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운문사(雲門寺)는 경북 청도군(淸道郡) 운문면(雲門面) 신원리(新院里)에 있는 비구니 절이다. 한국 최대 비구니 교육도량이다. 운문사 서쪽에 호거산(虎踞山, 호거대)이 있고 운문사 남쪽에 운문산이 자리잡고 있어 호거산 운문사라 불린다. 운문사에는 보물 일곱과 천연기념물 처진소나무가 있다. ▲ 운문사 사진 (2019년 1월 촬영) ▲ 생각나는 대로 2019년 1월 19일 토요일, 운문사를 둘러보았다. 운문사 매표소에 주차료 2천원과 입장료 2천원씩 내고 1,200미터쯤 운전하여 운문사 주차장에 당도하였다. 송림은 매표소에서 시작되어 400미터 쯤 가서 끝난다. 송림을 거닐지 못한 게 아쉬워 절을 둘러보고 나설 적에는 송림 끝부분 길가 공터에 차를 대고 송림을 둘러본 뒤 일행은 매표소로 향하고 운전자만 ..
[ 은해사 사진 슬라이드 쇼 50매, 22 Mb ] ( 구성 : 매표소-소나무숲길-은해교-종각-보화루-청풍당 앞 향나무-극락보전-산령각-산령각 뒤 언덕에서 바라본 은해사 가람 -지장전-우향각 입구-쌍거북바위-사랑나무-부도전) ▣ 은해사 / 銀海寺 / EunhaesaTemple ▲ 은해사 (銀海寺)는 경북 영천시(永川市) 청통면(淸通面) 치일리(治日里), 팔공산 자락에 있는 절로서 대한불교 조계종 제10교구 본사이다. ▲ 은해사 가는 길 ¶ 영천-> 버스 타고 은해사 인근 치일1리 ¶ 대구-> 버스 타고 하양시외버스 터미널 -> 버스 타고 은해사 § 링크 : 은해사 가는 버스 시간표 5~6 km 차량 운행하여 은해사 일주문 앞 주차장 ▲ 생각나는 대로 2011.8.27. 대구포항고속도로 청통와룡IC를 통해..
▣ 대견사터 / 大見寺址 / DaegyeonsaTempleSite 대견사터는 대구광역시 달성군(達城郡) 유가면(瑜伽面) 용리(龍里) 비슬산에 있는 절터이다. 대견사터 남쪽은 가풀막졌으나 대견사터 북쪽은 진달래꽃이 무리지어 피는 너른 평원이다. 손바위, 백곰바위, 부처바위, 스님바위, 상감모자바위 등 바위들이 대견사터를 에워싸고 있다. △ 대견사터 가는 길 대구광역시 ->유가사행 또는 소재사행 버스 타고 종점 하차 -> 산길을 걸어 올라 대견사터 △ 대견사터 사진 (2004-04-24, 2006-04-30 촬영) [2013-01-04] [2022-11-09 티스토리 슬라이드쇼 에러 조치] △ 대견사터 사진 슬라이드 쇼 소스

▣ 동화사 / 桐華寺 / DonghwasaTemple △ 동화사는 대구광역시 동구(東區) 도학동(道鶴洞) 팔공산(八公山) 자락에 있는 절이다. 신라 소지왕 때 (서기493년) 극달화상이 유가사로 창건하였다. 신라 흥덕왕 때 (서기832년) 심지대사가 중창하고 동화사로 고쳐 불렀다. 조선 임진왜란 때 사명대사가 이곳에 승군사령부를 설치하였다. 대한민국 대한불교조계종 제9교구 본사이다. [출처 : 경내 안내판] 경내에는 사명당유정 진영(보물 제1505호), 동화사 목조약사여래좌상복장전적(보물 제1607호), 동화사 아미타회상도(보물 제1610호), 동화사 보조국사 지눌진영(보물 제1639호) , 삼장보살도(보물 제1772호), 지장시왕도(보물 제1773호) 등의 문화재가 있다. 봉서루(鳳棲樓) 아래에 있는 ..
▣ 청량사 / 淸凉寺 / CheongryangsaTemple △ 청량사는 경북 봉화군(奉化郡) 명호면(明湖面) 북곡리(北谷里) 청량산(淸凉山)에 있는 절이다. 우리나라 삼대 기악(奇嶽) 가운데 하나인 청량산의 열두 봉우리[六六峰]에 둘러싸여 있다. 신라 문무왕 때 원효가 창건하였다. 고려 공민왕이 친필로 쓴 유리보전(琉璃寶殿) 편액이 있다. 대한불교조계종 제16교구 본사인 고운사(孤雲寺)의 말사이다. 2001년 열린 청량사 산사음악회의 인기를 타고 다른 절에서도 산사음악회가 유행처럼 열리게 되었다. △ 청량사 가는 길 ¶ 봉화->버스 타고 북곡(청량산입구) (하루 4회) ※ 문의 054-673-4400 ¶ 안동->버스 타고 북곡(청량산입구) (하루 5회) ※ 문의 054-859-4571 ▲ 청량사 사진 ..

