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암사 / 淨巖寺 / JeongamsaTemple △ 정암사는 강원 정선군(旌善郡) 고한읍(古汗邑) 고한리(古汗里) 함백산 자락에 있는 절이다. 정암사 일주문 편액은 태백산정암사(太白山淨岩寺)이다. 정암사는 한국 오대적멸보궁 가운데 하나이다. 신라 때 자장율사가 현 정암사 자리에 석남원(石南院)을 창건하고 수마노탑에 석가모니의 진신사리를 모셨다. 한국 대한불교조계종 제4교구 본사인 월정사의 말사이다. 경내에는 수마노탑 (旌善 淨岩寺 水瑪瑙塔, 보물 제410호)이 있다. 절 일대에 열목어가 서식한다. △ 정암사 가는 길 ¶ 고한터미널 ->만항 가는 군내버스 타고 정암사 앞 하차 (하루 4회, 10분 소요) ※ 링크 : 고한터미널-정암사버스시간표
상원사 / 上院寺 / SangwonsaTemple 상원사는 강원 평창군(平昌郡) 진부면(珍富面) 동산리(東山里) 오대산(五臺山) 중턱에 있는 절이다. 신라 선덕여왕 때 자장율사가 창건하였다. 조선 세조가 상원사에서 피부병을 치료하였다. 한국전쟁 때 한암스님이 상원사를 지켜냈다. 한국 오대적멸보궁 가운데 하나이다. 경내에는 상원사 동종 (上院寺 銅鍾, 국보 제36호), 상원사 목조문수동자좌상 (上院寺 木造文殊童子坐像, 국보 제221호) 등의 문화재가 있다. 상원사 고양이상은 세조와 고양이에 얽힌 이야기를 전한다. 상원사 동종은 신라 성덕왕 24년 (725년)에 만들어졌고 조선 예종 때 안동에서 상원사로 옮겨졌다. 상원사 가는 길 ¶ 진부시외버스터미널 -> 상원사행 버스 타고 상원사 하차 ※ 링크 : 상원사..
법흥사 / 法興寺 / BeopheungsaTemple 법흥사는 강원 영월군(寧越郡) 수주면(水周面) 법흥리(法興里) 사자산(獅子山) 기슭에 있는 절이다. 신라 성덕여왕 때 자장율사가 이곳에 부처 진신사리를 봉안하고 흥녕사를 창건하였다고 전해온다. (흥녕사는 한국 오대적멸보궁 가운데 하나이다) 신라 경문왕 때 도윤(道允)이 능주 쌍봉사에서 사자산문을 개창하였고 도윤의 제자 절중(折中)이 사자산 흥녕선원에 머물면서 사자산문이 크게 발족하였다. (흥녕사는 라말려초의 구산선문 가운데 사자산문이다) 흥녕사는 신라 진성여왕 때 불타고 고려 혜종 때 중건하였으나 다시 불탔다. 1902년 비구니 대원각이 중건하고 절 이름을 법흥사로 바꿨다. 대한민국 대한불교조계종 제4교구(본사는 월정사)에 속해 있다. 경내에는 영월 ..
▣ 통도사 / 通度寺 / TongdosaTemple △ 통도사는 경남 양산시(梁山市) 하북면(下北面) 지산리(芝山里) 영취산에 있는 절로서 신라 선덕여왕 때 자장률사가 창건하였다. 이 절 뒷산의 형상이 인도 영취산의 형상과 통한다 (此山之形通於印度靈鷲山形) 하여 통도사라 하였다는 설이 있다. 통도사에 불사리와 불가사가 봉안되어 있어 우리나라 삼보사찰(불보, 법보, 승보사찰) 가운데 하나인 불보사찰로 불린다. 대한불교조계종 제15교구 본사이다. 경내에는 대웅전 및 금강계단金剛戒壇) (국보 제290호), 통도사 봉발탑(奉鉢塔) (보물 제471호) 등 많은 유물이 있다. 산내에는 자장암, 극락암, 백운암, 비로암 등 13개의 암자가 있다. △ 통도사 가는 길 ¶ 부산동부시외버스터미널(노포동지하철역) -> 신평..

▣ 봉정암 / 鳳頂庵 / BongjeongAmTemple ( 2003, 2004, 2007년 촬영) ▲ 봉정암은 강원도 인제군(麟蹄郡) 북면(北面) 용대리(龍垈里) 설악산 소청봉(小靑峰) 아래에 있는 절로서 대한민국 5대 적멸보궁 중 하나이다. ▲ 봉정암 가는 길 ¶ 용대리 백담분소 -> 셔틀버스 타고 백담사 -> 걸어서 수렴동-구곡담계곡 길로 봉정암 ¶ 용대리 백담분소 -> 셔틀버스 타고 백담사 -> 걸어서 수렴동-오세암- 가야동계곡 횡단 - 봉정암 ※ 눈 내려 도로가 얼어붙으면 용대리 백담사간 셔틀 버스 운행이 중단된다. [2012-02-03 작성], [2014-01-14 사진 크기 조정], [2022-02-05 티스토리 스킨변경 에러수정] [2022-11-09 티스토리 슬라이드쇼 에러 조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