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poolpiri_()_사진여행

프로필사진
  • 글쓰기
  • 관리
  • 태그
  • 방명록
  • RSS

poolpiri_()_사진여행

검색하기 폼
  • 분류 전체보기 (838)
    • 한국의 산 (180)
      • 서울 (20)
      • 경기 (21)
      • 강원 (21)
      • 충북 (21)
      • 충남 (11)
      • 전북 (16)
      • 전남 (31)
      • 경북 (15)
      • 경남 (23)
      • 제주 (1)
    • 산꽃들풀 (7)
    • 한국의 절 (101)
    • 인도 사진 (174)
      • 나무 (16)
      • 동물 (36)
      • 사람 (102)
      • 유적풍경 (20)
    • 이곳저곳 (278)
    • 노자 도덕경 (89)
  • 방명록

전체 글 (838)
배알도 (2023봄) 전남 광양시 태인동 ~진월면 망덕리 (별헤는다리)

▣ 배알도 (2023년 5월) 전남 광양시(光陽市) 태인도(太仁島)와 진월면(津月面) 망덕리(望德里) 사이, 섬진강 하구에 배알도(拜謁島)가 있고 각각 해맞이다리와 별헤는다리를 통해 그 섬에 들어가거나 건너편으로 건너갈 수 있다. 광양의 해와 진월면의 달 그리고 윤동주 시인의 별이 함께 어우러지는 공원이 조성된 듯하다. 망덕리에 정병욱 가옥이 있고, 정병욱은 (그곳에) 윤동주 친필유고 시집을 보존하여 (훗날) 윤동주의 시를 세상에 알렸다. 그리하여 망덕리와 배알도를 잇는 다리는 윤동주의 시 '별 헤는 밤'에 따라 '별 헤는 다리'가 되었다. △ 태인도와 해맞이다리에서 바라본 배알도와 별헤는다리 △ 망덕리 쪽에서 바라본 별헤는다리 △ 배알도 △ 하동 금오산 전망대에서 바라본 배알도 일대 △ 다녀와서 202..

이곳저곳 2023. 7. 21. 16:42
도산일주로 (2023여름) 경남 통영시 도산면 (그랜드페리호)

▣ 도산일주로 (2023년 6월) 도산일주로는 경남 통영시 도산면(道山面) 오륜리(가오치항)-저산리(통영경찰수련원)-수월리(도산면해맞이공원)-법송리에 걸친 해안도로 및 육로를 말한다. 학섬휴게소는 법송리 북쪽의 도선리에 위치한다. △ 도산일주로와 학섬휴게소에서 바라본 풍경 (좌우압축사진) △ 가오치항에서 사량도 가는 배 (그랜드페리호 추적) △ 도산일주로 바다 양식장 2023년 6월 초, 경남 통영시 도산면의 도산일주로를 (차량으로) 달리며 바다 풍경을 구경하였다. (예쁜) 섬과 섬 사이에, (스티로폼) 부표가 (학교 운동회) 만국기처럼 떠 있었다. 길가에 조가비(가리비?)를 (가지런하게) 쌓아 둔 곳도 있었다. [2023-07-13 작성]

이곳저곳 2023. 7. 13. 20:22
삼천포대교 (2023봄) 경남 사천시 대방동 (초양대교)

▣ 삼천포대교 (2023년 5월) 경남 사천시 대방동- 삼천포(三千浦)대교 - 모개섬 - 초양(草養)대교 - 초양도 - 늑도(勒島)대교 - 늑도- 창선(昌善)대교 - 남해군 창선도로 이어진 다리들을 묶어 창선삼천포대교라 한다. 2003년 개통되었다. 삼천포대교와 나란히 바다를 가로지르는 사천바다케이블카는 2018년 개통되었다. △ 삼천포대교 야경 △ 초양도에서 바라본 삼천포대교 △ 청널공원 쪽에서 바라본 삼천포대교 △ 삼천포대교공원 △ 하동금오산 전망대에서 바라본 삼천포대교 (이상 2023년) △ 각산에서 바라본 삼천포대교 (2021년) 2023년 5월 말과 6월 초에 촬영한 사진에다 2021년 10월 중순에 촬영한 사진을 덧 붙임. (2023-07-09 작성)

이곳저곳 2023. 7. 9. 17:18
죽방렴 (2023여름) 경남 남해군 삼동면(창선면) 지족리 (지족해협)

▣ 남해 지족해협 죽방렴 (2023년 6월) 남해도와 창선도 사이의 지족해협에 죽방렴(竹防簾)이 설치되어 있다. 남해도와 창선도로 둘러싸인 바다의 물이 지족해협을 빠져나갈 때 (썰물 때) 대나무 어살에 멸치 등의 물고기가 갇힌다. 2010년 문화재청은 남해지족해협 죽방렴 23통을 명승 제71호로 지정하였고, 2015년 해양수산부는 남해 죽방렴을 국가중요어업유산 제3호로 지정하였다. [출처 : 농가섬 입구 죽방렴 전망대 안내판] △ 창선교 서쪽 죽방렴 어선 한 척이 죽방렴 어획작업을 마치고 지족항(只族港)으로 돌아간다. 죽방렴에 새들이 모여들었다. △ 죽방렴 관람대 (농가섬 입구) △ 창선교 동쪽 죽방렴 2023년 6월 초 남해 지족항과 창선교 다리 위에서 죽방렴을 구경하였다. 밀물 때 그냥 스쳐 지나쳤던..

