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악산 / 北岳山 / Bugaksan(Mt)》 (2007년 4월, 5월, 2009년 10월, 2010년) △ 북악산으로 ▲ 북악산(北岳山)은 서울 종로구 경복궁 뒤에 있는 산으로, 백악산(白岳山)이라고도 하며 산 높이는 해발 342m다. 북악은 인왕산(仁王山)·남산(南山)·낙산(駱山)과 더불어 조선시대 한양의 성곽을 이루는 네 개의 산[四山] 가운데 주(主)된 봉우리다. 경복궁은 백악산을 후현무(後玄武), 낙산을 좌청룡(左靑龍), 인왕산을 우백호(右白虎), 목멱산(木覓山)을 전주작(前朱雀) 삼아 자리잡았다. 남방화기(南方火氣)의 관악산이 백악에 비해 지나치게 높으므로 한양의 진산(鎭山)을 백악이 아닌 삼각산으로 보기도 하였다. 1968년 1.21사태 이후 39년만인 2007년4월6일 북악산 정상이 일반..

《아차산 Achasan / 용마산 Ryongmasan》 (2007년, 2008년, 2009년) ▲ 아차산, 용마산, 망우산 아차산(峨嵯山)은 서울 광진구(廣津區)와 경기 구리시에 걸쳐 있는 산으로 산높이는 해발 285 미터, 용마산(龍馬山)은 서울 중랑구(中浪區)와 광진구에 걸쳐 있는 산으로 산높이는 해발 348 미터, 망우산(忘憂山)은 서울 중랑구와 경기 구리시(九里市)에 걸쳐 있는 산으로 산높이는 해발 281 미터다. 한북정맥 축석고개쯤에서 남으로 뻗은 산줄기 하나가 수락산-불암산 거쳐 망우산-용마산으로 솟았다가 아차산에서 그 맥을 다하고 한강에 잠긴다. 아차산에서는 한강과 남한산쪽 조망이 좋고 용마산에서는 중랑천과 북한산쪽 조망이 좋다. 망우산 사색의 길을 따라 독립운동가, 화가, 문인들이 묻혀 있..

《봉래산 / 蓬萊山 / Bong-Raesan(Mt)》 (2007년 가을) △ 봉래산으로 ▲ 봉래산(蓬萊山)은 전남 고흥군(高興郡) 봉래면(蓬萊面) 외나로도(外羅老島,외라로도)에 있는 산으로 산 높이는 해발 410미터다. 한려해상국립공원인 외나로도에 우주센터가 건립되고 있다. ▲ 봉래산 가는 길 ¶ 호남고속국도 동광주IC, 송광사IC, 순천IC->벌교->고흥->내나로도->외라로도 ¶ 고흥에서 축정가는 버스가 하루에 12편, 축정에서 염포 가는 완행버스가 하루에 5편, 축정에서 예내 가는 버스가 하루에 4편 있다. 축정은 외나로도 신금리에 있는 마을로서 그곳에 (간이)버스터미널이 있다. ▲ 외라로도 봉래산 안내도 △ 봉래산에 들어 ▲ 봉래산 산행 코스 ¶ 무선국->정상->시름재->삼나무숲->무선국 (2시간 ..
《대부산 / Daebusan(Mt)》 (2007년 4월) △ 대부산 [금오도]으로 ▲ 대부산(382m)은 전남 여수시(麗水市) 남면(南面) 금오도(金鰲島)에 있는 산이다. 섬 지형이 금 거북이(큰 자라)를 닮았다하여 금오도라 불린다. 여수 중앙동에서 금오도 여천까지 뱃길로 24km 거리다. 이 섬 북서쪽에 개도(蓋島), 북쪽에 월호도(月湖島)·두라도(斗羅島)·화태도(禾太島)·나발도(羅發島)·대횡간도(大橫干島)·돌산도(突山島), 남쪽에 안도(安島, 雁島)·연도(鳶島, 소리도)가 있다. 대부산 들머리는 검바위·소유(小柳)·대유(大柳)·여천·함구미 등이고, 대부산 묏봉오리는 대부산 정상(382m, 大代山)·칼이봉(272m)·옥녀봉(261m) 등이다. 그 밖에 남쪽에 봉화대가 있는 망산(望山, 344m)이 있다..
《 격자봉 / 格紫峰 / Gyeokjabong(Mt) 》(2009년 5월) △ 보길도 격자봉으로▲ 격자봉(格紫峰)은 전남 완도군(莞島郡) 보길도(甫吉島)에 있는 산으로 적자봉(赤紫峰)이라고도 한다. 산높이는 해발 430미터쯤 된다. 보길도의 산은 부용동을 중심으로 연꽃처럼 빙 둘러서 있고 그 안의 물은 연꽃잎이 빠진 곳, 부황동으로 흐른다. 부용동에 고산 윤선도의 살림집이, 부황리에 윤선도의 놀이터 (세연정)가 있(었)다. 격자봉 산등성이길 어디에서건 바다가 보이련만 남도의 이색적인 숲이 우거져 산밖 풍경을 구경할 만한 곳이 그다지 많지 않다.보길도는 고산 윤선도 유적지, 예송리·통리·중리 해수욕장, 공룡알해변, 전복양식장 등이 유명하다.▲ 보길도 격자봉 가는 길 [자가운전] ¶ 해남 땅끝 ->..
▣ 화엄사 / 華嚴寺 / HwaEomsaTemple (1999년, 2005년, 2014년 촬영) △ 화엄사는 전남 구례군(求禮郡) 마산면(馬山面) 황전리(黃田里) 지리산(智異山) 노고단(老姑壇) 남쪽 기슭에 있는 절이다. △ 화엄사 가는 길 ¶ 구례버스터미널 -> 버스 타고 화엄사 입구 정류장 -> 1.7 km 걸어서 화엄사 불이문 ¶ 구례구역 -> 버스 타고 구례 버스터미널 -> 버스 갈아 타고 화엄사 입구 정류장 -> 1.7 km 걸어서 화엄사 불이문 ¶ 순천완주고속도로 구례화엄사IC, 황전IC -> 화엄사매표소 -> 화엄사주차장 (불이문 인근 물건너 주차장) ▲ 화엄사 사진 ¶ 화엄사 불이문 지나 금강문 가는 길 ¶ 화엄사 각황전과 석등 ¶ 화엄사 사사자삼층석탑 ... 난간 높이 변화가 눈에 띈다...
《마니산 / 摩尼山 / Manisan(Mt)》 (2003년 11월, 2010년 5월) △ 마니산 으로 ▲ 마니산 (마리산 또는 摩尼山, 469m)은 인천광역시 강화군 화도면 강화도 남서쪽에 있다. 마니산에는 사적136호인 참성단(塹城壇), 보물161호인 정수사(淨水寺)법당 그리고 함허동천(涵虛洞天)이 있다. [링크]:강화역사문화 보러가기 ▲ 마니산 가는 길 강화도에 걸친 다리는 강화도 북동쪽의 강화대교(江華大橋)와 남동쪽의 강화초지대교(江華草芝大橋)가 있다, 마니산은 초지대교쪽에서 더 가깝다. 마니산 들머리는 상방리, 사기리(함허동천), 정수사 등이다. 신촌버스터미널에서 강화 가는 버스가 있었으나 광역버스체계로 바뀌면서 신촌버스터미널이 사라졌다. ¶ 서울지하철2호선 신촌역 -> 3100번 버스(1시간간격..

