사에서 입적하자 그 제자들이 우왕5년에 이곳에 그의 부도(보제존자 석종, 석종비, 석등)를 마련하였다고 한다 (출처: 신륵사 안내판). 고려 공민왕의 왕사였던 나옹의 성은 아씨(牙氏), 속명은 원혜(元惠), 휘는 혜근(慧勤), 호는 나옹(懶翁)·강월헌(江月軒), 시호는 선각(禪覺), 공민왕으로부터 받은 호는 보제존자(普濟尊者)이다. 신륵사 조사당 뒤 언덕에 보제존자 석종이 있고 신륵사 다층전탑 아래 남한강변에 강월헌이라는 정자가 있다. 참고로 양주회암사에는 나옹선사 부도와 ..

▲ 강화도 백련사는 인천광역시 강화군 하점면 부근리 231에 있는 절로서 고려산 중턱에 자리잡고 있다. 고구려 소수림왕 때 천축조사가 고려산 오련지의 오색(적청백흑황) 연꽃을 공중에 날려 각 연꽃이 떨어진 곳에 절을 지었는데 그 중 하얀 연꽃이 떨어진 곳이 백련사라고 한다. ▲ 강화 백련사 가는 길 ¶ 강화터미널 -> 버스 타고 백련사 입구 정류장 하차 -> 2.8 km 걸어서 백련사 (40여분 소요) ¶ 강화읍->부근삼거리에서 좌회전 0.6 km 진행->백련사입구 방향으로 좌회전하여 2.6km 진행 -> 백련사 주차장 ▲ 생각나는 대로 전에 고려산 진달래 구경하러 갔다가 백련사를 그냥 지나치며 나중에 한 번 들러보리라 마음 먹었더랬다. 2016.10.1. 불현듯 백련사가 생각나 길을 나섰다. 백련사 석..
[현 회암사와 지공선사, 나옹선사, 무학대사 부도 사진 슬라이드 쇼 19 매, 19 MB] ▲ 회암사 가는 길 ¶ 경원선(수도권전철1호선) 덕정역 -> 78번 버스 타고 회암사지박물관 정류장 하차 -> 걸어서 회암사 (1.4 km) ¶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의정부IC ->장암IC->논스톱 자동차전용도로 타고 회암교차로->회암사길 회암사지 박물관 직전 좌회전->회암사 (경내 주차 가능) ▲ 현 회암사 현 회암사는 회암사지로부터 천보산쪽으로 500미터쯤 떨어져 있다. 현 회암사 좌청룡격 언덕 맨 위에 나옹선사(라옹선사) 부도, 그 아래에 지공선사 부도와 비, 맨 아래에 무학대사탑과 비가 서 있다. 무학대사탑은 보물 제388호로서 탑신에 용이 새겨져 있다. 나옹선사비(선각왕사비, 보물 제387호)는 외딴 곳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