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성산 / 山城山 / Sanseongsan(Mt) (남문-보국사터-북문-서문-남문, 2009년 10월) △ 산성산으로 ▲ 산성산(山城山)은 전남 담양군(潭陽郡) 용면(龍面) · 금성면(金城面)과 전북 순창군(淳昌郡) 팔덕면(八德面)에 걸쳐 있는 산으로 산 높이는 해발 603 미터이다. 이 산 용면(龍面) 쪽에 호남의 3 대 산성 가운데 하나인 금성산성(金城山城)이 있다. 삼국시대에 처음 축조된 것으로 추정되는 금성산성은 조선시대에 덧쌓고 고쳐 쌓은 적이 있으며 1994년부터 복원공사를 시작하여 2009년 가을 현재 진행 중이다. 이곳은 임진왜란 때 의병의 거점, 동학란(동학농민운동) 때 격전지였다. 산성산은 호남정맥에 솟은 산이다. 추월산에서 강천산으로 뻗어온 호남정맥이 산성산과 광덕산을 지나 무등산 쪽..
■ 강천산 / 剛泉山 / Gangcheonsan(Mt) △ 강천산으로 ▲ 강천산(剛泉山, 591m)은 전북 순창군(淳昌郡)과 전남 담양군(潭陽郡)에 걸쳐 있는 산으로, 강천산-산성산을 잇는 산줄기는 호남정맥이다. 자루모양의 강천산 군립공원 계곡안으로 떨어진 빗방울은 순창-곡성-구례를 지나는 섬진강으로 흐르고 이 산줄기 서쪽비탈에 떨어진 빗방울은 바로 옆 담양호에 담겼다가 영산강으로 흐른다. 강천산은 1981년 우리나라 최초로 군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강천산 군립공원에는 강천산(왕자봉)·광덕산(廣德山:565m)·산성산(山城山:603m)등의 묏봉오리, 선녀계곡·물통골·황우제골 등의 계곡, 병풍암인공폭포·구장군폭포·비룡폭포 등의 폭포, 강천사, 높이 50미터 길이70미터 현수교, 오래된 성곽 금성산성(金城山城..
■ 내장산 / 內藏山 / Naejangsan(Mt) (2003년 7월, 2007년 10월, 2008년 11월) △ 내장산으로 ▲ 내장산(內藏山, 763m)은 전라북도 정읍시(井邑市)와 순창군(淳昌郡) 복흥면(福興面)에 걸쳐 있는 산으로, 고찰 내장사와 가을 단풍으로 유명하다. 내장산·백암산-추월산-무등산으로 이어지는 호남정맥 산줄기의 동쪽 비탈에 떨어진 빗방울은 가까운 서해를 놔두고 섬진강으로 흘러들어 먼 남해로 빠진다. 내장산 말발굽형 릉선에 장군봉(將軍峰, 696m), 연자봉(燕子峰, 675m), 신선봉(神仙峰, 763m), 까치봉(717m), 련지봉(蓮池峰, 670m), 망해봉(望海峰, 650m), 불출봉(拂出峰, 610m), 서래봉(써래봉 또는 西來峰, 622m), 월령봉(406m)이 솟아 있다...

■ 조계산 / 曹溪山 / Jogyesan(Mt) (송광사-연산봉, 2008년 4월 / 선암사-장군봉, 2009년 4월) △ 조계산으로 ▲ 조계산(曹溪山)은 전남 순천시 승주읍(昇州邑)과 송광면(松光面)에 걸쳐 있는 산으로 산 높이는 해발 884미터이다. 조계산은 1979년 주암면(住巖面)과 낙안면(樂安面) 일부 조계산 산자락을 포함하여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마이산-내장산-무등산-제암산-백이산으로 뻗어온 호남정맥이 고동산-조계산장군봉-오성산을 지나 백운산으로 뻗어간다. 조계산에서는 선암굴맥이재-작은굴맥이재-장군봉-장밭골몬당이 호남정맥이다. 이 호남정맥 조계산 동쪽 산자락에 태고총림(太古叢林) 선암사仙巖寺)가, 서쪽 산자락에 승보사찰 송광사(松廣寺)가 자리잡고 있다. 선암사쪽 물은 상사호에 담겼다가 순천..

