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소매물도-등대섬 (2009봄, 2015여름) Somaemuldo(Is) 경남 통영시 한산면 매죽리
photoseoul.com_()_poolpiri 2012. 2. 12. 22:15
[ 소매물도-등대섬 사진 슬라이드 쇼 76 매, 37 MB ]
(구성 : 2015년소매물도 - 2009년 소매물도 유람선 - 2012년 연화도가는길에서 - 2009년 소매물도 사진)
▲ 소매물도 가는 길
통영 여객선터미널과 거제 저구항에서 소매물도 가는 여객선이 떠난다. 소매물도를 배 위에서 구경하는 유람선이 통영 유람선터미널과 거제 저구항에서 떠난다. 유람선은 섬에 배를 대지 않고 여객선만 소매물도에 배를 댄다. 어쩌다가 낚시배가 등대섬 선착장에 관광객을 내려놓기도 한다.
[2015년 8월 현재]
¶ 거제저구항->소매물도 / 소요시간 : 편도 40~50분 소요 / 성수기운임(성인여행객,편도) : 12,000원(왕) 11,000원(복) / 저구항 주차료 무료
¶ 통영여객선터미널->소매물도 / 소요시간 : 편도 70분 소요 / 운임(성인여행객,편도) : 17,500원(왕) 16,050원(복) / 터미널주차료유료
¶ 거제저구항매물도유람선->소매물도선상관람 / 소요시간 : 1 시간 30분 / 뱃삯(성인여행객) : 20,000원 / 저구항 주차료 무료
¶ 통영도남동유람선터미널->소매물도선상관람 : 운행중단중
[2009년 3월 현재]
¶ 통영여객선터미널->소매물도 / 소요시간 : 편도 90분 / 운임(성인여행객,편도) : 14,300원(왕) 13,000원(복) / 터미널주차료유료
▲ 소매물도는
통영여객선터미널에서 소매물도까지 운항거리는 30여 킬로미터이고 거제저구항에서 소매물도까지 운항거리는 통영-소매물도 운항거리의 절반이 채 안된다.
▲ 소매물도 안내도
¶ 선착장-남매바위-소매물도 분교-망태봉-열목(물때에 따라)-등대섬의 등대 (3km)
▲ 소매물도 폐교와 그 둘레 풍경 그리고 선착장
▲ 소매물도에서 바라본 등대섬 (2015년 여름)
△ 소매물도(망태봉)-등대섬을 되돌아보며...
통영의 밤 상해 황포강
통영의 다리와 아파트 측벽에도 빛을 비추어 통영항의 밤 풍경을 나름대로 연출하고 있었다. 중국 상해에서는 황포강 쪽 건물 벽면에 조명시설을 갖추고 전기료는 나라에서 지원한다고 한다. 통영에도 밤 유람선을 띄울 만큼 야경을 살려봄 직하다.
▲ 생각나는 대로 2
2015년 8월 1일, 거제 저구항 출항 여객선 타고 소매물도항에 내려 걸어서 등대섬에 다녀왔다.
거제 저구항은 주차장에 차량이 넘치면 해안도로변, 옛 산길도로 등지에 주차할 수 있다. 주차료도 무료이다.
10:30 저구항 출항 배 타고 소매물도에 들어가 16:00 소매물도항 출항 배 타고 나왔으니 너댓 시간 소매물도-등대섬에 머문 셈이다. 등대섬 건너가는 물때와 쉬는 시간을 감안하여 넉넉하게 시간을 잡았다고 생각했는데, 해안 산책로 코스를 선택하고 점심 먹으며 시간을 많이 보내는 바람에 당초 예약했던 15:30 배를 놓치고 말았다. 놓친 뱃표로 다음 배를 탔는데 좌석여유가 있어서인지 검표원은 군말없이 승선시켜준다. 더운 여름날 소매물도 등대섬 코스는 섬에 머무는 시간을 넉넉하게 잡고 마실 물을 충분히 준비해야 하겠다.
소매물도에 해안 산책로가 새로 개설되었고 소매물도 분교는 완전 폐쇄되었는지 그 모습을 볼 수 없었다. 2009년 촬영하였던 소매물도 분교의 풍경을 이번 슬라이드 쇼에 여러 컷 포함시켰다. 소매물도 마을은 2009년에 비해 건물이 늘었고, 소매물도 선착장도 증설되었다.
거제 저구항에서 거제 와현리 숙소까지 교통이 정체되었다. 저구항 인근 명사해수욕장에 인파가 넘쳐났고 해금강 바람의언덕쪽에서 나오는 차량이 많았다. 학동몽돌해수욕장의 갈림길을 지나서야 교통정체가 풀렸다. 숙소 인근의 언덕받이에 있는 한 음식점의 야외 식탁에서 저녁을 먹는 동안 달이 떠올라 바닷물을 넓게 물들인다.
소매물도마을 2009년 초 소매물도마을 2015년 여름 거제와현리의 밤, 월출 통영앞바다 플로팅 데크
소매물도는 오랫만에 배타고 들어가는 섬여행이다. 세월호 침몰 때문인지 승선시 신원확인이 철저하고 출항전 구명조끼 착용 시범이나 비디오 교육도 빠짐 없이 시행한다.
지난 해 4월 침몰한 세월호의 실종자가 아직도 진도 앞바다에 잠겨 있다. 2009년 소매물도 다녀오며 찍었던 통영 앞바다의 플로팅 데크 사진을 다시 찾아본다. 플로팅 데크는 세월호 인양방식 가운데 하나로 거론된 바 있다. 사진의 저 플로팅 데크는 중국에다 주문하여 들여온 것이라고 한다. 최근 세월호 인양업체로 중국업체가 선정되었다는 소식을 들었다. 실종자가 아직 세월호에 남아 있을 텐데 배를 인양하느니 마느니 하며 허송세월한지 어느새 일 년도 더 지나고 말았다. 나무아미타불.
세월호 침몰 전에 진도 여귀산과 동석산, 조도 신금산과 도리산 전망대, 보길도 격자봉, 비금도 선왕산 등을 둘러본 적이 있다. 이 섬산들은 세월호 침몰 위치로부터 반경 60여 킬로미터 이내에 위치한다. 세월호 실종자를 다 찾아내고 희생자들의 넋이 완전히 씻기고 나면 언젠가 다시 완도-진도-신안의 섬들을 둘러볼 수 있는 날이 오리라. 이번 섬여행은 진도 쪽이 아닌 거제도-통영 쪽으로 방향을 잡을 수밖에 없었다. [2015-08-11]
¶ 거제 저구항 유람선터미널-소매물도 선상관광 <= 매물도유람선
[2015-08-11] 2015년 사진 추가, 슬라이드 쇼 삽입
'한국의 산 > 경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성산 (2006갈, 2009갈) Cheonseongsan(Mt) 경남 양산시 하북면 [억새산행] (0) | 2012.02.14 |
---|---|
황매산 (2006봄,2014봄갈) Hwangmaesan(Mt) 경남 합천군 ~ 산청군 [철쭉제] (0) | 2012.02.14 |
칠현산 [사량도] (2008봄) Chilhyeonsan(Mt) 경남 통영시 사량면 아랫사량섬 (0) | 2012.02.12 |
지리산 [사량도] (2004봄) Saryangdo(Is) 경남 통영시 사량면 윗사량섬 (0) | 2012.02.12 |
미륵산 [미륵도] (2010결) Mireuksan(Mt) 경남 통영시 봉평동 ~ 산양읍 (0) | 2012.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