▣ 직지사 / 直指寺 / JikjisaTemple △ 직지사는 경북 김천시(金泉市) 대항면(代項面) 운수리(雲水里) 황악산(黃嶽山) 기슭에 있는 절이다. 선가의 종지인 교외별전, 직지인심, 불립문자, 견성성불에서 직지사라는 이름이 유래했을 수도 있다. 신라 눌지왕 때 아도화상가 창건하였다는 설이 있다. 고려 태조 때 능여대사가 중건하였다. 조선 임진왜란 때 직지사 주지였던 사명(四溟)이 큰 공을 세워, 직지사는 조선 팔대가람으로 꼽혔다. 조선 임진왜란 때 불탔고, 조선 광해군 때 재건하였다. 일제 때 직지사는 해인사의 말사가 된 적이 있다. 대한민국 대한불교조계종 제8교구 본사이다. 경내에는 석조약사여래좌상(直指寺石造藥師如來坐像, 보물 제319호), 대웅전 삼존불 탱화 (直指寺大雄殿三尊佛幀畵, 영산·아미..

▣ 불영사 / 佛影寺 / BulyeongsaTemple △ 불영사는 경북 울진군(蔚珍郡) 서면(西面) 하원리(下院里) 천축산(天竺山) 아래 불영계곡에 있는 절이다. 연못에 살던 용을 내쫓고 그 자리에 세운 절이다. 천축산 쪽의 부처 영상이 불영지 연못에 비친다고 한다. 신라 진덕여왕 때 의상이 창건하였다. 조선 태조 때와 연산군 때 중건하였으나 임진왜란 때 응진전(당시는 영산전)을 제외하고 모두 불탔다. 조선 광해군 때 진성법사가 재건하는 등 중수가 거듭되었다. 대한민국 대한불교조계종 제11교구(본사는 불국사)에 속해 있는 비구니 절이다. 경내에는 불영사 응진전 (蔚珍 佛影寺 應眞殿, 옛이름은 영산전, 보물 제730호)과 불영사 대웅보전 (蔚珍 佛影寺 大雄寶殿, 보물 제1201호) 등의 문화재가 있다. ..

▣ 불국사 / 佛國寺 / BulguksaTemple △ 불국사는 경북 경주시(慶州市) 진현동(進峴洞) 토함산(吐含山) 기슭에 있는 절이다. 신라 경덕왕 때 김대성(金大城)이 불국사와 석굴암(石窟庵)을 축조하였다. 현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11교구 본사이다. 불국사는 석굴암과 더불어 1995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경내에는 다보탑(多寶塔, 국보 20호)과 석가탑(釋迦塔, 국보 제21호), 연화교·칠보교(蓮華橋·七寶橋, 국보 제22호), 청운교·백운교(靑雲橋·白雲橋, 국보 제23호), 금동 비로자나불 좌상(金銅毘盧遮那佛坐像, 국보 제26호), 금동 아미타여래 좌상(金鎭阿彌陀如來坐像, 국보 제27호) 등의 문화재가 있다. △ 불국사 가는 길 ¶ 경주버스터미널, 경주역 -> 불국사행 버스 이용 ※..

■ 봉암사 / 鳳巖寺 / BongAmsaTemple (2012년 5월 촬영) 경북 문경시(聞慶市) 가은읍(加恩邑) 원북리(院北里) 희양산(曦陽山)에 있는 절. 라말려초 구산선문 가운데 하나. 음력 사월 초파일에만 일반 대중에게 산문을 여는 절. ▲ 봉암사 사진 ▲ 생각나는 대로 2012년 5월 28일, 석가탄신일 문경 봉암사를 찾았다. 가은초등학교 인근 도로변에 주차하고 무료 셔틀버스로 봉암사입구로 이동. 민소매, 반바지, 미니스커트, 등산복 차림을 통제한다더니 실제로 통제하지는 않았다. 봉암사에는 마루 딸린 당우가 많고, 커다란 방도 개방해 놓았다. 그 많은 사람들 점심공양도, 때로는 줄을 길게 섰지만, 순조롭게 이루어졌다. 산행로로 연결되는 길목에는 입산통제하는 스님들이 번을 섰다. 산행로로 하산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