이곳저곳 2023. 7. 6. 14:08
창선도 풍경 (2023여름) 경남 남해군 창선면 (창선도)

▣ 창선도(昌善島) 풍경 (2023년 6월) △ 창선도 풍경사진 1 △ 창선도 풍경사진 2 - 창선도에서 바라본 하동·사천 쪽 풍경 △ 창선도 풍경사진 3 2023년 6월 초, 창선도 해안도로를 달리며 촬영한 풍경사진. [2023-07-03 작성]

이곳저곳 2023. 7. 3. 17:30
대도 (2023봄) 경남 하동군 금남면 (하동 대도마을)

▣ 하동 대도 (2023년 5월) 대도(大島)는 경남 하동군 금남면 대도리에 있는 섬이다. △ 하동 금오산 전망대에서 바라본 대도 여수-광양-하동-남해로 둘러싸인 바다에 떠 있는 섬들. (대도는 일렬로 늘어선 섬들을 곁에 두고 있다.) △ 남해도에서 바라본 대도 △ 하동 노량항에서 바라본 대도 2023년 5월 하순, 멀리서 대도를 바라보았다. [2023-06-30 작성]

이곳저곳 2023. 6. 30. 19:24
남해도 풍경사진 몇 점 (2023봄) 경남 남해군 (홍현리, 관선도)

▣ 남해도 해안도로에서 바라본 풍경 사진 몇 점 (2023년 5월) 2023년 5월 하순 남해도 해안도로를 달리다가 풍경이 아름다운 곳에 잠깐씩 머물렀다. [2023-06-28 작성] 촬영 : PhotoSeoul.com_()_poolpiri(草笛, 초적)

이곳저곳 2023. 6. 28. 16:24
이순신대교 (2023봄) 전남 여수시 묘도~광양시 금호동 (야경)

▣ 이순신대교 (2023년 5월) 전남 여수시 묘도(猫島)와 광양시 금호동(金湖洞)을 잇는 이순신대교는 총연장 2,260m, 주경간 1,545m인 현수교로서 주경간장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길고 해수면에서 상판까지 높이는 80m로 우리나라에서 가장 높다. 다리 아래로 대형선박이 무난히 통과할 수 있다. 2012년 임시개통, 2013년 정식개통하였고 다리 통행 제한속도 시속 60km, 통행료 없다. 참고로 이순신 장군이 태어난 해는 1545년이다. △ 광양에서 바라본 이순신대교 △ 여수 묘도(이순신대교 홍보관 쪽)에서 바라본 이순신대교 2023년 5월 하순 이순신대교를 건너게 되었다. 광양시 중동 홍익돈까스 앞 소공원과 여수시 묘도 이순신대교 홍보관(이순신전망대, 휴게소 주차장)에서 이순신대교를 촬영하였다. ..

이곳저곳 2023. 6. 27. 12:06
물건항 (2023봄) 경남 남해군 삼동면 물건리

▣ 물건항 (2023년 5월) 물건항은 경남 남해군 삼동면(三東面) 물건리(勿巾里)에 있는 항구이다. 물건해변을 따라 방조어부림(防潮魚付林, 물고기가 꾀이는 방조림)이 조성되어 있다. 2023년 5월 말 남해도 물건항을 지나가게 되었다. 이곳은 어업과 농업, 바다레포츠와 전망 좋은 언덕 주거지, 방조림 등이 공존하는 특이한 곳이라 하겠다. 조수의 피해를 막는 방조림이자, 물고기가 몸을 의탁하는 (물고기 쉘터 역할을 하는) 어부림인 방조어부림은 1640년에 식재되었다고 한다. '어부림'이란 어려운 말은 일본어에서 가져온 말인 듯하다. [2023-06-26 작성]

이곳저곳 2023. 6. 26. 12:13
포교항 (2023여름) 경남 고성군 삼산면 두포리 (포교마을)

▣ 고성 포교항 (2023년 6월) 포교항은 경남 고성군(固城郡) 삼산면(三山面) 두포리(豆布里)에 있는 (아담하고 아름다운) 항구이다. △ 고성 포교항(布橋港) 사진 1 △ 포교항 사진 2 △ 포교항 사진 3 2023년 6월 초, 고성 포교항을 찾았다. 해수면이 부두 도로면 가까이 올라와 있었고 물결이 거의 일지 않았다. 잔잔한 호수면 같은 바다에 노을이 반영된다. 포교항에 '나포리횟집'이라는 간판이 걸려 있었다. 나포리라는 상호를 가진 횟집들이 (이곳저곳에) 종종 눈에 띄지만 (잘 가꿨으면) 이곳이 진정 나폴리가 되지 않았을까 생각해 본다. 포교마을 남동쪽의 콘크리트 방파제와 포교항 콘크리트 데크 (주차장) 설치 전에 이곳을 방문했었다면 좋았을 것이다. 포교항 들머리 언덕배기에 이곳이 '참장어 원조 ..

이곳저곳 2023. 6. 22. 12:24
이전 1 ··· 9 10 11 12 13 14 15 ··· 84 다음
이전 다음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

티스토리툴바