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PhotoSeoul.com 대한민국 산, 꽃, 절

프로필사진
  • 글쓰기
  • 관리
  • 태그
  • 방명록
  • RSS

PhotoSeoul.com 대한민국 산, 꽃, 절

검색하기 폼
  • 분류 전체보기 (696)
    • 한국의 산 (180)
      • 서울 (20)
      • 경기 (21)
      • 강원 (21)
      • 충북 (21)
      • 충남 (11)
      • 전북 (16)
      • 전남 (31)
      • 경북 (15)
      • 경남 (23)
      • 제주 (1)
    • 산꽃들풀 (7)
    • 한국의 절 (96)
    • 이곳저곳 (146)
    • 인도 사진 (173)
      • 나무 (16)
      • 동물 (36)
      • 사람 (102)
      • 유적풍경 (19)
    • 노자 도덕경 (86)
  • 방명록

한국의 절 (96)
신륵사 (2016갈) Silleuksa Temple 경기 여주시 천송동

▲ 신륵사(神勒寺)는 경기도 여주시 천송동 봉미산(鳳尾山)에 있는 절로서 여주대교 북단에서 동쪽으로 직선거리 1 km쯤 떨어진 남한강변에 자리잡고 있다. 고려 우왕2년(1376) 나옹선사가 양주 회암사에서 밀양으로 가던 길에 여주 신륵사에서 입적하자 그 제자들이 우왕5년에 이곳에 그의 부도(보제존자 석종, 석종비, 석등)를 마련하였다고 한다 (출처: 신륵사 안내판). 고려 공민왕의 왕사였던 나옹의 성은 아씨(牙氏), 속명은 원혜(元惠), 휘는 혜근(慧勤), 호는 나옹(懶翁)·강월헌(江月軒), 시호는 선각(禪覺), 공민왕으로부터 받은 호는 보제존자(普濟尊者)이다. 신륵사 조사당 뒤 언덕에 보제존자 석종이 있고 신륵사 다층전탑 아래 남한강변에 강월헌이라는 정자가 있다. 참고로 양주회암사에는 나옹선사 부도와 ..

한국의 절 2016. 10. 20. 16:53
백련사 (2016갈, 2013봄) Baekryeonsa Temple 경기(인천) 강화도 하점면

▲ 강화도 백련사는 인천광역시 강화군 하점면 부근리 231에 있는 절로서 고려산 중턱에 자리잡고 있다. 고구려 소수림왕 때 천축조사가 고려산 오련지의 오색(적청백흑황) 연꽃을 공중에 날려 각 연꽃이 떨어진 곳에 절을 지었는데 그 중 하얀 연꽃이 떨어진 곳이 백련사라고 한다. ▲ 강화 백련사 가는 길 ¶ 강화터미널 -> 버스 타고 백련사 입구 정류장 하차 -> 2.8 km 걸어서 백련사 (40여분 소요) ¶ 강화읍->부근삼거리에서 좌회전 0.6 km 진행->백련사입구 방향으로 좌회전하여 2.6km 진행 -> 백련사 주차장 ▲ 생각나는 대로 전에 고려산 진달래 구경하러 갔다가 백련사를 그냥 지나치며 나중에 한 번 들러보리라 마음 먹었더랬다. 2016.10.1. 불현듯 백련사가 생각나 길을 나섰다. 백련사 석..

한국의 절 2016. 10. 17. 11:27
회암사 (2016년, 2003년) HoeAmsaTemple 경기 양주시 회암동

[현 회암사와 지공선사, 나옹선사, 무학대사 부도 사진 슬라이드 쇼 19 매, 19 MB] ▲ 회암사 가는 길 ¶ 경원선(수도권전철1호선) 덕정역 -> 78번 버스 타고 회암사지박물관 정류장 하차 -> 걸어서 회암사 (1.4 km) ¶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의정부IC ->장암IC->논스톱 자동차전용도로 타고 회암교차로->회암사길 회암사지 박물관 직전 좌회전->회암사 (경내 주차 가능) ▲ 현 회암사 현 회암사는 회암사지로부터 천보산쪽으로 500미터쯤 떨어져 있다. 현 회암사 좌청룡격 언덕 맨 위에 나옹선사(라옹선사) 부도, 그 아래에 지공선사 부도와 비, 맨 아래에 무학대사탑과 비가 서 있다. 무학대사탑은 보물 제388호로서 탑신에 용이 새겨져 있다. 나옹선사비(선각왕사비, 보물 제387호)는 외딴 곳에 ..

