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칠현산 / 七絃山 / Chilhyeonsan(Mt)》 (2008년 3월) △ 사량도 칠현산으로 ▲ 칠현산(七絃山)은 경남 통영시(統營市) 사량면(蛇梁面) 사량도 아랫섬에 있는 산으로, 바다 위로 솟은 산줄기를 따라 일곱개의 봉우리가 솟아 있어 칠현봉이라 한다. 산등성길 어디에서건 바다가 보인다. 건너편 지리산과 그 사이 동강을 오가는 배를 바라보며 산길을 걸을 수 있다. 산 높이는 해발 349미터. ▲ 사량도 칠현산 가는 길 [대중교통] ¶ 통영시외버스터미널 -> 도남동·봉평동 방면 버스 타고 서호시장 정류장 하차 -> 5분 걸어서 여객선 터미널 ¶ 통영시내 (서호시장 등)-> 가오치선착장 가는 버스 타고 종점 하차 또는 저산 가는 버스 타고 가오치선착장입구 하차 ¶ 윗사량섬과 아랫사량섬 둘 다 섬내..
[윗사량섬과 아랫사량섬에서 바라본 지리산 (지이망산)과 그 둘레 사진 슬라이드 쇼 49 매, 22.8 Mb] ▣ 지리산 / Jirisan@Saryangdo(Is) (2004년 3월) 사량도 지리산으로 사량도 지리산은 경남 통영시 사량면 윗사량섬에 있는 섬으로 산 높이는 해발 398 미터이다. 사량도 지리산의 본 이름은 맑은 날 이 산에서 지리산이 보인다는 뜻으로 지리망산(智異望山)인데 망(望)자를 빼고 지리산이라 불리게 되었다는 설이 있다. 한편 사량면 수협 홈페이지 (www.saryangdo.com) 자료에 따르면, 지리산은 윗사량섬 돈지리(敦池里)와 내지리(內池里)의 경계에 있는 산으로 두 마을의 공통지명인 지리(池里)를 따서 생겨난 이름으로 사료되며, 토박이 산이름은 산 남쪽 바위 벼랑이 새드레(사..
▣ 금오산 / 金鼇山 / Geumosan(Mt)》 (2006년 4월, 2007년 4월) △ 금오산 [향일암]으로 ▲ 금오산 [향일암] 가는 길 [대중교통] ¶ 여수역, 시외버스터미널에서 시내버스 101번, 111번, 111-1번, 113번 이용 ¶ 돌산대교에서 향일암행 부정기 여객선 이용 (전화문의 061-644-6255) [자가운전] ¶ 남해고속국도 순천나들목 -> 17번 국도 타고 여수 -> 돌산대교 -> 돌산섬 -> 죽포삼거리 -> 7번 군도 타고 임포 (향일암) ▲ 금오산(金鼇山, 323m)은 전남 여수시(麗水市) 돌산섬[突山島] 끝자락 율림리(栗林里)에 솟은 산으로, 큰 바다거북이 바다를 향하는 모습을 하고 있고 산등의 바위들이 거북등처럼 갈라져 있다 하여 금오산이라 불린다. 산자락 절벽에 일출..

▣ 소백산 / 小白山 / Sobaeksan(Mt) (초암사-국망봉-상월봉, 2006년 여름) △ 소백산으로 (초암사) ▲ 소백산 초암사 가는 길 중앙고속국도 풍기IC를 빠져나가 순흥면 배점리로 간다. 영주에서 순흥배점리(초암주차장) 가는 시내버스가 하루에 4회 운행된다. ▲ 산행 안내도 △ 소백산에 들어 ▲ 산행 코스 배점리 초암사 입구 삼거리-초암사-국망봉-상월봉-석천폭포골-점마 마을-덕고개 마을 배점리 초암사 입구 삼거리 , 점마, 덕고개까지 버스가 다닌다. 배점리 초암사 입구 삼거리에서 초암사까지는 승용차 또는 도보로 이동한다. 국망봉-상월봉 코스는 백두대간이다. ▲ 죽계구곡 (竹溪九曲) 골짜기를 흐르는 물소리가 노랫가락 같다하여 붙여진 이름. 제1곡 백운동 취한대(白雲洞 翠寒臺)->청운대(靑雲臺)..
[눈 내린 소백산 사진 슬라이드 쇼 49 매, 19.7 MB] ▣ 소백산 / 小白山 / Sobaeksan(Mt) (2005년 1월) △ 소백산으로 (죽령) 소백산 (죽령) 가는 길 승용차로는 중앙고속국도 단양 나들목을 빠져나가 죽령으로 간다. 단양에서 죽령가는 버스가 하루에 4편 (06:45, 07:45, 12:55, 17:05) 있다. 소요시간 40분 △ 소백산에 들어 (죽령->비로봉->천동리) 산행 코스 죽령-제2연화봉(중계탑)-천문대-연화봉-제1연화봉-비로봉-천동계곡 죽령 ~ 제2연화봉(중계탑) 천문대와 연화봉 연화봉 ~ 비로봉 1 연화봉 ~ 비로봉 2 비로봉 비로봉에서 둘러본 풍경 천동계곡 가는 길 △ 소백산을 되돌아보며 생각나는 대로 2005년 1월 30일, 죽령-중계탑-천문대-비로봉-천동계곡 ..

