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비봉 / Jebibong(Mt) (2007년 1월) △ 제비봉으로 ▲ 제비봉은 충북 단양군(丹陽郡) 단성면(丹城面) 장회리(長淮里)에 있는 산으로 높이는 721미터이다. 충주호에서 이 산을 바라보면 제비가 날개를 펴고 날아오르는 듯 보인다 해서 제비봉이란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 장회나루 쪽에서 이 산을 오르면 구담봉 옥순봉 말목산이 물에 잠겨 있고 그 너머로 금수산 정상이 보인다. ▲ 제비봉 가는 길 [대중교통] 단양 고수대교 -> 농어촌 버스타고 장회 정류장 하차 (1시간 10분 소요) [자가운전] ¶ 중앙고속국도 단양IC->충주쪽 36번국도 타고 장회나루 ¶ 중부내륙고속국도 괴산IC->충주쪽 19번국도->단양쪽 36번국도 타고 송계->수산->장회나루▲ 충주호에서 바라본 제비봉과 제비봉 안내도 △..
[ 삼악산과 의암호 사진 슬라이드 쇼 38 매, 9.8 Mb] ■ 삼악산 / 三嶽山 / Samaksan(Mt) (2002년 11월, 2007년 8월) △ 삼악산으로 ▲ 삼악산(三岳山, 654m)은 강원도 춘천시(春川市) 서면(西面) 덕두원리(德斗院里)에 있는 산으로, 춘천시 중심가에서 남서쪽으로 8킬로미터쯤 떨어진 곳에 해발 654미터로 솟았다. 굳이 대간정맥과 닿는 곳을 찾아보면, 한북정맥 도마치고개쯤에서 동남쪽으로 뻗은 산줄기에 석룡산-화악산-응봉-촉대봉-몽덕산-가덕산-북배산-계관산-삼악산이 솟았다. 의암호(衣岩湖)와 북한강을 바라보며 산길을 다닐 수 있는 삼악산, 정상 부근 길은 악산이라는 이름답게 바위투성이다. 산중에는 등선폭포(登仙瀑布)와 흥국사(興國寺)·상원사(上院寺) 등의 절이 있다. ▲ 삼..
■ 구담봉(龜潭峰), 옥순봉(玉筍峰) / Gudambong(mt), Oksunbong(Mt) (2003년 9월) ▲ 구담·옥순봉 가는 길 충주-단양 간 36번 국도 상 장회나루 근처 계란재에 구담봉 옥순봉 매표소가 있다. 단양 고수대교 -> 농어촌 버스타고 장회 정류장 하차 (1시간 남짓 소요) -> 걸어서 계란재 (1.5 km) ▲ 구담봉(龜潭峰, 330m)은 물 속에 비친 바위가 거북 무늬를 띠고 있어 붙여진 이름이라고 하나 구담봉 정상의 바위가 거북모양을 닮은 구석이 있고 구담봉 아래가 바로 물이라 붙은 이름일지도 모른다. 옥순봉(玉筍峰, 286m)이 충주호쪽에서 보면 죽순 모양 바위들이 솟아 있어 옥 죽순이라 이름하였다는 것은 쉽게 수긍할 수 있다. 두 봉우리는 단양팔경 가운데 하나다. ▲ 구담봉..
[ 인왕산 사진 슬라이드 쇼 60 매, 24 Mb ] ( 슬라이드쇼 구성 : 선바위·사직터널 쪽에서 바라본 서울성곽 - 선바위 비둘기 - 선바위 둘레 기암 - 공사 전중후 선바위 아랫 마을 아파트 단지 - 선바위 쪽 인왕산 자락의 개나리 - 기차바위 - 인왕산 정상 조망 - 범바위가는길 - 부암동쪽산길 - 범바위 - 윤동주시인의언덕 둘레 - 경복궁에서 바라본 인왕산 - 북악산에서 바라본 인왕산 - 광화문에서 바라본 인왕산 ) ■ 인왕산 / 仁王山 / Inwangsan(Mt) △ 인왕산으로 ▲ 인왕산(仁王山, 338m)은 서울 종로구(鍾路區) 무악동(毋岳洞)·사직동(社稷洞)·누상동(樓上洞)·옥인동(玉仁洞)·부암동(付巖洞)과 서대문구(西大門區) 홍제동(弘濟洞)에 걸쳐 있는 산으로, 한북정맥 도봉산 우이령에서..
서울N타워의 밤 ■ 남산 [목멱산] / 木覓山 / Namsan(Hill) △ 남산으로 ▲ 남산(목멱산)은 서울 중구(中區)와 용산구(龍山區)에 걸쳐 있는 산으로 높이는 해발 265미터다. 북악산·인왕산·낙산과 더불어 조선시대 한양의 내사산(內四山) 가운데 하나다. 남산은 이름이 많다. 도성의 남쪽에 있는 산이라 하여 남산(南山), 목멱신을 모신 산이라 하여 목멱산(木覓山), 경사스런 일을 끌어들이라는 뜻으로 인경산(引慶山), 봉수(烽燧) 종점(終點) 남산이란 뜻으로 종남산(終南山), 산 모습이 누에 머리를 닮았다 하여 잠두봉(蠶頭峯)... 강 건너 잠실(蠶室)이나 잠원(蠶院)은 이 잠두봉의 풍수 누에에게 기를 불어 넣기 위한 풍수 뽕밭이었다고 한다. ▲ 남산 가는 길 [지하철] 지하철 4호선 회현역·명동..
