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제69장   第六十九章 用兵 (玄用)
     
병법에 이러한 말이 있다   用兵有言
나는 구태여 쥔(치는 쪽)이 되지 않고 손(지키는 쪽)이 된다   吾不敢爲主而爲客
(나는) 한 치라도 나아가지 않고 도리어 한 자를 물러선다   不敢進寸而退尺
     
이를 일러   是謂
행군할 수 있어도 진칠 병사가 없(다고 여기)고   行無行 *1~
화가 치밀어도 소매를 걷어올릴 팔이 없(다고 여기)고   攘無臂
물리칠 수 있어도 물리칠 적이 없(다고 여기)고   扔無敵
무장할 수 있어도 집어들 병기가 없(다고 여긴)다고 한다   執無兵
     
적을 가벼이 여기는 것(싸움을 좋아하는 것)보다 더 큰 화가 없다   禍莫大於輕敵
적을 가벼이 여기다가는 내 보배를 거의 잃고 만다   輕敵幾喪吾寶
     
그러므로 병기를 들고 맞싸울 때는   故抗兵相加 *2
(싸우게 됨을) 슬퍼하는 쪽이 이기기 마련이다   哀者勝矣 *3

 

 

- 노자68장 : 훌륭한 싸울아비는 사납지 않고 (함부로 무예를 보이지 않고) 잘 싸우는 사람은 성내지 않는다.
- 노자31장 : 병기는 상서롭지 못한 연장이다.~마지 못해 어쩔 수 없을 때 쓰는 연장이다. ~많은 사람을 죽이니 슬픔으로 눈물짓고......
- 노자30장 : 도로써 임금을 돕는 사람은 무력으로 천하를 강압하지 않는다 (천하의 강자가 되려고 하지 않는다).

* 1~ : [백서본] 이를 두고 전투대형을 펼치지 않고 행군하고 / 팔뚝 없이 팔뚝을 걷어 붙이고 / 무기 없이 무기를 든다고 한다. / 이는 곧 적이 없는 것이다 / 천하무적보다 더 큰 화가 없으니 / 천하에 적수가 없으면 (마구 싸움을 벌여) 내 보배(아끼고 사랑하는 것)를 거의 잃고 만다. (是謂行无行 攘无臂 執无兵 乃无敵矣 禍莫大於無敵 無敵近亡吾葆矣) ; ※ 無敵≒輕敵
※ 無行=沒有行陣, 行陣=軍隊行列or布陣勢, 攘臂= 捋起袖子or露出胳膊表示振奮or常形容激奮貌, 扔=牵引or摧殘or残害

* 2 : [백서본] 군사를 일으킴이(거병·출병시 전력이) 엇비슷하면 (抗兵相若or稱兵相若) ※抗兵=稱兵=擧兵
* 3 : [왕필주] 슬퍼하는 이는 서로 가여워하므로 이익이 된다 하여 달려나가지 않고 손해가 난다 하여 회피하지 않으니 반드시 승리한다.
[하상공주] 슬퍼하는 자는 자애롭고 인자하여 병사들이 죽음을 멀리하지(피하지) 않는다.

 

더보기

 

■ 道德經69 : http://ctext.org/text.pl?node=11660&if=gb&show=parallel

《王弼註 道德經》: 用兵有言:吾不敢爲主,而爲客;不敢進寸,而退尺。是謂行無行;攘無臂;扔無敵;執無兵。禍莫大於輕敵,輕敵幾喪吾寶。故抗兵相加,哀者勝矣。 


《老子河上公章句·玄用》: 用兵有言:吾不敢爲主而爲客,不敢進寸而退尺。是謂行無行,攘無臂,扔無敵,執無兵。禍莫大於輕敵。輕敵,幾喪吾寶。故抗兵相加,哀者勝矣。

《馬王堆·老子乙德經》: 用兵又言曰:吾不敢爲主,而爲客;不敢進寸,而退尺。是胃行無行;攘無臂;執無兵;乃無敵。禍莫大於無敵,無敵近○亡吾□矣。故抗兵相若,而依者朕□。 


《馬王堆·老子甲德經》: 用兵有言曰:吾不敢爲主,而爲客;吾不進寸,而芮尺。是胃行無行;襄無臂;執無兵;乃無敵矣。禍莫於於無適,無適斤亡吾吾葆矣。故稱兵相若,則哀者勝矣。 

 


■ 老子(帛書校勘版) : http://zh.wikisource.org/wiki/老子_(帛書校勘版)

第三十四章 用兵(69) 用兵有言曰 吾不敢爲主而爲客 吾不進寸而芮尺 是謂行无行 攘无臂 執无兵 乃无敵矣 莫大於无適 无適近亡吾寶矣 故稱兵相若 則哀者勝矣


■ 老子(匯校版) : http://zh.wikisource.org/wiki/老子_(匯校版)

六十九章 : 用兵有言:「吾不敢爲主,而爲客;不敢進寸,而退尺。」 是謂行無行;攘無臂;扔無敵;執無兵。禍莫大於輕敵,輕敵幾喪吾寶。故抗兵相若,哀者勝矣。

노자69장 : 용병유언:「오불감위주,이위객;불감진촌,이퇴척。」 시위행무행(항);양무비;잉무적;집무병。화막대어경적,경적기상오보。고항병상약,애자승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