한국의 절 2016. 9. 28. 14:43
진관사@삼각산 (2015갈) JinGwansaTemple 서울 은평구 진관동

[진관사 사진 슬라이드 쇼 39매, 29 MB] ( 2015년 진관사 입구 - 해탈문 - 세심교 둘레 - 대웅전·명부전·나한전 - 홍제루와 동정각 - 찻집 송풍자명(松風煮茗) - 2014년 진관사 대웅전 - 명부전 - 나한전- 독성전 - 2005년 진관사 앞뜰 - 나가원의 댓돌 ) ▣ 진관사 / 津寬寺 / JinGwansaTemple (2005년 3월, 2014년 9월, 2015년 11월 촬영) ▲ 진관사 가는 길 ¶ 서울 지하철 3호선 연신내역 3번 출구 -> 7211번, 701번 버스 타고 진관사입구 정류장 하차 -> 700여 미터 걸어서 진관사 해탈문 ¶ 외곽순환고속도로 통일로 IC 또는 송추IC -> 서울 은평구 진관동 진관사 ▲ 진관사는 서울 은평구 진관외동 삼각산 기슭에 자리잡고 있는 절이다...

한국의 절 2015. 11. 9. 11:28
신흥사@설악산 (2015갈) SinheungsaTemple 강원도 속초시 설악동

[설악산 신흥사 슬라이드 쇼 사진 27매, 15 MB] ( 설악산 소공원과 신흥사 사진 2015년 촬영) ▣ 설악산 신흥사 / 新興寺 / SinheungsaTemple △ 설악산 신흥사는 강원도 속초시 설악동에 있는 절로써 비선대와 울산바위 가는 갈림길에 자리 잡고 있으며 대한불교 조계종 제3교구 본사이다. 건봉사의 말사로 있다가 한국전쟁 때 건봉사가 전소되면서 강원도 북부지역을 대표하는 사찰로 부상하였다. △ 신흥사 가는 길 ¶ 속초 버스터미널 또는 속초 고속터미널 -> 7-1번 버스(하루 31회 운행) 또는 7번 버스(하루 8회 운행) 타고 설악산 소공원 정류장 ->1 km 쯤 걸어서 신흥사 사천왕문 ¶ 동서울종합버스터미널 -> 미시령 쪽 고속버스 (2시간 10분 소요) 또는 한계령 쪽 고속버스 (3..

한국의 절 2015. 11. 7. 11:38
보문사@낙가산 (2003봄, 2014갈) Bomunsa(Temple) (경기) 인천 강화군 석모도

[보문사 슬라이드 쇼 사진 48 매, 24 Mb ] ( 구성 : 낙가산(상봉산)에서 바라본 보문사 - 극락보전 - 눈썹바위 마애불 - 마애불 가는 길 - 보문사 경내 - 윤장대 - 오백나한 - 석굴 - 삼성각 - 와불전 - 봉향각 - 일주문 - 서해바다 전망대 ) ▣ 보문사 / 普門寺 / Bomunsa(Temple) (2003년 5월, 2014년 10월) ▲ 강화 보문사는 인천광역시 강화군(江華郡) 삼산면(三山面) 매음리(煤音里) 낙가산에 있는 절로서, 남해 보리암 · 양양 낙산사와 더불어 대한민국 삼대 해수 관음보살 영지 가운데 하나이다. 절에서 서해 바다가 바라다보인다. 석모도(席毛島)에는 해명산(海明山), 상봉산(上峰山), 상주산(上柱山) 등 세 산이 있어 삼산면(三山面)이라는 지명이 생겼다. 보문..

한국의 절 2014. 10. 30. 17:21
고운사@등운산 (2014갈) Gounsa(Temple) 경북 의성군 단촌면 구계리

[ 고운사 슬라이드 쇼 사진 50 매, 26.5 Mb ] ( 구성 : 고운사 가는 숲길 - 일주문 - 천왕문 - 고불전 - 가운루 - 범종각 - 삼성각 - 명부전 - 연수전 - 라한전 - 조실채·선방 - 삼층석탑 - 무설전 옆 창고 - 우화루 호랑이벽화(액자) - 대웅전 - 신축건물군 - 이주문 ) ▣ 고운사 / 孤雲寺 / Gounsa(Temple) ▲ 등운산(騰雲山) 고운사는 경북 의성군(義城郡) 단촌면(丹村面) 구계리(龜溪里)에 있는 절로서 안동과 의성 사이 중간 쯤에 자리잡고 있다. 고운사는 신라 의상조사가 창건하여 고운사(高雲寺)라 이름하였다. 그후 고운(孤雲) 최치원이 여지(如智)·여사(如事) 두 대사와 함께 가운루(駕雲樓)·우화루(羽化樓))를 건립하여 그의 호를 따서 고운사(孤雲寺)라 개칭하였..