■ 무등산 / 無等山 / Mudeungsan(Mt) (2006년 9월 말, 2008년 11월 초순, 2010년 10월 중순) △ 무등산으로 ▲ 무등산(1,187m)은 전남 광주(光州) 북구와 화순군(和順郡) 이서면(二西面), 담양군(潭陽郡) 남면(南面)에 걸쳐 있는 산으로 옛이름은 무진악(武珍岳) 또는 서석산(瑞石山)이라하며 호남정맥에 솟았다. 무등산 둘레 호남정맥은 담양군 남면 유둔재-백남정재-북산-무등산 북봉-천왕봉-장불재-화순군 이서면 안양산(백마능선)-둔병재다. 무등산 서석대의 물은 서쪽 영산강(榮山江)으로 흐르고 입석대의 물은 동쪽 동복호同福湖)와 주암호(住巖湖)에 담겼다가 보성강(寶城江)-섬진강(蟾津江)으로 흐른다. 이 산에는 돌기둥이 늘어선 서석대(瑞石臺)·입석대(立石臺), 장불재·중봉 군부..
■ 백암산 / 白巖山 / Baegamsan(Mt) (2007년 10월) △ 백암산으로 ▲ 백암산(白巖山)은 전남 장성군(長城郡) 북하면(北下面)과 전북 순창군(淳昌郡) 복흥면(福興面)에 걸쳐 있는 산으로, 내장산에서 추월산으로 뻗어가는 호남정맥 상에 솟았다. 산높이는 해발 741미터. 백학봉(白鶴峰)과 상왕봉(象王峰) 그리고 사자봉(獅子峰)으로 둘러싸인 골짜기 아래에 천년고찰 백양사(白羊寺)가 자리잡고 있다. 백암산은 내장산과 더불어 단풍철에는 인산인해를 이룬다. 내장산 국립공원에 속해 있다. ▲ 백암산 가는 길 백양사 가는 길이 곧 백암산 가는 길이다. ¶ 호남고속국도 백양사IC->1번국도 장성방향 백양사입구(약수리)->백양사 ¶ 광주 광천터미널과 서울 강남터미널에서 백양사 가는 버스가 있다. ▲ 백암..

■ 추월산 / 秋月山 / Chuwolsan(Mt) (월계리-보리암-보리암정상-정상, 2004년 가을)△ 추월산으로 ▲ 추월산(秋月山, 720m)은 전남 담양군(潭陽郡) 용면(龍面)과 전북 순창군(淳昌郡) 복흥면(福興面)에 걸쳐 있는 산으로 추령-내장산(신선봉)-백암산-대각산-밀재-추월산-천치재-용추봉-오정자재-산성산(강천산군립공원)으로 이어지는 호남정맥상에 솟아 있다. 추월산 동쪽의 담양호는 영산강으로 흘러가고 북쪽의 옥정호는 섬진강으로 흘러간다. 가을 담양호 아침안개속에 모습을 드러내는 산풍경이 아름답다. 이 산에는 절벽에 새(鳥) 둥지 틀듯 자리잡은 보리암이 있다. 추월산 북동쪽에 가마골로 유명한 용추산, 추월산 동쪽에 강천산 군립공원, 동남쪽에는 금성산성과 담양온천이 있다. ▲ 추월산 가는 길 ..

《제암산 / 帝岩山 / Je-am-san(Mt) (2006년 5월, 2010년 5월) △ 제암산으로 ▲ 제암산(帝岩山, 807m)은 전남 장흥군 장흥읍과 보성군 웅치면에 걸쳐 있는 산으로, 호남정맥에 솟았다. 내장산-추월산-무등산으로 이어져 온 산줄기가 제암산을 거쳐 일림산-조계산-백운산으로 뻗어간다. 제암산은 봄 철쭉으로 유명하다. ▲ 제암산 가는 길 강진-장흥-보성을 잇는 2번 국도(4차선으로 확장된 새길) 장흥 나들목을 빠져나가 장흥읍으로 들어간 다음 금산리로 간다. [대중교통] ¶ 장흥읍 -> 군내버스 타고 신기마을 ... 2010.10월현재 하루 6회 ¶ 장흥읍 -> 군내버스 타고 휴양림(하루 2회) ¶ 장흥읍 -> 군내버스 타고 웅치 -> 택시 타고 휴양림 ¶ 보성읍 -> 군내버스 타고 제암산..

일림산에서 바라본 바다 사진 슬라이드 쇼 (좌우압축사진) ▣ 일림산 / 日林山 / Illimsan(Mt) (2009년 5월, 2010년 5월, 2013년 5월) △ 일림산으로 ▲ 일림산은 전남 보성군(寶城郡) 웅치면(熊峙面)·회천면(會泉面)과 장흥군(長興郡) 안량면(安良面)에 걸쳐 있는 산으로 산 높이는 해발 667.5 미터이다. 무등산 쪽에서 뻗어온 호남정맥이 제암산-사자산까지 남하하였다가 일림산에서 북동쪽으로 방향을 틀어 조계산쪽으로 뻗어간다. 일림산에서는 골재-골치산-667.5봉(일림산, 장흥 삼비산)-626.8봉(옛 일림산)-413봉(아미봉)이 호남정맥이다. 옛 일림산과 새 일림산(삼비산, 三妃山) 사이에 보성강 발원지가 있다. 보성군에서는 봄이면 일림산 철쭉제와 보성다향제를 함께 연다. 철쭉 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