▣ 소백산 / 小白山 / Sobaeksan(Mt)》 (희방사-연화봉-비로봉, 2003년 봄) △ 소백산으로 ▲ 소백산 가는 길 중앙고속국도 단양 나들목을 빠져나가 천동리나 어의곡으로 가거나, 중앙고속국도 풍기 나들목을 빠져나가 희방사나 비로사 또는 초암사로 간다. 단양에서 천동계곡 가는 버스는 하루 18회, 죽령 4회, 어의곡 6회, 남천야영장 4회. 풍기에서 희방사 가는 버스는 하루12회, 삼가리(비로사) 5회, 부석사 16회. 영주에서 순흥배점리(초암주차장) 가는 시내버스는 하루에 4회 운행된다. ▲ 소백산(小白山, 1439m)은 충북 단양군(丹陽郡)과 경북 영주시(榮州市)에 걸쳐 있는 산으로, 백두대간이 태백산에서 남서쪽으로 뻗어, 우람하면서도 물개 등어리처럼 매끈하게 솟아, 낙동강과 남한강으로 물..

《태백산 / 太白山 / Taebaeksan(Mt)》(2003년 초, 2005년 초)△ 태백산으로▲ 태백산 가는 길 서울에서 태백 가는 열차는 청량리역에서, 버스는 동서울 터미널에서 떠난다. 승용차로는 호법인터체인지-여주갈림길-감곡나들목-제천-영월 거쳐 태백으로 간다. 감곡나들목에서 영월까지 자동차전용도로가 개설되어 있다. ¶ 태백버스터미널 -> 당골행 시내버스 타고 당골 (하루 20여회) ... 버스시간표는 맨아래 링크 클릭¶ 태백버스터미널 -> 하장성, 상동행 시내버스 타고 백단사, 유일사 하차 (하루 6회) ▲ 태백산(1567m)은 백두대간에 솟았다. 두타산에서 남으로 뻗은 백두대간이 매봉산에서 (낙동정맥으로 한 줄기를 흘리고) 태백산-선달산-소백산 쪽으로 뻗어간다. 태백산의 화방..
[미륵산에서 바라본 통영시 가공사진 슬라이드 쇼] ▣ 미륵산 / 彌勒山 /Mireuksan(Mt) (2011년 1월) △ 통영 미륵산으로 ▲ 미륵산 (彌勒山)은 통영항 남쪽 미륵도에 있는 산으로 산 높이는 해발 461미터다. 행정구역상으로 경남 통영시(統營市) 봉평동(鳳坪洞)·도남동(道南洞)·미수동(美修洞)과 산양읍(山陽邑) 남평리(藍坪里)·영운리(永運里)에 걸쳐 있다. 뭍과 미륵도는 한 개의 해저터널과 두 개의 다리로 연결되어 있다. 이 해저터널은 1932년 동양 최초로 건설된 것이라고 한다. 미륵산 정상과 그 언저리에 통영항 전망대와 한려수도 전망대, 당포해전(唐浦海戰) 전망대와 한산대첩 전망대 등이 있다. ▲ 미륵산 가는 길 [대중교통] ¶ 서울(고속강남, 시외남부), 부산, 대구, 대전, 진주 등..

《 욕지도 천황산 좌우압축 가공사진 슬라이드쇼 16매, 4.2 Mb》 ▣ 욕지도 천황산 / 天皇山 / Yokjido(Is) (2011년 1월) △ 욕지도 천황산으로 ▲ 천황산은 경남 통영시 욕지면 욕지도(欲知島)에 있는 산으로, 산높이는 해발 392 미터다. 통영항에서 욕지도까지 뱃길로 32km, 통영 미륵도 삼덕항에서는 뱃길로 20여 km 거리다. 약과봉(藥菓峰)과 대기봉에서 바라보는 섬 안팎 풍경이 아름답다. 약과봉 북쪽으로 상·하로대도(上下老大島)와 그 옆으로 점점이 떠 있는 모도·사이도·막도·비상도(飛翔島) 납도(納島), 그 너머 멀리 통영 미륵산이 한 풍경을 이루고... ▲ 욕지도 천황산 가는 길 [대중교통] ¶ 통영시외버스터미널 -> 도남동·봉평동 방면 버스 타고 서호동 비치호텔 앞에서 하차 ..

《비슬산 / 毖瑟山 / Biseulsan(Mt)》 (2004년 4월, 2006년 4월) △ 비슬산으로 ▲ 비슬산 가는 길 ¶ 구마고속도로 현풍(玄風)IC를 빠져나가 -> 유가사나 소재사 ¶ 대구시내 -> 30번 국도 타고 가창 -> 902번 도로 타고 헐티재 또는 용천사 ¶ 주말에는 대구시내에서 유가사나 소재사까지 버스가 다닌다. ▲ 비슬산(毖瑟山, 1084m)은 대구광역시 달성군(達城郡) 유가면(瑜伽面)·옥포면(玉浦面)·가창면(嘉昌面)과 경북 청도군(淸道郡) 각북면(角北面)에 걸쳐 있는 산으로, 정상 대견봉(大見峰)과 조화봉(照華峰, 1058m)·관기봉(觀機峰, 990m) 등의 봉우리가 솟아 있고, 월광봉(1005m)과 대견사터, 1034봉으로 둘러싸인 곳에 넓은 진달래 평원이 펼쳐져 있어 봄이면 참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