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북악산은 서울 종로구 삼청동·청운동·부암동·평창동과 성북구 성북동에 걸쳐 있는 산이다. 말바위 안내소, 숙정문 안내소, 창의문 안내소, 곡장안내소, 청운대 안내소를 통해 북악산 개방탐방로에 들어간다. ▲ 북악산 사진 (2021년 11월) ▲ 북악산에서 바라본 북한산 (좌우압축 사진) ▲ 다녀와서 2021년 11월 초, 말바위 안내소-백악마루-창의문안내소 코스로 북악산에 다녀왔다. 2014년 북악산에 오른 지 7년 만이다. 단풍도 단풍이지만 요즘의 북악산 공기가 어떠한지 궁금하였다. 탐방 안내소에 인적사항을 적어내거나 신분증을 제시하는 절차가 없어졌다. 북악산 탐방객 패찰을 받아 목에 걸고 다니면 그뿐이었다. 청운대 아래 쉼터에 화장실도 만들어 놓았고 산책로 스피커에서는 음악과 안내방송이 흘러나왔다. ..
《 서울성곽 [낙산] 사진 슬라이드 쇼, 48매, 20.6 Mb 》 ▣ 서울성곽 [ 동소문 - 타락산 - 흥인지문 ] (2010년 봄·여름·가을, 2013년 가을) ▲ 낙산 (駱山, 락산)은 종로구 종로6가동·충신동·이화동·동숭동·혜화동과 성북구 창신동·삼선동에 걸쳐 있는 산으로 산(언덕) 높이는 해발 125미터이다. 경복궁의 좌청룡에 해당하는 산으로 산 모양이 낙타(락타)를 닮아 타락산(駱駝山)이라고도 하였다. 낙산의 북쪽 혜화문에서 낙산의 남쪽 흥인지문 (동대문)까지 서울 성곽은, 혜화문과 동대문 둘레의 단절을 제외하면 끊기지 않고 그 형태를 온전히 갖췄다. ▲ 낙산 (흥인지문, 낙산, 혜화문 건너편) 가는 길 ¶ 지하철 4호선 한성대입구(삼선교)역 4번 출구 ->걸어서 혜화문 건너편 층계길 -> 성..
《 서울 성곽 사진 슬라이드 쇼 42 매, 18 Mb 》 ( 구성 : 숙정문 - 숙정문안내소에서 팔각정 가는 산길에서 바라본 서울성곽 - 말바위에서 바라본 도성 - 와룡공원 - 혜화문)▲ 서울성곽 (숙정문 - 와룡공원 - 혜화문) 사진 ▲ 서울성곽 (와룡공원, 숙정문, 혜화문) 가는 길 ¶ 와룡공원 가는 길 1 : 지하철 3호선 안국역 2 번 출구 -> 02 번 마을버스타고 성균관대 후문 -> 걸어서 와룡공원 ¶ 와룡공원 가는 길 2 : 지하철 4호선 한성대입구역 6번출구 ->2112 버스 타고 명수학교 -> 걸어서 와룡공원 ¶ 숙정문 가는 길 : 지하철 4호선 한성대입구역 6번출구 -> 1111번 버스 타고 명수학교 -> 걸어서 삼청각 옆 -> 걸어서 숙정문 안내소 ¶ 혜화문 가는 길 : 한성대입구역 ..
[ 인왕산 사진 슬라이드 쇼 60 매, 24 Mb ] ( 슬라이드쇼 구성 : 선바위·사직터널 쪽에서 바라본 서울성곽 - 선바위 비둘기 - 선바위 둘레 기암 - 공사 전중후 선바위 아랫 마을 아파트 단지 - 선바위 쪽 인왕산 자락의 개나리 - 기차바위 - 인왕산 정상 조망 - 범바위가는길 - 부암동쪽산길 - 범바위 - 윤동주시인의언덕 둘레 - 경복궁에서 바라본 인왕산 - 북악산에서 바라본 인왕산 - 광화문에서 바라본 인왕산 ) ■ 인왕산 / 仁王山 / Inwangsan(Mt) △ 인왕산으로 ▲ 인왕산(仁王山, 338m)은 서울 종로구(鍾路區) 무악동(毋岳洞)·사직동(社稷洞)·누상동(樓上洞)·옥인동(玉仁洞)·부암동(付巖洞)과 서대문구(西大門區) 홍제동(弘濟洞)에 걸쳐 있는 산으로, 한북정맥 도봉산 우이령에서..
《북악산 / 北岳山 / Bugaksan(Mt)》 (2007년 4월, 5월, 2009년 10월, 2010년) △ 북악산으로 ▲ 북악산(北岳山)은 서울 종로구 경복궁 뒤에 있는 산으로, 백악산(白岳山)이라고도 하며 산 높이는 해발 342m다. 북악은 인왕산(仁王山)·남산(南山)·낙산(駱山)과 더불어 조선시대 한양의 성곽을 이루는 네 개의 산[四山] 가운데 주(主)된 봉우리다. 경복궁은 백악산을 후현무(後玄武), 낙산을 좌청룡(左靑龍), 인왕산을 우백호(右白虎), 목멱산(木覓山)을 전주작(前朱雀) 삼아 자리잡았다. 남방화기(南方火氣)의 관악산이 백악에 비해 지나치게 높으므로 한양의 진산(鎭山)을 백악이 아닌 삼각산으로 보기도 하였다. 1968년 1.21사태 이후 39년만인 2007년4월6일 북악산 정상이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