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오산 / 金烏山 / Geumosan(Mt)》 (2011년 3월) △ 금오산으로 ▲ 금오산(金烏山)은 경북 구미시(龜尾市)·칠곡군(漆谷郡)·김천시(金泉市)에 걸쳐 있는 산으로 산 높이는 해발 976미터이다. 1970년 한국 최초의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구미쪽 산기슭에 금오지(金烏池)와 채미정(採薇亭)이 자리잡고 있고, 산중턱 절벽에 대혜(大彗)폭포와 도선굴이 걸려 있고, 산정에 약사암이 위태로이 둥지를 틀고 있다. 산정 언저리에 보물 제490호 마애보살입상이 있다. 산기슭에서 대혜폭포 인근 해운사(海雲寺) 옆까지 케이블카가 놓여 있다. 산중에 고려시대 때 축조되어 조선시대 때 고쳐 쌓은 금오산성이 있다. ▲ 금오산 가는 길 [대중교통] ¶ 서울, 대구, 대전 -> 고속버스 타고 구미버스터미널 ¶ 구..
《주왕산 / 周王山 / Juwangsan(Mt)》(2003년 4월, 2004년 10월) △ 주왕산으로 ▲ 주왕산(周王山, 720m)은 경북 청송군(靑松郡) 부동면(府 東面)에 있는 산으로, 원래 이름은 바위로 병풍을 친 듯한 산이라는 뜻으로 석병산(石屛山)이라 불렸으나, 중국 당나라 때 주도(周鍍)란 사람이 진(晉)나라를 다시 일으켜 세우겠다며 군사를 일으켰다가 져서 신라의 석병산으로 숨어들었는데 당나라에서 이를 알고 신라에 주왕을 잡아달라 요청하여 신라의 마장군이 주왕을 죽였다는 전설에 따라 산이름이 바뀌었다고 한다. 주왕산은 1976년 12번째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주왕산 국립공원에는 주왕산(정상)·가메봉·장군봉 등의 묏봉오리와 기암(旗巖, 깃발바위)·시루봉·급수대 등의 기암(奇巖), 주왕계곡·절..

▣ 소백산 / 小白山 / Sobaeksan(Mt) (초암사-국망봉-상월봉, 2006년 여름) △ 소백산으로 (초암사) ▲ 소백산 초암사 가는 길 중앙고속국도 풍기IC를 빠져나가 순흥면 배점리로 간다. 영주에서 순흥배점리(초암주차장) 가는 시내버스가 하루에 4회 운행된다. ▲ 산행 안내도 △ 소백산에 들어 ▲ 산행 코스 배점리 초암사 입구 삼거리-초암사-국망봉-상월봉-석천폭포골-점마 마을-덕고개 마을 배점리 초암사 입구 삼거리 , 점마, 덕고개까지 버스가 다닌다. 배점리 초암사 입구 삼거리에서 초암사까지는 승용차 또는 도보로 이동한다. 국망봉-상월봉 코스는 백두대간이다. ▲ 죽계구곡 (竹溪九曲) 골짜기를 흐르는 물소리가 노랫가락 같다하여 붙여진 이름. 제1곡 백운동 취한대(白雲洞 翠寒臺)->청운대(靑雲臺)..
[눈 내린 소백산 사진 슬라이드 쇼 49 매, 19.7 MB] ▣ 소백산 / 小白山 / Sobaeksan(Mt) (2005년 1월) △ 소백산으로 (죽령) 소백산 (죽령) 가는 길 승용차로는 중앙고속국도 단양 나들목을 빠져나가 죽령으로 간다. 단양에서 죽령가는 버스가 하루에 4편 (06:45, 07:45, 12:55, 17:05) 있다. 소요시간 40분 △ 소백산에 들어 (죽령->비로봉->천동리) 산행 코스 죽령-제2연화봉(중계탑)-천문대-연화봉-제1연화봉-비로봉-천동계곡 죽령 ~ 제2연화봉(중계탑) 천문대와 연화봉 연화봉 ~ 비로봉 1 연화봉 ~ 비로봉 2 비로봉 비로봉에서 둘러본 풍경 천동계곡 가는 길 △ 소백산을 되돌아보며 생각나는 대로 2005년 1월 30일, 죽령-중계탑-천문대-비로봉-천동계곡 ..