▣ 민둥산 Mindungsan(Mt)》 (2003년 10월, 2008년 10월) △ 민둥산으로 ▲ 민둥산은 강원도 정선군 남면에 있는 산으로 억새와 돌리네로 유명하다. 산높이는 해발 1118미터. ▲ 민둥산 가는 길 [대중교통] ¶ 열차를 이용할 경우 태백선 증산역(甑山驛)에서 하차 ; 2009년 증산역이 민둥산역으로 이름이 바뀜 [자가운전] ¶ 중앙고속국도 제천(堤川) IC->38번 국도를 타고영월(寧越)->증산 ¶ 영동고속국도 진부(珍富) IC->59번 국도 정선(旌善)->문곡(鱉魚谷驛) 삼거리->증산 ¶ 영동고속국도 진부(珍富) IC->59번 국도 정선(旌善)->424,421번 도로->능전/증산 ▲ 민둥산 안내도 △ 민둥산에 들어 ▲ 산행코스 ¶ 증산초교-(50분)-쉼터-(40분)-정상 (총 1시간..
《백운산 / Baegunsan(Mt)》 (2008년 10월) △ 백운산으로 ▲ 백운산(白雲山)은 오대산 두로봉에서 비로봉 거쳐 남으로 뻗은 산줄기가 계방산 옆을 지나 남하하다 동강에 가로막힌 곳에 솟았다. 백운산 아래 동강은 오대산부터 함백산에 이르는 백두대간으로부터 물을 받는다. 오대산쪽 오대천(五臺川), 소황병산·매봉쪽 송천(松川), 두타산-매봉산쪽 골지천(骨只川), 금대봉쪽 동대천, 함백산쪽 동남천(東南川)이 정선 일대에서 합쳐지며 조양강(朝陽江)이 되고 백운산을 휘감고 돌며 영월땅으로 흘러들어 동강(東江)이 된다. 백운산은 그 강(江) 구경하러 오르는 산이다.▲ 백운산 가는 길영월-사북간 36번 국도가 4차선으로 확장되면서 신동읍에는 옛찻길과 새찻길이 있다. 신동읍 새찻길 4거리 신호등에서 '유문..

《백운산 / 白雲山 / Baegunsan(Mt)》(2005년 7월) △ 백운산으로▲ 백운산(白雲山, 882.5m)은 강원도 정선군(旌善郡) 신동읍(新東邑)과 평창군(平昌郡) 미탄면(美灘面)에 걸쳐 있는 산으로, 뱀처럼 구불구불 돌아흐르는[蛇行川] 동강(東江) 바로 곁에 깎아 세운 듯 솟아 있다. 천길 낭떠러지 위에 난 산길 곳곳에서 아름다운 동강을 굽어볼 수 있다. 예전에는 이곳이 오지 중의 오지였다. 요즘도 비가 많이 오면 백운산 아래 제장마을과 점재마을은 다리가 물에 잠겨 며칠씩 고립되기도 한다.▲ 백운산 가는 길서울 청량리역에서 열차로 예미(禮美)로, 상봉터미널에서 버스로 예미로 간다. 예미역에서 운치리(雲峙里) 가는 버스를 타거나 점재까지 택시를 이용한다. 수도권에서 승용차를 타고 갈 때는 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