■ 추월산 / 秋月山 / Chuwolsan(Mt) (월계리-보리암-보리암정상-정상, 2004년 가을)△ 추월산으로 ▲ 추월산(秋月山, 720m)은 전남 담양군(潭陽郡) 용면(龍面)과 전북 순창군(淳昌郡) 복흥면(福興面)에 걸쳐 있는 산으로 추령-내장산(신선봉)-백암산-대각산-밀재-추월산-천치재-용추봉-오정자재-산성산(강천산군립공원)으로 이어지는 호남정맥상에 솟아 있다. 추월산 동쪽의 담양호는 영산강으로 흘러가고 북쪽의 옥정호는 섬진강으로 흘러간다. 가을 담양호 아침안개속에 모습을 드러내는 산풍경이 아름답다. 이 산에는 절벽에 새(鳥) 둥지 틀듯 자리잡은 보리암이 있다. 추월산 북동쪽에 가마골로 유명한 용추산, 추월산 동쪽에 강천산 군립공원, 동남쪽에는 금성산성과 담양온천이 있다. ▲ 추월산 가는 길 ..
《금오산 / 金烏山 / Geumosan(Mt)》 (2011년 3월) △ 금오산으로 ▲ 금오산(金烏山)은 경북 구미시(龜尾市)·칠곡군(漆谷郡)·김천시(金泉市)에 걸쳐 있는 산으로 산 높이는 해발 976미터이다. 1970년 한국 최초의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구미쪽 산기슭에 금오지(金烏池)와 채미정(採薇亭)이 자리잡고 있고, 산중턱 절벽에 대혜(大彗)폭포와 도선굴이 걸려 있고, 산정에 약사암이 위태로이 둥지를 틀고 있다. 산정 언저리에 보물 제490호 마애보살입상이 있다. 산기슭에서 대혜폭포 인근 해운사(海雲寺) 옆까지 케이블카가 놓여 있다. 산중에 고려시대 때 축조되어 조선시대 때 고쳐 쌓은 금오산성이 있다. ▲ 금오산 가는 길 [대중교통] ¶ 서울, 대구, 대전 -> 고속버스 타고 구미버스터미널 ¶ 구..
《금정산 / 金井山 / Geumjeongsan(Mt)》 (2004년 12월, 2007년 10월) △ 금정산으로 ▲ 금정산(金井山, 801m)은 경남 양산시(梁山市) 동면(東面)과 부산광역시 동래구(東萊區)·북구(北區)·금정구(金井區)에 걸쳐 있는 산으로, 백두대간 매봉산에서 남쪽으로 갈라져 나온 산줄기인 낙동정맥의 최남단에 솟았다. 금정산에는 고당봉 · 장군봉 · 원효봉 · 의상봉 · 대륙봉 등의 묏봉오리, 범어사, 금정산성 등이 있다. ▲ 금정산 가는 길 ¶ 부산 지하철 1호선 범어사역->시내버스로 범어사->북문이나 장군봉 ¶ 부산 지하철 1호선 온천장역->시내버스로 동문이나 산성마을 또는 걸어서 금강공원 ¶ 부산 지하철 2호선 덕천역->마을버스로 산성마을 ¶ 부산 지하철 2호선 호포역->걸어서 새동네..
《점봉산 / 點鳳山 / Jeombongsan(Mt)》 (2005년 6월) △ 점봉산 곰배령으로 ▲ 점봉산 곰배령 가는 길 ¶ 서울->홍천->철정->상남->현리(縣里)->방동(芳東)->진동(鎭東)->설피마을 주차 ->강선리(降仙里)->곰배령 ¶ 서울->홍천(洪川)->철정(哲亭)->상남(上南)->현리->귀둔(貴屯)->곰배골->곰배령 ; 곰배골 입산통제 ¶ 양양 오색초등학교->단목령->곰배령 ※ 현리에서 진동2리 가는 버스(하루 1회?)가 있으나 드물게 다니므로 개인차량으로 설피마을까지 가야한다. ▲ 점봉산(點鳳山, 1424m)은 강원도 인제군(麟蹄郡)에 있는 산으로 한계령-점봉산-단목령-조침령-구룡령으로 이어지는 백두대간에 솟았다. 점봉산 정상 남쪽 곰배령은 해발 1,100미터 고지에 형성된 평원으로 온갖 ..
《주왕산 / 周王山 / Juwangsan(Mt)》(2003년 4월, 2004년 10월) △ 주왕산으로 ▲ 주왕산(周王山, 720m)은 경북 청송군(靑松郡) 부동면(府 東面)에 있는 산으로, 원래 이름은 바위로 병풍을 친 듯한 산이라는 뜻으로 석병산(石屛山)이라 불렸으나, 중국 당나라 때 주도(周鍍)란 사람이 진(晉)나라를 다시 일으켜 세우겠다며 군사를 일으켰다가 져서 신라의 석병산으로 숨어들었는데 당나라에서 이를 알고 신라에 주왕을 잡아달라 요청하여 신라의 마장군이 주왕을 죽였다는 전설에 따라 산이름이 바뀌었다고 한다. 주왕산은 1976년 12번째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주왕산 국립공원에는 주왕산(정상)·가메봉·장군봉 등의 묏봉오리와 기암(旗巖, 깃발바위)·시루봉·급수대 등의 기암(奇巖), 주왕계곡·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