▣ 소백산 / 小白山 / Sobaeksan(Mt)》 (희방사-연화봉-비로봉, 2003년 봄) △ 소백산으로 ▲ 소백산 가는 길 중앙고속국도 단양 나들목을 빠져나가 천동리나 어의곡으로 가거나, 중앙고속국도 풍기 나들목을 빠져나가 희방사나 비로사 또는 초암사로 간다. 단양에서 천동계곡 가는 버스는 하루 18회, 죽령 4회, 어의곡 6회, 남천야영장 4회. 풍기에서 희방사 가는 버스는 하루12회, 삼가리(비로사) 5회, 부석사 16회. 영주에서 순흥배점리(초암주차장) 가는 시내버스는 하루에 4회 운행된다. ▲ 소백산(小白山, 1439m)은 충북 단양군(丹陽郡)과 경북 영주시(榮州市)에 걸쳐 있는 산으로, 백두대간이 태백산에서 남서쪽으로 뻗어, 우람하면서도 물개 등어리처럼 매끈하게 솟아, 낙동강과 남한강으로 물..

《비슬산 / 毖瑟山 / Biseulsan(Mt)》 (2004년 4월, 2006년 4월) △ 비슬산으로 ▲ 비슬산 가는 길 ¶ 구마고속도로 현풍(玄風)IC를 빠져나가 -> 유가사나 소재사 ¶ 대구시내 -> 30번 국도 타고 가창 -> 902번 도로 타고 헐티재 또는 용천사 ¶ 주말에는 대구시내에서 유가사나 소재사까지 버스가 다닌다. ▲ 비슬산(毖瑟山, 1084m)은 대구광역시 달성군(達城郡) 유가면(瑜伽面)·옥포면(玉浦面)·가창면(嘉昌面)과 경북 청도군(淸道郡) 각북면(角北面)에 걸쳐 있는 산으로, 정상 대견봉(大見峰)과 조화봉(照華峰, 1058m)·관기봉(觀機峰, 990m) 등의 봉우리가 솟아 있고, 월광봉(1005m)과 대견사터, 1034봉으로 둘러싸인 곳에 넓은 진달래 평원이 펼쳐져 있어 봄이면 참꽃..
《청량산 / 淸凉山 / CheongRyangsan(Mt)》 (축융봉-청량사, 2008년 10월) △ 청량산으로 ▲ 청량산(淸凉山, 870m)은 경북 봉화군(奉化郡) 명호면(明湖面) 북곡리(北谷里)에 있는 산으로, 정상 장인봉(丈人峰, 의상봉), 선학봉(仙鶴峰), 축융봉(祝融峰), 경일봉(擎日峰), 금탑봉(金塔峰), 자란봉(紫鸞峰), 자소봉(紫宵峰), 연적봉(硯滴峰), 연화봉(蓮花峰, 련화봉), 탁필봉(卓筆峰),향로봉(香爐峰) 등의 12 봉우리[六六峰]가 솟아 절경을 이루었다. 굳이 대간정맥과 닿는 곳을 짚어보자면, 낙동정맥 백암산께에서 서쪽으로 뻗은 산줄기가 락동강과 만나는 곳에 청량산이 솟았다. 청량사를 둘러싸고 봉우리들이 련잎처럼 솟았고 청량사는 그 연꽃의 꽃술에 자리잡은 형국이다. 청량산 거너편 축..
[ 청량산 사진 슬라이드 쇼 37 매, 18 Mb ] ( 구성 : 축융봉에서 바라본 청량산 - 하늘다리 - 청량사 일대 - 응진전 일대 - 그 밖의 청량산 풍경) ▣ 청량산 / 淸凉山 / CheongRyangsan(Mt) (2002년 11월, 2008년 10월, 2014년 10월) △ 청량산으로 ▲ 청량산(淸凉山)은 경북 봉화군(奉化郡) 명호면(明湖面) 북곡리(北谷里)에 산으로 영암 월출산(月出山), 청송 주왕산(周王山)과 더불어 우리나라 3대 기악(奇嶽) 가운데 하나이다. 1982년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매표소 옆을 흐르는 계곡물은 의상봉, 자소봉, 경일봉, 오른쪽의 공민왕성터, 축융봉 사이 골골로 부터 흘러드는 물을 받는다. 청량사는 연화봉-연적봉-자소봉-경일봉-금탑봉으로 둘러싸여 있어 연화봉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