한국의 절 2014. 10. 27. 17:40
자장암@통도사 (2014봄갈) 경남 양산시 통도사 산내암자

[ 통도사 자장암 사진 슬라이드 쇼, 23 매, 9.7 Mb ] ▲ 통도사 자장암(慈藏庵)은 통도사 창건주 자장율사(慈藏律師)가 통도사 창건(서기646년)에 앞서 수도하던 곳으로, 희봉대사에 의해 중건되었다 하며 1987년부터 1993년에 이르는 사이 금와당(金蛙堂), 취현루(醉玄樓) 등이 중건되어 오늘에 이른다. [출처 : 경내 안내판] 자장암에는, 큰 유리창에 취서산(영축산)이 비치는 취현루(醉玄樓), 소나무와 취서산 풍경이 일품인 금와당(金蛙堂), 앙증맞은 일주문, 거북바위에 올라 앉은 관음전(觀音殿), 1896년 조성된 마애불, 그 마애불 옆 자그마한 수세전(壽世殿)과 산영각겸자장전(山靈殿-慈藏殿), 울타리가 귀여웠던 향경다실(香經茶室), 자장율사가 관음전 뒤 바위에 손가락으로 구멍을 뚫어 금개구..

한국의 절 2014. 10. 21. 17:35
은해사@팔공산 (2011여름) Eunhaesa(Temple) 경북 영천시 청통면

[ 은해사 사진 슬라이드 쇼 50매, 22 Mb ] ( 구성 : 매표소-소나무숲길-은해교-종각-보화루-청풍당 앞 향나무-극락보전-산령각-산령각 뒤 언덕에서 바라본 은해사 가람 -지장전-우향각 입구-쌍거북바위-사랑나무-부도전) ▣ 은해사 / 銀海寺 / EunhaesaTemple ▲ 은해사 (銀海寺)는 경북 영천시(永川市) 청통면(淸通面) 치일리(治日里), 팔공산 자락에 있는 절로서 대한불교 조계종 제10교구 본사이다. ▲ 은해사 가는 길 ¶ 영천-> 버스 타고 은해사 인근 치일1리 ¶ 대구-> 버스 타고 하양시외버스 터미널 -> 버스 타고 은해사 § 링크 : 은해사 가는 버스 시간표 5~6 km 차량 운행하여 은해사 일주문 앞 주차장 ▲ 생각나는 대로 2011.8.27. 대구포항고속도로 청통와룡IC를 통해..

한국의 절 2014. 7. 17. 15:36
길상사@삼각산 (2013갈, 2014갈) GilsangsaTemple 서울 성북구 성북동 북악산 자락

▣ 길상사 / 吉祥寺 / GilsangsaTemple (2013년 9월, 2014년 11월) 길상사는 서울 서울 성북구 성북동에 있는 절이다. 삼각산의 남쪽, 북악산 자락에 자리잡고 있다. 대원각의 소유주 김영한 (법명 길상화)이 법정스님의 '무소유'를 읽고 감명 받아 예전 요정이었던 대원각을 법정스님에게 기증하여 불도량으로 바꾸었다. ▲ 길상사 사진 (2013-09-15, 2014-11-02 촬영) △ 길상사 가는 길 § 링크 : 길상사가는 길 길상사 셔틀버스 타고 길상사 ( 2013년 9월 현재 하루 7회 운행) ¶ 서울 지하철4호선 한성대입구역 6번 출구 => 성북03번마을버스, 1111번, 2112번 버스 타고 홍익대부속중고교 정류장 또는 성북초등학교 정류장 하차 -> 걸어서 선잠단지[先蠶壇址, ..

한국의 절 2013. 10. 12. 22:54
이전 1 2 3 4 5 6 ··· 10 다음
이전 다음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